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im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treatment with self-checking behavior management program was valuable in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ompared with a existing method treatment group. Methods : All participants who are diagnos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treated with medication and physical therapy. They came into the clinic at intervals of two weeks, three times. The signs and symptoms were assessed investigating Pain NRS(Numerical Rating Scale), MCO(Maximum comfortable opening), Noise NRS, LOM(Limitation of Mouth opening) NRS at every visit.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structions repeatedly by using self evaluation questionnaire. Control group was educated once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The difference Pain NRS, MCO, Noise NRS, LOM NRS between first and second visits, first and third visits were estimated.. Result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on MCO difference after stopping medication(p=0.001). This improvements were prominent in the male(p=0.001) and the first or second decade of the patients(p=0.004).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re was better result when educating repeatedly with using self evaluation questionnaire than educating once at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목적 : 측두하악장애 치료에서 기존의 다른 치료 방법이 동일한 경우, 초진 시에만 서면으로 된 주의사항을 보고 읽어주며 교육했을 때와 내원 시마다 자가평가 설문지를 통한 반복적 주의사항 교육을 시행했을 때의 치료효과 차이를 알아본다. 방법 : 20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환자(n=62, 실험군)와 2011년 10월부터 12월까지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환자(n=156, 대조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된 후 내원횟수, 치료방법을 동일하게 시행한 환자를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자가평가 설문지를 통한 반복적 주의사항 교육을 초진일, 2주 후, 4주 후 시행하였고 또한 Pain NRS(Numerical Rating Scale), MCO(Maximum comfortable opening), Noise NRS, LOM(Limitation of Mouth opening) NRS를 조사했다. 대조군은 초진 시만 주의사항 교육을 하였고, 실험군과 동일 항목을 조사하였다. 실험 군과 대조 군간의 조사항목의 1,2회 내원 시 차이와 1,3회 내원 시 차이를 전체, 연령, 성별, 골 변화 유무별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반복적인 주의사항 교육으로 인한 주의사항 준수는 약물치료를 중단한 후에도 MCO개선을 유지 및 증가 시켰다(p=0.001). 반복적인 주의사항 교육으로 인한 주의사항 준수로 인한 MCO개선 효과는 남자에서 두드러졌으며(p=0.001) 젊은 연령에서 크게 나타났다(p=0.004) 결론: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행동조절을 위한 주의사항 교육은 반복적으로 시행할수록 치료효과가 크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