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Transfer in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과 현업적용도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 Park, Kyungsun (Center for Innovative Engineering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 Park, Sunhee (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Hannam University)
  • 박경선 (단국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박선희 (한남대학교 교직과)
  • Received : 2013.05.09
  • Accepted : 2013.11.25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valuation of transfer and elicit the implicat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do this, concepts of the transfer and related theories were explored. In terms of data collection method, the researchers conducted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30 graduates who majored in Mechanical engineering by using the transfer tool developed by No and Park (201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a high average (4.27) between major subjects and one's current jobs was revealed. In addition to this, the participants' opportunity to apply what they learned from the college to transfer to their current job setting scored average of 4.10 and this score implies fairly high application of the transfer. In terms of the participants' extent to remember the liberal arts subjects, it scored average 2.90 which was fairly low.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the curriculum, whether the major subjects as well as the liberal arts subjects were necessary for the transfer, the participants showed average score of 3.90. Concerning the item of whether the participants received lectures including practical problems, cases, or experiences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fer, the participants showed 2.63 which was fairly low.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First, regarding majors in educational curriculum, it was shown that educational curriculum were directly applied to the transfer.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involvement in the major-related activities and team projects played a positive role, thus, the involvement in such activities should be enforced. With respect to the improvements of the major, emphasizing the internship of the major-related subjects, courses centered on monitoring the latest programs and job recruiting trends, and informa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tests we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업적용도 평가를 실시하여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환경 등의 교육시스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업적용도 개념과 이론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노혜란, 박선희(2011)가 개발한 현업적용도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30명의 기계공학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 및 반구조화된 문항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현업적용도 설문결과 대학에서 배운 전공교과목이 업무와 관련 정도가 평균 4.27로 나타나 매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현업에 적용하는 기회도 평균 4.10으로 나타나 현업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관한 설문결과는 현업에서 필요한 전공 및 교양과목이었다고 생각하느냐에 대한 문항에 평균 3.90의 결과가 나타났고, 현업적용을 높이는 실제적인 문제나, 사례, 경험 등이 활용되는 수업을 받았는지에 대한 문항에 평균 2.63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인터뷰 결과 대학의 교육과정은 전공의 경우 현업에 대부분 직접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공동아리 활동, 팀프로젝트 등의 활동을 한 것이 현업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연(2012). 연세대학교 공학교육인증제 운영사례 소개. 제33회 공학교육인증포럼: 91-140.
  2. 김종인, 봉현철(2004). Action Learning 방식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의 교육효과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28(4): 85 -120.
  3. 김한종(2011).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3(2): 40-46.
  4. 노혜란 ․ 박선희(2011). 2011년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공공기관 특화교육과정 현업적용도 평가 결과보고서.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5. 박경선(2012). 단국대학교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시스템 운영사례. 제33회 공학교육인증포럼: 51-90.
  6. 박신윤 ․ 김수정(2011).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 프로그램 현업적용도 평가지표 개발. 직업교육연구, 30(3): 49-73.
  7. 박윤희 ․ 장주희(2011). 기업 교육훈련 전이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2011-08 보고서.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8). 서울시 공무원 교육성과 평가시스템구축연구보고서.
  9. 성지미 ․ 강승찬 ․ 민동균(2009). 공학인증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2(4): 102-114.
  10. 이석준(2000). 기업교육훈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의 전이환경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종승(2012). 현대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2. 임오강(2012). 부산대학교 기계공학 프로그램 인증제도 운영 사례. 제35회 공학교육인증포럼: 1-50.
  13. 정재삼(2004). 교육프로그램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4. 한국산업인력공단(2006). 직원 자질 향상 전략체제 설정 및 교육훈련 체제 수립에 관한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15. Baldwin, T. T. & Ford, J. K.(1988).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41: 63-10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8.tb00632.x
  16. Holton, E. F. III & Baldwin, T. T.(2003). Improving learning transfer in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17. Noe, R.(1986). Trainees' Attributes and Attitudes: Neglected Influenced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4): 736-749.
  18. Richey. R. C.(1992). Designing Instruction for the Adult Learner. London: Kogan Page Ltd.
  19. Strauss, A. & Corbin, J.(2001).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CA: Sage. 신경림 역(2001). 근거이론의 단계. 서울: 현문사.
  20. Wexley, K. N. & Latham, G. P.(1991). Developing and training human resources in organizations. Glenview, IL: Scott, Foers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