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Western-Style Mansions in Seoul in the Late 1930's - Focusing on Three Mansions designed by Korean Architects -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 한인 건축가가 설계한 3채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3.07.25

Abstract

It is evident that certain mansions built in the 1910's for the Korean aristocrats in Seoul designed by foreign architects were used for receptions instead of functioning as regular dwellings. Only in the late 1930's were Korean architects able to start designing the western style mansions adapted to the actual Korean locality. The three mansions studied in this research show in plan that kitchen and annexe spaces are applied to the western style mansions. They are characterized by using 'the three-bay layout with a vestibule' or 'the two-bay layout with a hall' instead of using 'the central corridor type' derived from the Japanese houses of the 1930's. It is also noteworthy to examine how the traditional dwelling Hanok were attached to the western style mansions. In general, Hanok was connected to the western style mansion with a separate corridor while the Japanese house was directly attached to the western style mansion. Both of Hanok and Western style mansion were used for dwelling. Commonly, this double way of life with Hanok has been considered pre-modern. These three cases were, however, not relevant to the modernization though built in the late 1930's. It was rather a matter of clients' taste or architects' choice.

Keywords

References

  1. '99 건축문화의해 조직위원회 . 국립현대미술관, 한국건축100년, 도서출판 피아, 1999
  2. 김정동, 한국근대건축의 재조명, 건축사, 1989년 2월호
  3. 김정동, 김세연과 그의 건축활동에 대한 소고,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11
  4. 서울특별시, 서울경교장 수리보고서, 서울특별시, 2012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 20세기 공간변천사, 2001
  6. 선우진 지음, 최우진 엮음, 백범 선생과 함께한 나날들, 푸른역사, 2008
  7. 안성호, 일제강점기 속복도형 일식주택의 이식과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1997
  8. 우동선, 허유진, 가회동 177-1번지 저택에 대하여, 한국건축역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2. 5
  9. 윤능선, 원로회고(2) 피난 인플레시절의 만능멋쟁이 全用淳會頭, 월간 경제풍월, 2000. 11.
  10. 윤일주, 양식건축유입시기에 있어서의 한국인건축가의 활동과 그 작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근대건축사연구- 고윤일주교수 추모논문집 -,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동창회, 1987
  11. 이경아, 일제강점기 문화주택 개념의 수용과 전개,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12. 임창복,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돌베개, 2011
  13. 전남일, 손세관, 양세화, 홍형옥, 한국주거의 사회사, 돌베개, 2008
  14. 전남일, 한국주거의 공간사, 돌베개, 2010
  15. 전봉희, 권용찬,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16. 전창일, 추상록, 공간 1967년 4월호
  17. 조경희, 희망방담(제35회): 광업가 최창학, 주간희망 통권 69호, 1957년 4월 19일자
  18. 종로구, 이준구 가옥 창호보수공사 보고서, 종로구, 2008
  19. 종로구청, 폐쇄지적도, 구토지대장, 구가옥대장
  20. 草貝王, 千萬長者崔昌學, 돈의 分布狀態, 親한 親舊들과 二百萬圓을 社會에 내놋는단 所聞, 삼천리, 제10권 제5호, 1938. 5
  21. 최종현, 김창희, 오래된 서울, 동하,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