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direct Exportation vitalization Focused on Digital Related SMEs

디지털 관련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간접수출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최정일 (성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2.12.11
  • Accepted : 2013.01.21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This is the time that political effort is required to encourage domestic companies to expand overseas facing internationalization. Regarding exportation, not only major companies, but SMEs also should be greatly concerned. As for the case of SMEs, it has been thought to be as inferior brand image in domestic market, but as world market such as China is very huge and diverse.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increasing in export of SMEs with concer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develop the potential of SMEs, promoting renovation of system is a must, over the renovation of skill or management.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degree of contribution and route for exports, since every company has different asp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Korean SMEs, and to find further improvements by understanding export route. It also tries to suggest proper policies to vitalize SME's export.

우리나라는 수출이 국가 경제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수출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며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각 기업마다 수출에 기여하는 정도가 다르고 경로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수출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현실적인 정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의 수출 경로나 기여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하겠지만 가능한 중소기업이 수출에 미치는 기여도나 경로를 파악하여 수출 장려 정책을 실행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수출에 기여하는 정도를 산출하고 중소기업의 수출 경로를 파악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찾는데 있다. 또한 중소기업의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적절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