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n Quality of Life of Single-parent Female Head of Household Economic Stress

한부모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이현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한규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전기복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13.02.04
  • Accepted : 2013.03.08
  • Published : 2013.03.28

Abstract

This study in the lives of single-parent female households demographic and economic variables and economic stress quality financial satisfaction and physical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distressed affect were analyzed. The study took advantage of an analysis of a sample of 430 people living in care facilities nationwide cap material. Using SAS 9.1 (Statistical Analysis System)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 model to set a single-parent female head of household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economic satisfaction, physical health statu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psychologically distressed. Also was identified as a single-parent female households experience economic stres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Especially, showe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ly distressed was a significant influence financial satisfaction and physical health status in.

본 연구는 한부모여성가구주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경제적 스트레스가 삶에 질 즉 경제적 만족도와 신체적 건강상태 그리고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모자보호시설에 거주하는 430명의 표본을 분석자료 활용했다. SAS 9.1(Statistical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한부모여성가구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설정된 연구모형에 의해 분석한 결과, 경제적 만족도,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디스트레스 즉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부모여성가구주가 경험하는 경제적 스트레스는 그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만족도와 신체적 건강 상태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1 인구주택총조사, 2012.
  2. 김영화, 권신영, 최영진, 현대사회와 여성복지, 양서원, 2002.
  3. L. Pearlin and A. Lieberman, "Social Sources of Emotional Distress," In R. Simmons(ed.), Research in Community and Mental Health, pp.217-248, 1979.
  4. 임영선, 저소득 모자가족의 사회적 적응향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4.
  5. S. McLanahan and K. Booth, "Mother-only families: Problems prospects and politics," J.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1, pp.557-580, 1989. https://doi.org/10.2307/352157
  6. http://www.kihasa.re.kr.
  7. 김영희,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8. 황은숙, "서울시 한부모가정 실태조사 연구", 한국한부모가정연구소, 제1권, 제1호, 2006.
  9. 한국여성개발, 여성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여성부, 2001.
  10. 공미혜,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생활실태",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 1985.
  1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저소득 여성가구주 자활촉진을 위한 지역사회실천의 실천과제, 성동지역 복지연대, 2001.
  12. 한국여성단체연합, 여성 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한국여성단체연합, 2001.
  13. 안정선, "도시영세지역 여성의 생활실태 및 건강실태 조사", 공주전문대논총, Vol.17, 1991.
  14. D. Belle, Lives in Stress: Women and Depression, Beverly Hills, CA; Sage, 1982.
  15. 정영숙, 이현지, 장애인복지론, 학연사, 2007.
  16. B. Wolf, Law-Income Mothers at Risk: Psychological Effect of Poverty-Related Stress, Ed. D. diss, Harvard University, 1984.
  17. J. Lempers, D. Clark, and R. Simons, "Economic hardship, Parenting and distress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Vol.60, 1989.
  18. A. Zautra, "The measurement of Quality kife : intorduction to the specilal issu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1, 1983.
  19. B. Spilker, Quality of Life Assessments in Clinical Trials. Raven Press, 1990.
  20. 서명선, 도시 저소득 모자가정 여성가구주의 취업 영향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1. 통계청, 2005 인구주택총조사, 2006.
  22. 김종열, 국가보훈중증상이자의 사회통합과 삶에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Cited by

  1. Qualitative Study on Single Mother's Experiences on a Healthcare Support Program vol.13,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11
  2. The Effects of Engel Coefficient, Angel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Influencing Household Head's Life Satisfaction : according to Income Quintile vol.33, pp.5, 2015, https://doi.org/10.7466/JKHMA.2015.33.5.1
  3.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chan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vol.6, pp.3, 2016, https://doi.org/10.1136/bmjopen-2015-008570
  4. Effects of perceived job insecurity on depression, suicide ideation, and decline in self-rated health in Korea: a population-based panel study vol.90, pp.7, 2017, https://doi.org/10.1007/s00420-017-12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