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netic resonance imaging Usefulness after Medial Meniscus Posterior Root Tear Repair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 봉합 후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유용성

  • Chon, Jegy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 Kim, Jun-Beom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 Lee, Bong-J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un General Hospital)
  • 전재균 (대전 선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준범 (대전 선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이봉주 (대전 선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Received : 2012.11.16
  • Accepted : 2013.01.10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the usefulnes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or estimate recovery after arthroscopic pull-out repair at root tears of medial meniscu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17 patients who examined MRI and arthroscopy among patients who had received repair of medial meniscus from November, 2007 to June, 2011. To determine restoration meniscus, we performed arthroscopy and MRI. Results: Lysholm knee scores before and after operation were average 56.4 and 79.0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was improved from 8 points to 3 points. From secondary look arthroscopy performed after operation, 17 cases showed stabilization after regeneration. However, In MRI, cleft sign implying root tears of medial meniscus was observed in all cases before and after operation, ghost sign was observed in 10 cases and 9 cases respectively, radial linear defect was showed 17 cases and 15 cases respectively. Conclusion: It was not useful that MRI after medial meniscus repair in non-anatomical site, to consider restoration of medial meniscus. To evaluate for recovery medial meniscus after repair more exactly, secondary arthroscopy would be required.

목적: 슬관절 내측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에 대하여 관절경적 봉합 수술을 시행한 후 유합 유무를 평가하기 위한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유용성에 대하여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을 봉합한 환자 중 술후 MRI와 관절경검사를 모두 시행하였던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검사와 MRI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술전 Lysholm knee score는 평균 56.4에서 평균 79.0으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는 8점에서 3점으로 호전되었다. 2차적 관절경 검사상 17예 모두 섬유화 재생 후 안정화된 소견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MRI 검사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을 시사하는 수직 직선 결함(cleft sign)은 술전후 모두 관찰되었고, 음영 손실(ghost sign)은 술전 10예에서 술후 9예, 방사선 직선 결함(radial linear defect) 소견은 술전 17예에서 술후는 15예에서 확인되었다. 결론: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비해부학적 위치에 봉합한 경우 술후 추시 MRI 검사는 유합 여부 판단에 유용하지 않았다. 유합 여부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절경적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