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otton Farming and Transformation of Rural Area in Sanliurfa Prefecture, Turkey

터키 샹르울파주 목화농업의 전개와 지역사회의 변화

  • Kang, Sukkyeo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 Okayama University)
  • 강숙경 (오카야마 대학 환경학연구과 대학원)
  • Received : 2012.12.10
  • Accepted : 2013.02.19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regions is the most of serious problem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Turkey. The Southeastern Anatolia Project (GAP) is being implemented to eliminate these regional development disparities. The work that was initially planned as predominantly for hydraulic energy production to utilize water resources of the Tigris and Euphrates rivers more effectively was later transformed into an integrated multi-sector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This study noted that this region had very limited cash crop production because of the constraints of semi-arid climate of the southeastern region, however, later, it has changed Turkey's major cotton producing region since Southeastern Anatolia Project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background, process, and content of the Southeastern Anatolia Project with respect to high cotton productivity in this region and examined the dynamic changes of cotton productivity in this region. In addition, Sanliurfa prefecture is one of the main development axes of the Southeastern Anatolia Project, because government investments are concentrated on this prefectu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cotton farming growth in this prefecture. In 2011, Sanliurfa prefecture produced 37.6% of Turkey's total cotton production. This is mainly due to agricultural infrastructure expansion such as land consolidation, irrigation, roads and farm roads. Also, it is one of the main factor that subsidies paid to farmers for cotton cultivation. The introduction of irrigation has dramatically changed the direction of seasonal migration of this area. Prior to irrigation, this area had a serious social issue about out-migration for seasonal labor to other area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irrigation made this area that changed to in-migration and intramigration for cotton cultivation. Irrigation water is supplied to farmers through the WUAs (Water User Associations) that handed over irrigation water management, operation from DSI (General Directorate of State of Hydraulic Works). However, the WUAs are under the influence of Ashiret, a traditional feudal social structure. Because of this reason, it does not have an efficient management for farmers. Also, it is one of the reasons that this area does not have autonomous farmer organization.

터키의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 간의 경제 문화적 지역격차는 국가균형개발을 위해 터키정부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남동 아나톨리아 개발계획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수자원을 이용하기 위한 수력개발에서 시작하여, 1980년대 지역균형개발과 사회통합을 목표로 하는 종합적인 지역개발계획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반건조 기후 지역으로 관개용수의 공급 없이는 상품작물의 재배가 불가능한 터키의 남동부 지역이 개발계획에 의해 주요 목화생산지로 변화한 것에 주목하여, 이를 가능하게 한 남동 아나톨리아 개발계획의 배경, 과정, 내용과 그에 따른 목화 생산성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남동 아나톨리아 개발계획의 중심축으로써, 정부의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샹르울파주를 대상으로, 목화농업의 성장배경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샹르울파주는 터키 전체 목화생산량의 37.6%를 생산한다. 이는 하란평원을 중심으로 시행된 정부의 경지정리 사업, 관개용수로 사업, 도로와 농로 등 농업을 위한 기반시설 확충이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목화재배에 따른 보조금 지급도 목화재배가 활성화된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관개용수의 공급은 이 지역 인구이동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관개 이전, 계절적 노동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던 심각한 인구유출 현상은 관개 이후, 관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 내 이동과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인구 유입 형태로 그 내용이 변화하였다. 관개용수는 국가수자원 총국(DS$\dot{I}$)으로부터 관개용수 관리 운영권을 이양받은 관개용수 조합(Sulama Birli$\breve{g}$i)이 각 농가에 공급한다. 그러나 관개용수 조합은 부족집단(Aşiret)을 기본으로 하는 전통적 봉건사회 구조하에 있으며, 이로 인해 농민을 위한 효율적 경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이는 농민 자치조직의 형성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