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atic Review of High Frequency of Acupuncture Point and Self Exercise Therapy for Lower Back Pain

요통 치료의 빈용 경혈과 자가 운동 요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Nam, Dae-Ji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Huh, Gu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Hyung-Eu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Choi, Bo-Mi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Jung-Min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Eun-Jung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Oh, Min-Seok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남대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허건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이형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최보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이정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이은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오민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figure out which acupoints are frequently used to treat low back pain and which exercises are effective to low back pain. Methods We searched the three electronic database (RISS, KISS, KTKP) and manually checked related Korean journals and reference lists up to June 2013.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acupoints for using treatment of low back pain. We Introduce exercise therapies we can do easily at home without professional skills for treatment low back pain. Results We included 72 articles in this study. The most frequently adopted acupoints were BL25, BL23, BL24, GB30, BL40, BL26, BL60, GB34, BL52, BL57, GB39. The most frequently adopted meridian pathways were BL, GB, GV, ST. The most frequently adopted disease causing low back pain were HIVD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Lumbar sprain, Spinal stenosis, Compression fracture, Cauda equina syndrome, Spondylolisthesis, Ankylosing spondylitis. There are many exercise therapies (Lumbar stabilizing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Bareunmom physical exercise, Mckenzie exercise, Williams exercise, Emblass exercise, Swiss ball exercise, Thera band exercise, Yoga) for treatment low back pai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st frequently adopted acupoints were foot taeyang urinary bladder channel acupoints. Beacuse foot taeyang urinary bladder channel is passes through the waist, it will be effective for treatment of low back pain. Also exercise therapy is effective for enhance Muscular strength. In order to treatment of low back pain, Acupuncture treatment is also important, as well as exercise therapy.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신경외과학회. 신경회과학. 제2판:중앙문화사. 2002:457, 467-8.
  2. Robert JG, Peter BP, Tom GM. The dominant role of phychosocial risk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disability. Spine. 1995;20(24):2072-9.
  3. 김진호, 한태륜. 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1997:421-37.
  4. Shumway-Cook A, Horak FB. Rehabilitation strategies for patients with vestibular deficits. Neurologic Clinics. 1990;8:441-57.
  5. Beimborn DS, Morrisset MC. A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trunk muscle per formance. Spine. 1998;13:65-660.
  6. 이상훈, 정병식, 윤형석, 조성규, 이윤호, 김성욱. 위중혈 자락의 요통에 대한 치료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2;19(1):65-75.
  7. 이상철, 이대택. 요통환자의 운동치료 및 효과에 관한 고찰. 대한운동학학술지. 2007;9(2):69-78.
  8. Yuan J, Purepong N, Kerr DP, Park J, Bradbury I, McDonough S.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for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Spine. 2008;33(23):887-900. https://doi.org/10.1097/BRS.0b013e318186b276
  9. 박성광. 척추안정화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요부신전근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4:1, 25-8.
  10. 오명진, 송호섭. 만성(慢性) 신허요통(腎虛腰痛) 환자의 침치료 가 양도락 점수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의학회지. 2012;29(3):115-20.
  11. 정시영, 박재우, 신정미, 김지영, 윤인애. 급성기 요통에 대한 침치료와 우황.웅담.사향약침 병행치료의 효과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1;28(4):105-10.
  12. 류혜선, 김성필, 천혜선, 류미선, 신정철, 위통순. 단순 요통환자에 대한 침치료와 중성어혈-녹용 혼합약침 병행치료의 효과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1;2(6):149-57.
  13. 정만진, 권오곤, 우창훈, 안희덕. 요통환자에서 중성어혈 약침 사용 용량에 따른 효과. 대한약침학회지. 2011;14(2):45-52.
  14. 이진복, 임정균, 이형걸, 육태한, 김종욱. 요통 환자의 침치료와 완과침 병행치료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지. 2011;28(2):43-7.
  15. 이진복, 임정균, 이형걸, 김종욱, 육태한, 송범용. 요통환자의 침치료와 족침 병행치료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지. 2011;28(4):1-7.
  16. 류혜선, 김성필, 천혜선, 류미선, 신정철, 위통순. 단순 요통환자에 대한 침치료와 중성어혈-녹용 혼합약침 병행치료의 효과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1;28(6):149-57.
  17. 염승철, 이길승, 김성철, 이건목.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심종요통(十種腰痛)에 근거(根據)한 요통환자(腰痛患者)의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5;22(4):95-111.
  18. 김경태, 송호섭. 좌섬요통(挫閃腰痛)에 있어 봉약침(蜂藥鍼)의 효과(效果)에 대한 연구(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5;22(4):113-20.
  19. 서보명, 이윤경, 최성훈, 김경운, 윤종석, 임성철, 정태영, 한상원, 서정철. 좌섬요통에 대한 BU 약침의 효과. 대한약침학회지. 2005;8(2):5-10.
  20. 이광호, 문경숙, 김태우, 박현재, 양승인, 원승환, 권기록. 교통사고로 인한 요통환자의 瘀血方 치료효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4;21(6):151-8.
  21. 손지형, 임호제, 이승현, 한승혜, 문성일. Visual Analogue Scale을 사용하여 분석한 전침시행 요통환자의 퉁증 호전에 대한 임상 연구. 대한침구학지회. 2004;21(5):27-44.
  22. 송형근, 송민식, 김정호, 강재희, 김영화, 김영일, 홍권의, 이현, 이환동. 急性期 腰痛의 治療에 刺絡療法의 竝行이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4;21(5):113-22.
  23. 서보명, 윤종석, 김성웅, 이세연, 이경민, 배은정, 서정철, 임성철, 정태영, 한상원. 腰痛 患者의 한방단독치료와 한양방협진치료의 효과 비교. 대한침구학회지. 2003;20(6):140-7.
  24. 이상훈, 정병식, 윤형석, 조성규, 김성욱, 이윤호. 胃中穴刺絡의 腰痛에 대한 治療效果. 대한침구학회지. 2002;19(1):65-75.
  25. 김기현, 임형호, 황현서, 송호섭, 송영상, 권순정, 김경남, 안광현, 이성노, 강미숙, 전임정. 挫閃.瘀血 腰痛에 動氣鍼法 및 複合治療의 有效性 및 安定性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2;19(3):107-14.
  26. 강미숙, 송호섭, 권순정, 김기현, 변임정, 황현서, 이성노, 임정은. 침구 치료와 활락탕 투여가 급성요통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의학회지. 2001;18(5):43-9.
  27. 신상일, 이승덕, 금경호, 금갑성. 腰椎部 捻挫 患者에 대한 臨床的 觀察. 대한한의정보학회지. 1998;4(1):94-104.
  28. 김형태. 腰痛患者에 對한 臨床的 考察. 석사학위논문 慶山大學校 保健大學院. 1996.
  29. 전재관, 한상원. 腰痛에 對한 臨床的 觀察. 대한침구학회지. 1996;13(1):181-90.
  30. 이상영, 정필선, 한세혁, 황춘호, 윤영제, 김형석, 김형우, 정현우. 한방 집중 치료 후 호전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10례. 대한동의생리학회지. 2011;25(4):702-7.
  31. 이재영, 박소현, 한상엽, 박재영, 이현종. 요추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요통에 대한 신선구법 병행치료 효과의 대조군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1;28(4):77-83.
  32. 양미성, 강대희, 기영범, 박수곤, 조희근, 최진봉, 설재욱, 김선종.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한의학적 치료와 슬링운동 병행 치료 효과.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10;27(4):5-13.
  33. 함은영, 김도호, 염승철, 김형수, 이재규, 이건휘, 이건목. 요각통(腰脚痛) 환자의 침구치료(鍼灸治療)와 감압요법(減壓療法)을 병용한 효과(效果)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대한침구학회지. 2008;25(1):131-8.
  34. 차정호, 장소영, 이태호, 위종성, 이은용. 급성기 요추간판탈출증에 있어 봉약침 치료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6;9(2):67-71.
  35. 김경운, 서보명, 윤종석, 이윤경, 최성훈, 이경민, 임성철, 서정철, 정태영, 한상원. 요추간판탈출증에 봉약침의 근위 취혈과 근위 및 원위 취혈의 비교. 대한침구학회지. 2005;22(6)181-7.
  36. 이건목, 이길숭, 염승철, 장재호, 윤주영, 황병천, 국우석, 장지연, 최정선, 김양중, 박종운, 조남근. 蜂藥鍼을 위주로 한 腰椎椎間板脫出症의 突出型 患者(Protrusion disc patients)에 대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2004;21(5):13-26.
  37. 김성남, 김성철, 최회강, 소기숙, 임정아, 문형철, 이종덕, 최성용, 김홍훈, 이옥자. 腰椎間板 脫出形態別 蜈蚣藥鍼의 效果에 관한 臨床的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4;21(5):79-100.
  38. 위종성, 원승환, 황정수, 선승호, 안영민, 손승현, 박기철, 박희수. 腰痛 환자에 대한 針治療와 直接灸 竝行治療에 대한 比較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4;21(6):221-32.
  39. 이동현, 박은주, 신정철, 나건호, 위통순, 이삼로, 류충열, 조명래, 채우석, 윤여충. 견인요법을 병용한 요통 및 요각통 환자 40례의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21(5):163-77.
  40. 차재덕, 정성민, 김경옥, 김경석, 김남옥. 요추간판탈출증에 기인한 요통환자의 침치료와 봉독약침 병행치료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4;21(1):149-58.
  41. 최회강, 소기숙, 황우준, 이건목, 김성철, 고강훈. 요추간판탈출증(腰椎間板脫出症) 치료(治療)에 미치는 오공약침(蜈蚣藥針)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대한약침학회지. 2003;6(1):19-32.
  42. 김재홍, 조명래, 채우석.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30例의 요추신연변 倂用에 대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2003;20(3):229-37.
  43. 최회강, 소기숙, 고강훈, 박소영, 김성남, 이종덕, 원경숙, 문형철, 김성철. 추적조사를 중심으로 한 腰椎間板脫出症에 대한 蜈蚣藥鍼의 臨床的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3;20(3):238-52.
  44. 박소영, 이경윤, 최회강, 소기숙, 이종덕, 김성철, 고강훈. 오공약침(蜈蚣藥針)을 이용한 요추간판탈출증(腰椎間板脫出症) 치료(治療)의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대한약침학회지. 2002;4(3):47-57.
  45. 김재홍, 박은주, 박춘하, 조명래, 유충렬, 채우석. 腰痛 및 腰脚痛 患者의 體鍼療法과 五行鍼法의 腎正格倂用에 의한 증상호전 비교. 대한침구학회지. 2002;19(1):84-91.
  46. 고강훈, 박소영, 최회강, 소기숙, 황우준, 이건목, 김성철. 蜈蚣藥鍼을 이용한 腰椎間板脫出症 治療의 臨床的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2;19(3):192-206.
  47. 양승정, 조성희, 진천식, 김종석. 산후요통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191-8.
  48. 윤형석, 박동석. 蜂毒藥鍼療法으로 호전된 극심한 통증의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성인병학회지. 2000;6(1):144-9.
  49. 김지훈, 이재동. 요추간판탈출증 환자 22례에 대한 봉독악침 치료의 요통 평가지수를 이용한 임상보고. 대한한의학회지. 1999;20(2):200-7.
  50. 박상준, 조명래, 금종석. 腰痛患者 100例에 대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1999;16(4):119-35.
  51. 이병철. Extrusion type의 腰椎 椎間板脫出症 患者의 蜂毒療法을 竝行한 韓醫學的 治療의 臨床報告. 대한침구학회지. 1999;16(2):285-93.
  52. 이현, 이병렬, 박겨울. 침구과에 입원한 요통환자의 요추 안정성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9;16(1):41-55.
  53. 박상용, 이병렬. 電算化斷層撮影所見上 腰椎椎間板脫出症으로 確診된 患者에 對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1998;15(1):69-79.
  54. 김경호, 김갑성, 안형준. 요통환자의 진단명에 따른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1997;14(1):31-47.
  55. 배주한. 腰痛患者의 經穴에 대한 電氣刺戟療法의 效果. 학위논문. 경산대학교보건대학원 1996.
  56. 금경호, 윤종화, 금갑성, 안창범. 腰脚痛의 鍼灸治療效果에 對한 臨床的 考察(附題:腰椎間板 脫出症을 中心으로). 대한침구학회지. 1990;7(1):155-76.
  57. 정기훈, 차정호, 황희상, 전재천, 이태호, 이은용, 노정두. 흉요추 압박골절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9;26(1):81-90.
  58. 양가람, 송호섭. 흉(胸), 요추압박골절(腰椎壓迫骨折)에 대한 봉약침(蜂藥鍼) 복합치료(複合治療) 효과(效果). 대한침구학회지. 2008;25(3):29-39.
  59. 임정은, 금기현, 황현서. 胸.腰椎 壓迫骨折 患者에 대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2000;17(2):41-52.
  60. 이병렬, 이준구. 흉 요추 압박골절 환자 3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8;15(2):427-36.
  61. 김성필, 김재홍, 류혜선, 천혜선, 신정철. 자하거약침요법을 이용한 마미증후군 FBSS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11;28(5):135-42.
  62. 서보명, 이윤경, 김성웅, 이세연, 임성철, 정태영, 안희덕, 한상원, 서정철. 홍화자(紅花子) 약침요법(藥鍼療法)을 가미한 한방치료로 호전된 마미증후군(馬尾症候群) 환자(患者) 1례(例).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5;22(1):33-41.
  63. 변임정, 이성노, 안광현, 송원섭, 권순정, 강미숙, 송호섭, 김기현. 蜂藥鍼療法을 중심으로 한 복합치료가 排尿困難이 主證인 馬尾症候群 患者 1례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19(6):205-13.
  64. 곽민아, 이은주, 박치상, 변준석, 박창국, 황희정. 마미증후군 환자 증례보고(症例報告). 대한방내과학회지. 2001;22(4):773-8.
  65. 한경완, 김은석, 우재혁, 이슬지, 이준석, 남지환, 김기원, 고강훈, 유인식. 봉약침 병행치료한 요추관 협착증 환자 119례에 대한 임상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11;28(3):21-31.
  66. 정선미, 박찬규, 김광호, 김자영, 손성철. 요추관 협착증에 대한 봉약침 병행 치료 효과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25(1):97-106.
  67. 황재연, 도원석. 요추관협착증의 한의학적 보존적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0;17(3):116-24.
  68. 김미려, 허수영, 이정훈. 척추관 협착증 치험 1 례 보고. 대구한의대학교 제한동의학술원지. 1999;4(1):634-43.
  69. 한상원. 退行性 變化로 因한 腰椎管狹窄症에 對한 臨床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1995;12(2):351-9.
  70. 김현중, 이삼로, 변재영, 안수기. 척추전방전위증의 한방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0;17(3):106-15.
  71. 이승교, 인창식. 강직성척추염에 대한 봉약침요법 증례보고. 대한약침학회지. 1999;(2):139-49.
  72. 김종한. 요통 환자에 대한 침치료 유효성 및 안전성 검증을 위한 임상연구. 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침구학과. 2013.
  73. 김유진. 요부 굴곡과 신전운동의 관점에서 분석한 만성요통의 침치료 효과. 상지대학교 학위논문 재활의학과. 2012.
  74. 조유정. 만성 요통에 대한 침치료 효과. 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재활의학과. 2010
  75. 박찬규, 김수장, 김자영, 정선미, 민은경. 요둔통 환자에 흉요추이행부 협척혈 병행 치료 효과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9;26(1):15-22.
  76. 이태호, 황희상, 장소영, 차정호, 정기훈, 노정두, 이은용. 요각통 환자에 대한 Bee Venom과 Sweet Bee Venom의 효능 비교 연구. 대한약침학회지. 2007;10(3):85-9.
  77. 장진욱. 만성 요통환자에게 추나요법, 침, 운동요법이 요부재활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7.
  78. 송계화, 박기범, 이진석, 김대중. 급성기 요통의 침치료에 있어서 근위취혈과 원위취혈병용(遠位取穴倂用)의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6;23(4):61-8.
  79. 이순호, 소웅룡, 신경호, 김제관, 김종욱. 瘀血藥鍼 竝行施術이 腰痛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003;9(2):59-73.
  80. 문상은. 腰痛患者의 脊柱骨格筋 均衡 回復을 위한 實證的 硏究. 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2001.
  81. 김홍현. 만성 요통 환자의 요부 안정화 운동 방법에 따른 Oswestry 요통 장애지수, 시각적 통증사상척도 및 요부등척성 근력의 비교. 학위논문 울산대학교 스포츠관리전공. 2011.
  82. 박성광. 척추안정화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요부신전근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05.
  83. 강경화, 김동욱, 김미정, 문현주, 박영희, 박성덕, 김선엽. 요부 안정화 운동이 급성기 요통 경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4;10(1):68, 71-3.
  84. 양승훈. 요부 안정화운동이 요통환자의 요추부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물리치료학과. 2003.
  85. 이원재. 만성요통환자에게 도수저항 운동치료 적용이 통증감소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1.
  86. 장창호. 抵抗運動治療療法이 腰痛患者의 臨床樣相에 미치는 影響. 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2007.
  87. 김승원. 정체운동이 성인의 만성요통과 일상생활동작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2012.
  88. 정한종. 정체(正體) 운동요법이 요통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대체의학과. 2009.
  89. 장재선.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요통운동의 복합적용이 만성요통 환자의 주관적 통증과 척추 만곡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2010.
  90. 박진협. 규칙적인 능동 골반 운동과 엠브라스 운동이 요부 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을지의과대학교. 2005:9-12.
  91. 이광규. 탄력밴드, Swiss ball,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 중년여성의 체중 분배, 요부 근력 및 요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09:31, 33.
  92. 허진강. 매트운동과 볼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 균형 및다열근의 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2011;9(3):525-34.
  93. 강민경.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의 체간기능장애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대학원. 2009.
  94. 조혜영. 치료용 볼과 고정된 지면에서의 중심안정성 운동에 따른 요통환자 요부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95. 김이천. Physioball과 floor의 요부 안정화 운동이 성인남자 복근 및 배근의 근 활성도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스포츠 의학과. 2005.
  96. 원희석. 만성요통을 위한 운동재활요가. 한국운동재활학회지. 2005;1(2):18-29.
  97. 강경화, 김동욱, 김미정, 문현주, 박영희, 박성덕, 김선엽. 요부 안정화 운동이 급성기 요통 경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4;10(1):68, 71-3.
  98. Graves JE, Pollock ML, David M, Carpenter DM, Fulton MN. Quantitative assessment of full ROM isometric lumbar extension strength. Spine. 1990;15:289-94. https://doi.org/10.1097/00007632-199004000-00008
  99. 김수현. 등속성 및 등장성 재활트레이닝이 척추수술 환자의 근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1997.
  100. AllanDB, Waddell G. An historical perspective on low back pain and disability. Acta Orthop Scand Suppl 1989:60(1).
  101. Kim JH, Nam DW, Kang JW, Kim EJ, Kim KS, Kang SK, Lee JD. A review of clinical trials for development of assessment criteria for chronic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Korea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9;26(6):215-24.
  102. Survey on use of Oriental medicine and herbal medicin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103. Rubinstein SM, Middelkoop M, Kuijpers T, Ostelo R, Verhagen AP, Boer MR, Koes BW, Tulder MW.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ive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chronic non-specific low-back pain. Eur Spine J. 2010;19(8):1213-28. https://doi.org/10.1007/s00586-010-1356-3
  104. Santaguida PL, Gross A, Busse J, Gagnier J, Walker K, Bhandari M.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back pain utilization report. Evid Rep Technol Assess (Full Rep). 2009;177:1-221.
  105. Trigkilidas D. Acupuncture therapy for chronic lower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n R Coll Surg Engl. 2010;92(7):595-8. https://doi.org/10.1308/003588410X12699663904196
  106. 김경철. 일차진료의를 위한 요통 관리 전략. 가정의학회지. 1999;20(5):634-46.
  107. 박기덕, 주성범. 요부강화 운동프로그램과 수기치료의 적용이 40대 여성 만성요통 환자들의 체력 및 요부신전근력에 미치는 효과. 학국체육학회지. 2005;44(6):497-506.
  108. 이강우, 김진호, 한태륜. "요통과 경부통" 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08:4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