Effects of Saengkanggamchotang (SKT) on MIA-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생강감초탕(生薑甘草湯)이 골관절염 유발 Rat에 미치는 영향

  • Choi, Bo-Mi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Oh, Min-Seok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최보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오민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engkanggamchotang (SKT)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 (MIA) 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Methods Osteoarthritis was induced by injection of MIA (50 ul, 60 mg/ml) into knee joints of rats. Rats are divided into a total of 4 groups (normal, control, positive comparison group, SKT treated group, each n=6). Normal group are not treated at all without inducing osteoarthritis whereas control group were induced for osteoarthritis by MIA and oral medicated with 20 ml of distilled water per day. Positive comparison group was injected with MIA and after 7 days, that was taken indomethacin (30 mg/kg/mouse). SKT treated group was injected with MIA and after 7 days that was taken SKT (30 mg/kg/mouse). Positive comparison group and SKT treated group were oral medicated for each substance a total of 4 weeks with one time per day. After experiments (from 1 week after injection of papain to 4 weeks elapsed), the functions of liver and kidney, Prostaglandin E2, inflammatory cytokine (IL-$1{\beta}$, IL-6, TNF-${\alpha}$), osteocalcin, TIMP-1, MMP-9 within serum. Knee joint structures were observed by H&E, safranin-O staining method, and amount of cartilage were measured by ${\mu}CT$-arthrography. Results 1) Hind paw weight bear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2) Functions of liver and kidney were not affected. 3) Prostaglandin E2, osteocalcin, TIMP-1, MMP-9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4) Inflammatory cytokine IL-$1{\bet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IL-6, TNF-${\alpha}$ were decreased but had not significant. 5) In terms of histopathology, significantly reduced subsidence of cartilage and bone in H&E staining. And in Safranin O staining, proteoglycan content in synovial membra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6) Destruction of cartilage on ${\mu}CT$-arthrography was significantly reduced. Conclusions Based on all results mentioned above, Saengkanggamchotang (SKT)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for suppressing the progress of osteoarthritis and its treatments.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제6판. 서울:최신의학사. 2006:253-61.
  2. 한태륜, 방문석 외 57인. 재활의학. 제3판. 서울:군자출판사. 2009:905-35.
  3.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 국민건강통계 및 2010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4. 대한슬관절학회. 슬관절 골관절염 치료 지침. 2010;22(1):69-74.
  5.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제3판. 서울:군자출판사. 2011:84-98.
  6. 김대형, 정수현, 김순중, 서일복. 加味消炎湯이 Monosodium Iodoacetate로 유발된 골관절염 통증 모델에서 중추신경내 NOS, C-fos, Serotonin 및 Substance P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17(3):35-51.
  7. 이경무, 정수현, 김순중, 서일복. 三氣飮이 흰쥐의 Monosodium Iodoacetate 유발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2):17-31.
  8. 김지영, 김순중, 서일복, 정수현. 附子湯이 Monosodium Iodoacetate로 유발된 골관절염의 초기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2):87-100.
  9. 박인선. 防己茯笭湯이 papain으로 유도된 생쥐의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2.
  10. 이정민. Papain으로 유도된 골관절염 생쥐모델에서 芍藥甘草附子湯의 항골관절염 효능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2.
  11. 최재영, 오민석. 甘草附子湯이 Papain으로 유도된 골관절염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2;22(4):37-57.
  12. 장효길, 허동석. 麻黃附子湯이 Papain으로 유도된 골관절염 생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2;22(4):59-77.
  13. 양국정, 김순중, 서일복, 박세근, 김정선, 서정철, 최선미, 이혜정, 김이화. 威靈仙 약침이 콜라겐으로 유도된 골관절염 모델에서 흰쥐의 PAG 영역에서 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5;22(4):109-16.
  14. 김현수, 서일복, 박세근, 김정선, 서정철, 최선미, 구성태, 김이화. 진범약침이 collagenase로 유도된 흰쥐 골관절염 모델에서 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6;23(1):87-94.
  15. 박동수, 정수현, 김순중, 서일복. 蜂毒약침이 Monosodium Iodoacetate로 유발된 골관절염 통증 모델에서 중추신경내 NOS, C-fos, Serotonin, Substance P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17(3):1-18.
  16. 김환영, 최진봉. 蜂毒약침과 鹿茸약침이 MIA 유도 골관절염 흰쥐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1):61-77.
  17. 박인범, 최병태, 안창범. 전침에 의한 Complete Freund's Adjuvant 유발 관절염모델의 거퇴관절 내 염증관련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5;22(4):55-63.
  18. 김종철, 이은용, 서일복, 구성태, 최선미, 김이화. 저빈도 足三里 전침자극이 흰쥐의 Adjuvant 유발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3(6):207-19.
  19. 서병관, 박동석, 백용현.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Rat Model에서 Thermal Hyperalgesia에 대한 전침의 진통효과 및 기전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1;28(2):57-67.
  20. 장재영. 백서의 carrageenan 유발 급성 슬관절염에서 穴位에 따른 溫鍼刺戟의 效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21. 박영배, 강성길, 김혜경. 施灸方法이 Adjuvant 관절염 흰쥐의 혈액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5;11(2):137-50.
  22. 김민정. 직접구 시술이 Collagen 유발 관절염 쥐의 근육재생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1.
  23.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영림사. 2004:172-4, 575-7, 586-9.
  24. 大봉敬節主講. 金匱要略講話. 원주:의방출판사. 2003:160.
  25. Piscaer TM, Waarsing JH, Kops N, Pavljasevic P, Verhaar JA, van Osch GJ, Weinans H. In vivo imaging of cartilage degeneration using mCT-arthrography.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2008;16:1011-7. https://doi.org/10.1016/j.joca.2008.01.012
  26. 차윤엽. 통증의 한의학적 개념에 대한 溫經絡療法의 적용에 대한 고찰: 黃帝內經을 중심으로.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4):51-6.
  27. 류혜숙, 김진, 박상철, 김현숙. 생강추출물투여에 의한 마우스 비장세포 및 대식세포 활성효과. 한국영양학회지. 2004;37(9):780-5.
  28. Sheo HJ.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 Soc Food Sci Nutr. 1999;18:94-9.
  29. Thomson M, Al-Qattan K, Al-Sawan M. The use of ginger as a potenial anti-inflammatory ans antithrombotic agent. Elsevier Science Lrd. 2002;67:475-8.
  30. 송상진, 배한호, 박양훈. 감초가 천식모델 생쥐의 플라즈마내 히스타민과 폐조직내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841-5.
  31. 김수정, 권대혁, 이종화.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안정성 조사. 한국식품과학회지. 2006;38(4):584-8.
  32. 성기천. 감초 추출물의 약리적 특성 및 분석. 한국유화학회지. 2006;23(3):215-22.
  33. 심호기, 박무희, 최청, 배만종. 감초 추출물이 면역응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997;10(4):553-8.
  34. 박소영, 조한진, 최현주, 선미라, 임순성, 윤정한. 감초추출물이 항염증, 암세포의 세포사멸, 세포주기 억제 및 전이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52(2):387.
  35. 이순실. 甘草 분획의 진통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36. 이매, 김진주, 정희재, 정승기. 生薑甘草湯 및 生薑, 甘草가 생쥐 비장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32(3):322-33.
  37. 김일훈, 정창호, 박수정, 심기환. 대추 열매와 잎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11;18(3):341-8.
  38. Al-Reza SM, Yoon JI, Kim JS, Kang SC.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eed essential oil from Zizyphus jujuba, Food Chem Toxical. 2010;48:639-43. https://doi.org/10.1016/j.fct.2009.11.045
  39. 김예진. 추출용매에 따른 건대추 과육, 씨,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40. Na HS, Kim KS, Lee MY. Effect of jujube methanil extract on the hepatotoxicity in CCl4-treated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80;19:2747-8.
  41. 노영범, 노의준. 圖解類聚方. 서울:도서출판고방. 2010:49-51, 320.
  42. 이승은, 이성우, 방진기, 유영주, 성낙술. 인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한약작지. 2004;12(3):237-42.
  43. 강민희, 정춘식. 인삼뇌두의 부종 및 관절염에 미치는 효과. 약학논문지. 2003;14:119-25.
  44. 조미란, 왕옥철, 장진선, 김채균. 고려홍삼의 콜라겐 유도 관절염의 예방과 억제효과. 고려인삼학회지. 2009;33(2):149-54.
  45. Kalben DA, Blum U. Theoretisches Koncept and experimentelle bestatigung fur ein neues arthos modell amversuchstier. Arzneimittelforshung Drug Res. 1977;27:527-31.
  46. 이용수. Monosodium iodoacetate (MIA)로 유발된 관절염 흰쥐의 행동학적 조직학적 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7. Zhu CZ, Wilson SG, Mikusa JP, Wismer CT, Guavin DM, Lynch JJ. Role of cetral and peripheral mGluR5 receptors in post-operative pain in rats. Pain. 2005;114:195-202. https://doi.org/10.1016/j.pain.2004.12.016
  48. 이삼열, 정윤섭, 권오훈, 송경순. 임상병리검사법. 제7판. 서울:연세대학교출판사. 2000:234-41, 262-6.
  49. 권영일 외 공저. 실험. 동물 임상병리학. 서울:아카데미아. 2009:42, 185.
  50. Martel-Pelletier J, Pelletier JP, Fahmi H. Cyclooxygenase-2 and prostaglandines in articular tissues. Semin Arthritis Rheum. 2003;33(3):155-67. https://doi.org/10.1016/S0049-0172(03)00134-3
  51. Benito MJ, Veale DJ, FitzGeral O, Vas den Berg WB, Bresnihan B. Synovial tissue inflammation in early ans late osteoarthritis. Ann Rheuma Dis. 2006;64:1263-7.
  52. 송란. 관절초음파를 이용한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활막 증식과 임상 양상의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53. Bowles SA, Kurdy N, Davis AM, France MW, Marsh DR. Serum osteocalcin, total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e following isolated tibial shaft fracture. Amm Clin Biochem. 1996;33:196-200. https://doi.org/10.1177/000456329603300304
  54. 윤석주. 트레드밀 운동과 생약 추출물이 골다공증 유발백서의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8.
  55. 서부일, 안덕균. 鹿角이 흰쥐의 난소적출로 유발한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998:13(2):45-56.
  56. Burger H, van Daele PL, Odding E, et al. Association of radiographically evident osteoarthritis with higher bone mineral density and increased bone loss with age. Arthritis Rheum. 1996;39:81-6. https://doi.org/10.1002/art.1780390111
  57. Hart DJ, Cronin C, Daniels M, Worthy T, Doyle DV, Spector TD. The relationship of bone density and fracture to incident and progressive radiographic osteoarthritis of the knee. Arthritis Rheum. 2002;46:92-9. https://doi.org/10.1002/1529-0131(200201)46:1<92::AID-ART10057>3.0.CO;2-#
  58. Lethbridge-Cejku M, Tobin JD, Scott WW Jr, et al. Axial and hip bone mineral density and radiographic changes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data from the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J Rheumatol. 1996;23:1943-7.
  59. Arokoski JP, Arokoski MH, Jurvelin JS, Helminen HJ, Niemitukia LH, Kroger H. Increased bone mineral content and bone size in the femoral neck of men with hip osteoarthritis. Ann Rheum Dis. 2002;61:145-50. https://doi.org/10.1136/ard.61.2.145
  60. Sandini L, Arokoski JP, Jurvelin JS, Kroger H. Increased bone mineral content but not bone mineral density in the hip in surgically treated knee and hip osteoarthritis. J Rheumatol. 2005;32:1951-7.
  61. Trauchi M, Shirakura K, Ketayama M, Higuchi H, Takagishi K. The influence of osteoporosis on verus osteoarthritis of the knee. J Bone Joint Surg. 1998;80(B):432-6. https://doi.org/10.1302/0301-620X.80B3.8408
  62. 조우신, 변화교, 박호연, 정홍준.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경골 근위부, 요추, 대퇴골 근위부의 골밀도 및 하지 정렬과의 상관 관계. 대한슬관절학회. 2009;21(4):217-22.
  63. Nelson AR, Fingleton B, Rothenberg ML, Matrisian LM. Matrix metalloproteinases: biolobic activity ans clinical implication. J Clin Oncol. 2000;18:1135-49. https://doi.org/10.1200/JCO.2000.18.5.1135
  64. Naito K, Takahashi K, Kushida K, Suzuki M, Ohishi T, Miura M, Inoue T, Nagano A. Measurement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m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1 (TIMP-1)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comprasion wirh generalized osteoarthritis. Rhematology. 1999;38:510-5. https://doi.org/10.1093/rheumatology/38.6.510
  65. 노영서, 한지용, 김용환, 윤혜경, 김우형, 이희철. 구강 편평세포암종의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2, 3, 9와 Tissue Inhibitors of MMP (TIMP)-1, 2의 발현 양상의 비교 및 상호 연관성. 인제의학. 2002;23(4):595-609.
  66. 우규철. 슬관절의 퇴행성 골관절염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1, 2, 3, 9, 13 및 TIMP-1의 발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67. Gupta K, Shukla M, Cowland JB, Malemud CJ, Haqqi TM.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cin is expressed in osteoarthritis and forms a complex with matrix metalloproteinase 9. Arthritis & Rheumatism. 2007;56(10):3326-35. https://doi.org/10.1002/art.22879
  68. 백대현, 장주해, 하기용. 흰쥐에서 Leukotreine $B_4$와 Thromboxane $B_2$가 요추 신경근에 미치는 영향. 대한척추외과학회지. 2001;8(1):8-14.
  69. 이화진, 류재하. 생약의 류코트리엔 $B_4$ 수용체 결합 저해작용 검색. 생약학회지. 2000;31(3):273-9.
  70. 김재도, 박상원, 이홍건. 관절연골의 proteoglycan 생성에 있어서 양이은제가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논문집. 1990;27(3):685-94.
  71. 김나영, 송인성, 김정룡, 김용식. NSAID에 의한 ICE18 세포독성 및 그 기전. 대한내과학회지. 1993;45(6):759-69.
  72. 송영준, 하철원. 골관절염의 치료에서 COX-2 선택적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이용. 대한슬관절학회. 2009;21(2):84-92.
  73. 조윤숙, 문순란, 박경호, 조남춘, 송영욱. 류마티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NSAID제제의 부작용 비교. 병원약사회지. 1998;15(2):18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