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lacelessness and Self-Alienation Expressed in the Space of Korean Animation film

한국 애니메이션의 재개발 공간에 나타난 장소상실과 자기소외

  • 오진희 (대구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02.01
  • Accepted : 2013.03.15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problem of the placelessness and alienation through spaces of redevelopment in South Korean animation film since the 2000's. Actual space in South Korean society has been destroyed and changed unceasingly, and, in that space, humans have experienced existential conflict. While the swif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transcended physical restrictions to form one great network, humans are still limited as materially based beings. The recent steps in South Korean animation film are noteworthy because sociocultural changes since the 1990'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system are perceived in way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and , the work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reveal the special sense of place in South Korean society, where the destructive reorganization of space leads to the instability of life. By intentionally bypassing a sense of place and the authority automatically bestowed on representational images, these works prompt the viewer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images. Space in these two works are presented representationally but immediately destroyed, and humans or the characters in the works accept this unfeelingly. The loss of place, which is committed by the massive system, and listless humans' weakness and alienation in response are depicted as signs of sociocultural abnormality. By showing the destructive loss of place and individuals who respond with self-anesthesia and self-estrangement, these works open viewers' eyes to South Korean society, where not only social alienation but also self-alienation is occurring. By perceiving South Korean animation film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and analyzing it through the concepts of the placelessness and alienation, the present study seeks to expand further discussions on animation film.

이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한국 애니메이션에 제시된 재개발 공간을 통해 장소상실과 소외의 문제를 규명하였다. 한국사회의 현실공간은 쉼 없이 파괴되고 변화되어 왔으며, 인간은 그 위에서 실존적 갈등을 겪는다.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물리적 제한을 넘어 하나의 거대한 망을 이루지만 인간은 여전히 물질에 기반 한 존재로서 한계를 갖는다. 한국 애니메이션의 최근 행보가 주목 받아야 하는 이유는 1990년대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 그리고 개인과 시스템의 관계를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분석하고 있는 <도시에서 그녀가 피할 수 없는 것들>과 <소중한 날의 꿈>은 공간의 파괴적 재편성이 삶의 불안정으로 이어지는 한국 사회의 특수한 장소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재현적 이미지가 부여 받는 자동적 권위를 의도적으로 비껴감으로써 실재와 이미지의 관계를 돌아보게 한다. 두 작품의 공간은 재현적으로 제시되지만 곧이어 파괴되며 인간, 또는 등장 캐릭터는 이를 무감각하게 받아들인다. 거대한 시스템에 의해 벌어지는 장소상실과 이에 대응하는 무기력한 인간의 나약함과 소외는 사회문화적 징후이다. 폭력적인 장소상실의 상황과 이에 자기마비 (Self-Anesthesia), 자기소원 (Self-Estrangement)으로 반응하는 개인을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소외뿐만 아니라 자기소외 (Self-Alienation)가 일어나고 있는 한국사회를 알게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애니메이션을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인식하고 장소상실과 자기소외의 개념으로 분석함으로써 애니메이션의 논의를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나병철, 환상과 리얼리티, 문예출판사, 2012.
  2.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5.
  3. 송학룡, 시간과 공간 그리고 지금 바로 여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4. 하성규.김태섭, 한국도시재개발의 사회경제론, 박영사, 2005.
  5. 이푸 투안, 정영철 역, 공간과 장소, 태림문화사, 1995.
  6. 애드워드 랠프, 김덕현 ․ 김현주 ․ 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7. 빌렘 플루서, 김성재 역, 피상성 예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8. 랠프 슈넬, 강호진 외 역, 미디어 미학, 이론과 실천, 2009.
  9. 스티븐 컨, 박성관 역,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2004.
  10. 폴 웰스, 한창완 ․ 김세훈 역, 애니마톨로지@, 한울아카데미, 2001.
  11. 프리츠 파펜하임 (Frits Pappenheim), 황문수 역, 현대인의 소외, 문예출판사, 2003.
  12. 김경애,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공간적 서사 - 하울의 움직이는 성과 몬스터주식회사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4,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13. 모은영, 대도시 서울을 부유하는 현대인의 일상 속 판타지 : <반칙왕>, 영상예술연구, Vol.1(2001), pp.101-113.
  14. 민경환, 소외의 심리학적 개념화, 한국심리학회지, 통권 12(1993), pp.71-88.
  15. 백로라, 홍상수 영화에 재현된 '서울'의 공간적 의미; <극장전>과 <북촌방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56집 16권 3호 (2012), pp.225-243.
  16. 장일구, 서사적 공간의 상징적 기획, 한국언어문학, Vol.58(2006), pp.359-385.
  17. 이승환, 199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도시 공간 재현; <세 친구>와 <고양이를 부탁해>를 중심으로, 영화교육연구, Vol.6, 2004, pp.119-147.
  18. 정종환, 경제학-철학 수고에 나타난 소외의 변증법 연구, 범한철학, Vol.20. No.0(1999), pp.291-309.
  19. 최병두,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소성의 상실과 복원, 도시연구, No.8(2002), pp.253-278.
  20. 최배석, Leos Carax 영화에 나타난 소외의식 연구, 프랑스 문화예술연구, 제37집(2011), pp.437-466.
  21. Buckland, Warren, "Between Science fact and science fiction : Spielbergs Digital Dinosaurs, Possible Worlds, and the New Aesthetic Realism", Screen, 40;2, 1999.
  22. Burch, Noel, Life to Those Shadows, trans., Ben Brewster (BFI), 1990.
  23. Manovich, Lev, The Language of New Media, Cambridge : The MIT Press, 2001.
  24. Moszkowicz, Julia, "To Infinity and beyond : Assessing the technological imperative in computer animation", Screen, 43:3, 2002.
  25. Sturken Maria.Cartwright, Lisa, Practices of Looking :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Oxford Univ. Press, 2001.
  26. http://www.nowornever.co.kr/category/
  27. <소중한 날의 꿈> (Green Days, 2011), DVD, 연필로 명상하기, 2012.
  28. <도시에서 그녀가 피할 수 없는 것들> (The Things She Can't Avoid in the City, 2008), DVD, 지금이 아니면 안 돼,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