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of Intergrative Thinking Person : Centering on Robot, New Materials, Space Exploration

고등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로봇, 신소재, 우주 탐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2.18
  • Accepted : 2013.03.23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ducational programs for cultivating of intergrative thinking person. For the study,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were reviewed intensively about STEAM, STEM, robot, new materials, space exploration. As the process of the Study, the strategy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workbook for students and instructional Guide for teacher were developed. The workbooks and instructional guides were tested by pilot test. And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eachers were feedback. The result of the feedback, the programs for the 10 educational Programs for cultivating of intergrative thinking person were developed. Based up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rationale of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of intergrative thinking person was presented. Finally, the application method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studies for effectiveness vertification were proposed.

이 연구는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를 주제로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융합인재교육과 로봇, 신소재, 우주 탐사 주제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마련하였으며, 학생용 교재 체제, 교사용 지도서 체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재는 현장적용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그 결과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의 세 주제에 대한 10차시 분량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개발전략, 학생용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체제를 마련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현장에 적용방안과 적용 결과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이영만. (2000). 교과의 통합적 운영 방안과 과제. 열린교육연구, 8(2), 101-120.
  2. 김진수. (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3. 김현정, 홍훈기 (2010).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한화학회지, 54(5), 633-642.
  4. 김현정. (2011).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된 최신 과학 내용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827-835.
  5. 김현정, 홍훈기, 홍지혜. (2011). 고등학생의 나노 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한화학회지, 55(1), 104-111.
  6. 문대영. (2009).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51-66.
  7. 박혜원.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9. 백윤수, 최유현, 김영민, 노석구, 박현주, 이주연, 정진수, 한혜숙, 최종현(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10.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11. 안혜령. (2011). 통합교육과 STEM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소이. (2012).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의 현장 적용 사례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30-147.
  13.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전영근 (2004).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6, 630.
  14. 이창훈, 서원석. (2012). 오토마타(automata) 만들기를 통한 STEAM 통합 기반의 창의 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67-91.
  15.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서보현. (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30-45.
  16.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심재호, 곽영순, 전영석, 김동영, 장 재현(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C 2005-7, 327.
  17.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2012년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개발과제 제안 요구서. 미간행
  18.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센터. (2007). 자연계열과 공학계열 입학자 수 추이. 한국교육개발원.
  19.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8). 이공계 위기의 진단과 정책대응.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 연구 2008-13, 정책연구 2008-25.
  20. Martin, M. O., Mullis, I. V. S., Beaton, A. E.,Gonzalez, E. J., Smith, T. A., Chrostowski, S. J., Garden, R. A. & O'Conner, K. M. (2000). TIMSS 1999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MA:Boston College.
  21. Martin, M. O., Mullis, I. V. S., Gonzalez, E. J. & Chrostowski, S. J. (2004). TIMSS 2003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MA:Boston Colle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