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ages of Apartment Housing through Korean Films in 1930~60s

1930~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아파트 이미지 연구

  • Published : 2013.04.25

Abstract

'Film' is a visual medium and an assemblage of social activities. Also film reflects director's message and the housing culture of those days. Architecture represented on the screen express opinions and feelings of the public and demonstrate the ways people have put meaning on the notions of the home, domestic culture, public spaces, and so forth. This study starts with these 'visuali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ilm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18-Korean-films, which contain the 'Images of Apartment Housing', in 1930~60s called 'the early stage of Korean apartment culture'. With shot analyses of the films and related materials, this paper has an objective on how the film director interpreted and used the apartment architecture as cinematic elements, and how the images of apartment housing were represented in their films.

Keywords

References

  1. 그래엄 터너 저, 임재철 외 역, "대중 영화의 이해", 한나래출판사, 서울, 1994
  2. 김종욱, 민족문화영상협회, "실록 한국영화총서 제1집(하)", 국학자료원, 서울, 2002
  3. 문근종, 서유진,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 영화에 나타난도시/건축적 요소의 활용",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권, 11호, p.p. 293-300, 2010
  4. 문근종, "이현승 감독 영화에 적용된 프로덕션 디자인의 건축적 성향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4, p.p. 225-241, 2012
  5. 베아트리츠 꼴로미냐 저, 박훈태, 송영일 역, "프라이버시와 공공성: 대중매체로서의 근대건축", 문화과학사, 서울, 2000
  6. 심우갑, 강상훈, 여상진, "일제강점기 아파트 건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9호, p.p. 159-168, 2002
  7. 유병욱, "1970년 이전 한국영화에서 나타난 집합주거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2005
  8. 장성수, "1960-1970년대 한국 아파트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
  9. 전남일, 손세관, 양세화, 홍형옥, "한국 주거의 사회사", 돌베개, 파주, 2008
  10.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홈페이지.
  11. Jacobs, Steven, The Wrong House: The Architecture of Alfred Hitchcock, 010 Publishers, Rotterdam,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