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간 중심의 연계형 기록화의 실행 방안 부산지역 동해남부선을 사례로

Implementing Space-based Networked Documentation for Donghae-Nambu Railway Area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발행 : 2013.04.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방식의 기록화 모형을 부산의 공간 기록화에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로컬리티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 방식의 모형으로는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spanDoc 모형'을 채택하였으며, 이를 기록 수집 및 연계 과정에 적용해 봄으로써 모형의 실효성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모형은 지역의 기록을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로컬리티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지역사에 의미 있는 주제에 관한 기록이 점진적으로 축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사례 공간은 부산지역 동해남부선으로 설정하였다. 부산의 로컬리티를 이동성과 개방성으로 볼 때 고정된 공간이 아니라 연결된 공간이며, 사람들의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역, 역과 역을 이어주는 철도의 기록화가 부산지역의 역사를 남기는 작업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특히 동해남부선은 부산 시내를 관통하는 근거리 교통수단이며 시내의 각 역은 부산 지역민들의 경험과 기억이 축적된 장소들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이 공간에 대한 기록화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모형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문헌 및 자료 분석을 실시하고, 관련 기록을 조사, 수집하는 과정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주제 기술서와 기록 기술서를 작성하고, 각 작업의 결과물들이 상호 연계되면서 지속적으로 축적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모형 실행의 의미와 제한점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acticable and sustainable strategies for locality documentation through networking, linking, and recontextualization of records in digital environments. It applies the 'spanDoc(SPAace-based Networked Documentation) Model to document Donghae-Nambu Railway areas plac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entatively. Considering that mobility and openness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usan, railway areas and their stations can be proper places for representing such localities of the city. Moreover, there can be much experiences and memories of residents surrounding those areas, because Donghae-Nambu Railway has been used as short distance transportation facilities across the inner city of Busan since 1930's. This study tries to implement the documentation strategy for the selected space, following the procedures of the spanDoc Model. Firstly, this study develops the structure of the subjects through investigating the related information sources and archives from various collecting institutions. Secondly, it carries out records surveys to identify the essential records types for documenting the Donghae-Nambu Railway areas. Thirdly, it describes the subjects and sub-subjects, and the entries of places, people and subjects for adding to the dictionaries. Finally, it links many entities such as subjects, records, and dictionary, and builds the databases regarding the inter-links and systematic accumulation of the outputs of each step.

키워드

피인용 문헌

  1. 서사 기반 수집 실행지침의 설계와 개발절차 서울기록원의 S-NAP을 중심으로 vol.65,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20.65.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