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dels for establishing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author analyzed the collection space shortage of public libraries, priority of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repositories by province, key functions and practices to accomplish, and a desirable location. An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uthor proposed the basic principles and architectural scales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ies, transfer criteria and ownership of public library' collection, desirable management and operation uni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all of metropolitan must establish the collaborative repositories as soon as possibl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건립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건립환경인 공공도서관 수장공간 부족률, 시도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우선순위, 수행해야 할 주요 기능과 업무, 바람직한 입지조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기본원칙, 건축규모, 공공도서관의 이관자료 기준과 소유권 문제, 바람직한 관리운영 주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정부와 모든 광역시도는 조속히 공동보존서고를 설립 운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