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the Improvement and Using Realities for the Songrim Woodlands Management in Hadong, Gyeongsangnamdo

하동 송림 관리 및 이용실태와 개선방안 분석

  • Hwa, Sam Yo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Jae-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화삼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박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management program and soil restoration plan through analysis of soil properties and visitor questionnaires in Songrim in Hadong, Korea. Soil bulk density in Songrim was slightly higher in the closed-woodlands ($1.31g/cm^3$) than in the open-woodlands ($1.39g/cm^3$). Soil bulk density in the closed-woodlands was higher in walking trails ($1.74g/cm^3$) than in forest areas ($1.39g/cm^3$), while the rates of pore space were lower in walking trails (42.6%) than in forest areas (50.5%). The soil porosity were lower in the closed-woodlands (34.6%) than in the open-woodlands (42.6%). Soil strength in surface soil was slightly lower in the open-woodlands ($8.5kgf/cm^2$) than in the closed-woodlands ($10.5kgf/cm^2$).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exchangeable cations of the woodlands was low compared with the optimum nutrient content for tree growth in Korea forest soil. According to the survey, the objective of visiting in Songrim was to enjoy recreation and landscape views. To conserve pine forest ecosystems in Songrim, the respondents said that it needs to the implement of closed-woodland periods, the establishment of smoking free zone, and the prohibition of garbage throwing and alcohol including disciplinary rules and education. Also the respondents said that pine forest ecosystem in Songrim is relatively sound, but the woodlands require the intensive management to the eco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native understory vegetation, such as grasses under pine forest ecosystem. It is recommended to designate the rest-year forest for a proper period in all woodlands to restore the Songrim soil rather than the alternation application between the rest-year for three years or non-rest-year trails, and to open partially the walking trails across the woodlands after the period. In addition, the forest within the woodland is need to designate a long-term rest-year.

이 연구는 하동 송림 내 토양과 입지특성을 분석하고, 이용자들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향후 송림의 토양복원 및 합리적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하동 송림에서 평균토양용적밀도는 휴식년제지역($1.39g/cm^3$)이 비휴식년제지역($1.31g/cm^3$)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하동 송림의 휴식년제 지역에서 산책길의 토양용적밀도($1.74g/cm^3$)는 임내($1.39g/cm^3$)보다 약 1.3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토양의 공극률은 산책길(34.6%)이 임내(47.7%) 보다 1.4배 낮았다. 비휴식년제지역에서 산책길의 토양용적밀도($1.53g/cm^3$)는 임내($1.31g/cm^3$)보다 약 1.2배 높았으며, 토양의 공극률은 송림의 산책길(42.6%)이 임내(50.5%) 보다 1.2배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동 송림(산책길)에서 토양의 공극률은 휴식년제지역(34.6%)이 비휴식년제지역(42.6%)보다 낮게 나타났다. 송림 지표토양의 토양경도는 휴식년제지역, 비휴식년제지역은 각각 10.5, $8.5kgf/cm^2$로 토양용적밀도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송림의 토양 화학성(토성, 토양pH, 유기물함량,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양이온)은 식물이 성장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적정함량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림을 탐방하는 이용자들은 휴양 및 경관조망이 주를 이루고 있고, 송림의 소나무 숲 생태계를 유지 보전하기 위한 관리를 위해서 휴식년제의 실시와 아울러 음주가무, 흡연, 오물투기 등 송림에서 행해지는 이러한 사항에 대한 단속 및 금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은 현재 송림의 소나무 숲 생태계는 비교적 양호하다고 판단하지만 소나무 숲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관리와 아울러 소나무숲 하층식생으로 자생종 화본과식물의 도입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훈. 1994. 임도 절토비탈의 식생조성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1.
  2. 김성진. 1992. 지역주민참여에 의한 도시공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22.
  3. 김용근, 조중희, 박태희. 2002.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서 주민의 참여의식에 관한 연구 - 초안산근린공원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87-295.
  4. 박재현. 1995. 백운산 성숙활엽수림 개벌수확지에서 벌출직후의 환경변화와 운재로 침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37.
  5. 박재현. 2010. 하동 송림 복원을 위한 휴식년제 효과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5): 172-179.
  6. 우보명, 박재현, 김경훈. 1994a. 벌채적지 운재로의 토양가밀도 변화와 자연식생회복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3(4): 545-555.
  7. 우보명, 오구균, 김경훈, 박종영, 박정호. 1994b. 백운산 연습림내 벌채지역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I). 서울대학교 연습림연구보고 30: 15-25.
  8. 유기준, 김용근. 2000. 지리산국립공원 이용객 행태 및 이용관리에 대한 중요도 - 성취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367-374.
  9. 전근우, 오재만. 1992. 임도사면의 토사유출과 식생침입에 관한 연구(I). 강원대학교 연습림보고 12: 39-58.
  10. 정진현, 김춘식, 구교상, 이충화, 원형규, 변재경. 2003. 한국 산림토양의 모암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2: 254-262.
  11. 藤原俊六郞, 安西微郞, 加藤哲郞. 1996. 土壤診斷の方法と活用. pp. 281.
  12. Adams, P.W. 1981. Compaction of forest soils: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USDA Forest Service. PNW-217.
  13. Brady, N.C. and Weil, R.R. 2002.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3thed. Prentice Hall. p. 960.
  14. Froehilich, H.A., Miles, D.W.R. and Robbins, R.W. 1985. Soil bulk density recovery on compacted skid trails central Idaho. Soil Science Society American Journal 49(4): 1016-1017.
  15. Krag, P., Higginbotham, K. and Rothwell, R. 1986. Logging and soil disturbance in southeast British Columbia. Canadian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6: 1345-1354. https://doi.org/10.1139/x86-238
  16. Sidle, R.C. 1980. Impacts of forest practices on surface erosion. A pacific northwest extension publication, Oregon. USDA Forest Service. PNW 19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