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Generation Pattern and Generation Amount of Asbestos Containing Material, When Demolition of Buildings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District

주택재개발 지구 내 건축물 해체 시 석면함유자재의 발생패턴 및 발생량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영찬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 홍원화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 손병훈 (대구공업대학교 건축설비소방안전계열) ;
  • Published : 2013.07.25

Abstract

In this country, the use of asbestos was banned completely according to revision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in February of 2009. Especially, more than 82% of imported asbestos is used as building materials. Slate among materials included asbestos is used wide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by the 1960s, so more than about 1 million and 230 thousand buildings are distributed on a national scale. Such slate becomes superannuated, so arsenic acid in asbestos can become a problem. Therefore, change is pushing ahead by the government. In safety control about asbestos enforced at April of 2012, it is obligated to investigate buildings included asbestos beforehand, and is stipulated to take asbestos out as specified waste before general construction materials are demolished. However, there is no study about prediction of generation pattern and generation amount of asbestos containing material, so there is much trouble from level of investigation-plan establishment and investigation-cost computation. Therefore, the study selects a district of housing redevelopment and does exhaustive search of buildings in the district. And then, generation pattern of asbestos containing material is analyzed, and its calculation formula of generation amount is deducted. It can be going to be used economically in asbestos-work planning of district unit such as district of housing redevelopment and housing environment amelioration district, and in prediction of generation amount and processing cost about asbestos waste.

Keywords

References

  1. Kim 외 3인,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the Asbestos Cement Slates and Calculation on the Cost of Disposal in the Rural Area, Architectural Research, 2011. 6
  2. 구준모, 국내의 석면 해체.제거 작업,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2009
  3. 김영찬, 석면슬레이트의 적정처리를 위한 분포특성 고찰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찬, 손병훈, 홍원화, 농어촌 주택 석면슬레이트 지붕재료 사용실태 및 거주자 인식도 조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 11
  5. 백도명 외 8인, 우리나라 일부 석면사업장의 석면폐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7권 제 1호, 1995
  6. Bornemann P, Hildebrandt U. On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weathering products of asbestos cement. Staub Reinhalt. Luft, 1986
  7. 환경부, 석면관리총람, 2009
  8. 김현욱 외 5인, 슬레이트 지붕 노후화에 따른 석면 섬유방출량, 한국 산업위생학회지 제 20권 제 2호, 2010
  9. Spurny KR, On the release of asbestos fibers from weathe red and corroded asbestos cement products. Environmental Research, 1989
  10. 김정옥 외 3인, 건축물대장을 이용한 수치지도 속성정보의 효율적 갱신방안 : 새주소사업의 건물번호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측량학회지, 제 26권 제 3호, 2008
  11. 김영찬, 손병훈, 박화미, 홍원화, 도시지역 건축물의 석면슬레이트 지붕재료 분포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 1
  12.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 3조 5항
  13. 정다위 외 9인, 농가건물의 폐석면 발생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발표논문집, 2009
  14. 새마을연구회, 새마을운동 10년사, 내무부, 1980
  15. 국토해양부 e-AIS 세움터 건축물 등록시스템(건축물대장)
  16. 김영찬, 손병훈, 전규엽, 홍원화 도시지역 주거용 건축물의 슬레이트 지붕재료 사용실태 분석,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 10
  17. 환경자원공사, 농어촌 슬레이트 사용실태 조사 및 신규 자원화 사업 안내, 2009
  18. 대한석면관리협회 홈페이지 http://www.asbestos.or.kr/
  19. 송태협 외 3인, 석면 해체 공사비용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구조계 제29권 제1호, 2009
  20. 환경부, 농어가 슬레이트 사용실태 조사 및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2010
  21. 신용철, 손병훈, 홍원화, 건축물 해체시 폐석면 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구경북지회, 2007
  22. 국토해양부, 건설공사표준품셈, 2010
  23. 노동부, 석면해체 제거공사 매뉴얼, 2007
  2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석면해체.제거 작업지침, 2009
  25. 한정 외 3인, 농촌 현대화시범마을 현황 및 주거만족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5권 제9호, 2009
  26. 전호상 외 1인, 농촌 근대화 과정에서 70년대 새마을운동의 농촌표준주택 설계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00
  27. 석면안전관리센터 홈페이지 http://www.info-asbestos.org/
  28. 김현옥외 5인, 석면슬레이트 표면에서 시간에 따른 석면섬유 방출 연구 산업보건학회 집담회 초록 p.83, 2008
  29. HSE Books Health and Safety Executive, Asbestos : The survey guide, 2010
  30. Yasuhiro Otaki, Nishiyama, Asbestos ban opens new doors, Sealing Technology, 2007
  31. Son 외 1인,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Wastes Generated from Demolition of Buildings in the Housing Environment Amelioration District, Architectural Research 201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