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of West Coastal Dune Vegetation and Comparison of the Inorganic Constituents for the Soil and Present Plants

서해안 해안사구식생의 유형분류와 사구토양 및 식물 무기성분 비교

  • Shin, Hak Sub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 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Han, Sang Ha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o, Seong 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Hye Jin (Department of Forest Genetic,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eo Hui (Division of Wood Research, Gyeonggi-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Center) ;
  • Lee, Chun Yong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tion Office of Planning & Research) ;
  • Kim, Chan Beom (Department of Forest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Bae, Young Tae (Department of Forest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hin, Jae Kwon (Plant Conserv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 Yun, Chung W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신학섭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혜진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한상학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고승연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강혜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서희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나무연구팀) ;
  • 이천용 (한국산지보전협회 기획연구처) ;
  • 김찬범 (국립산림과학원 방재연구과) ;
  • 배영태 (국립산림과학원 방재연구과) ;
  • 신재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o understand the community structures of the vegetation of the beaches and coastal dunes of Seocheon-gun, Boryeong-si, Anmyeon-do, Taean-gun in Chungcheongnam-do and Buan-gun in Jeollabuk-do at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a plant sociological vegetation survey was carried out to make a classification of correlation vegetation communities, a cluster analysis and an inorganic component analysis on the soil and plant body. Regarding the vegetation of the coastal dunes,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31 communities by correlation dominant species, and as a result of a cluster analysis on the vegetation communities, they were classified into five vegetation types such as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Rosa rugosa community, Imperata cylindrica community, Vitex tend community and Elymus mollis community. The soil pH was highest in Seocheon area ($7.54{\pm}1.18$) while lowest in Buan area ($6.29{\pm}2.15$), and regarding inorganic components, the nitrogen content was highest in Robinia while lowest in Imperata cylindrica. The soil PH of vegetation I was highest (8.23) among the five vegetation types, and the organic matter was lowest (71.58). As a result of CCA ordin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environmental factors,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Rosa rugosa community and Imperata cylindrica community among the five vegetation types were distributed while they were not affected by soil environmental elements, but Vitex tend community and Elymus mollis community were distributed mainly at the places with high $K^+$ content in the soil.

우리나라 서해안에 위치한 충청남도 서천군 보령시 안면도 태안군과 전라북도 부안군의 해빈과 해안사 구 식생의 군집구조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상관식생군락 분류와 유집분석 및 토양과 식물체의 무기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해안사구 식생은 상관우점종에 의해 구분되는 식물군락은 31개 군락으로 분류되었고, 식생군락의 유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갯메꽃군락, 해당화군락, 띠군락, 순비기나무군락, 갯그령군락으로 총 5개 식생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토양의 pH는 서천지역이 $7.54{\pm}1.18$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부안지역이 $6.29{\pm}2.15$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식물체 무기성분은 아까시나무의 질소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띠의 질소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유형별 토양 pH는 식생유형 I에서 8.53으로 가장 높았고, 식물체의 유기물은 71.58로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CCA ordination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5개의 식생유형중 갯메꽃군락, 해당화군락, 띠군락은 토양환경요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분포하는 경향이었지만, 순비기나무군락과 갯그령군락은 토양의 $K^+$ 함량이 높은 곳에 주로 분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宮脇 昭. 1990. 日本植物群落圖說. 至文堂. 東京. pp. 800.
  2. 고정문. 2009. 해안사구식물의 플라보노이드 분석 및 기내배양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74.
  3.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변산반도국립공원. http://www.knps. or. kr/(2011. 12. 30).
  4. 국립수목원. 2011.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www.kna. go.kr/(2011. 12. 30).
  5. 김도균. 2010. 한국 서해안의 내염성 및 내조성 자생수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209-221.
  6. 김윤미, 이중효. 2012. 임자도 대광사구의 식생유형과 대상분포 특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4): 576-587.
  7. 김종국. 2010. 사구식물 생장조절과 관련된 미생물 생산물질 특성규명 및 미생물제제의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373.
  8. 김종원, 이득임, 김원. 1995. 소나무림 및 신갈나무림의 최소면적과 군락구조. 한국생태학회. 18(4): 451-462.
  9.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서울. pp. 240.
  10. 김찬범. 2011. 해안사구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식물 출현에 미치는 연구:한국 중부 서해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47.
  11. 농촌진흥청.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pp. 202.
  12. 박천영. 2009. 대청도 옥죽동 해안사구의 지형 특성 및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2.
  13. 방현주, 이광률. 2011. 영덕 고래불 모래해안의 지형 특성과 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8(3): 83-92.
  14. 보령시청. 2011. http://www.boryeong.chungnam.kr/(2011. 12. 30).
  15. 서천군청. 2011. http://www.seocheon.go.kr/(2011. 12. 30).
  16. 송호경, 박관순, 박혜림, 서은경, 소순구, 김무열. 2005.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8(6): 59-68.
  17. 오구균, 김영선, 김철의. 2010.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식생분포 및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108-116.
  18. 윤충원, 김혜진, 이병천, 신준환, 양희문, 임종환. 2011. 우리나라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형 분류. 한국임학회지 100(3): 504-521.
  19. 이수욱. 1981. 한국의 산림토양에 관한 연구(II). 한국임학회지 54: 25-35.
  20. 이우철, 전상근. 1984.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 서해안의 사구식생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7(2): 74-85.
  21. 이점숙, 임병선, 김하송, 이승호, 조두성, 나덕성. 2000. 위도 연안의 염생식물 분포와 현존량에 관한 생태학적연구. 한국도서연구 11(1): 31-39.
  22.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23. 전지영, 명현호, 이점숙. 2011. 염생식물을 이용한 항만녹색공간 창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3(1): 50-56.
  24.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25. 조 우, 송홍선, 홍성철, 최덕천. 2009.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 499-505.
  26. 최광희, 정필모, 김윤미, 서민환. 2012. 태풍의 통과로 인한 해안사구 지형의 침식과 회복. 한국지형학회지 19(1): 11-28.
  27. 최성철, 배성진, 추연식. 2004. 해안 식물의 무기 및 유기질 양상. 한국생태학회지 27(6): 355-361.
  28. 태안군청. 2011. http://www.taean. go.kr/(2011. 12. 30).
  29. 환경부. 2012. 자연방파제 해안사구. 국립환경과학원. 서울. pp. 142.
  30. 황정숙. 2011. 동해안 해안사구 식물군락의 동태와 사구식물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7.
  31. Beever, E.A., Swihart, R.K. and Bestelmeyer, B.T. 2006. Linking the concept of scale to studies of biological diversity-envolving approachs and tool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2(3): 229-235. https://doi.org/10.1111/j.1366-9516.2006.00260.x
  32. Braun-Blanquet, J. (1928/1965) Pflanzensoziologie. 1st eds. Springer-Verlag. Wien. 3rd eds. Wien: Springer-Verlag pp. 865.
  33.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ony. pp. 194.
  34. Carboni, M., Acosta, A., Carranza, M., Santoro, R., Stanisic, A. 2008. DUNE SABBIOSE COSTIERE DELL'ITALIA CENTRALE. assemblea nazionale LTER Italia.
  35.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6. Davies, R.A. 1972.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In: Davies, R.A. (Ed), Beach and nearshore zone, Springer-Verlag. New York. pp. 379-444.
  37. Ellenberg, H. 1956. Aufgaben a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pp. 136.
  38. Hill, M.O. 1979. DECOR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pp. 52.
  39. Klijin, J.A. 1990. Dune forming factors in a geographical context. In: Bakker, T.H., W. Jungerius, P.D. and Klijin, J.A. (Eds.), Dunes of the European Coasts; Geomorphology-Hydrology-Soils. Catena (supplient) 18:1-13.
  40. Kutiel, P., Zhevelev, H. and Harrison, R. 1999, The effect of recreational impacts on soil and vegetation of stabilised Coastal Dunes in the Sharon Park, Israel, Ocean & Coastal Management 42(12): 1041-1060. https://doi.org/10.1016/S0964-5691(99)00060-5
  41. Levington, J.S. 1995. Marine Biology: Function, Biodiversity, Ec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Toronto.
  42. Ludwig, J.A. and Reynolds, J.F. 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Inc. pp. 337.
  43. Martinez, M.L. and Psuty, N.P. 2004. Coastal dunes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Berlin. pp. 390.
  44. Muller-Dombois,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ley. New York. pp. 525.
  45. Roy, P.S. and Tomar, S. 2000. Biodiversity characterization at landscape level using geospatial modelling technique. Biological Conservation 95: 95-109. https://doi.org/10.1016/S0006-3207(99)00151-2
  46. Shin, J.K., Yun, C.W. and Yang H.M. 2009. Cmmunity Classification for Actual Vegetation of Anmyeon Islan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8, No. 12: 1427-1436. https://doi.org/10.5322/JES.2009.18.12.1427
  47. Short, A.D. and Hesp, P. 1982. Wave beach, and dune interaction in southeastern Australia. Marine Geology 48: 259-284. https://doi.org/10.1016/0025-3227(82)90100-1
  48. Simon, K.H. 2008. Coastal System. Published 4th September by Routledge. pp. 276.
  49. Walker, A., McGuire, A., McMurray, J.J., V.Stewart, S., Murphy, N. 2004. Cost of an emerging epidemic: an economic analysis of atrial fibrillation in the UK. BMJ Publishing Group 90(3): 286-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