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nd Measuring Tools about Well-being

웰빙 관련 의약학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과 측정도구 분석

  • Park, Hwang-Jin (Dept. of Qigong,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Lee, Sang-Nam (Dept. of Qigong,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Kwon, Oh-Min (Center for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Han, Chang-Hyun (Center for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박황진 (대구한의대학교 기공학교실) ;
  • 이상남 (대구한의대학교 기공학교실) ;
  • 권오민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 한창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 Received : 2013.01.30
  • Accepted : 2013.04.18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 focusing on well-being studies in medicine.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s attempt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the well-being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ethods : Well-being as a key word was searched on representative domestic databases of articles and the researchers collected the articles of medical journals published from 1980 to 2012. Finally 416 articles of well-being were selected. Results : Among the fields of medicine, well-being studies have been mainly proceeded by nursing science, preventive medicine and psychiatry. Well-being studies that mainly analyzed the variables associated wih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to cancer patients, workers and elderly. But every measuring instrument searched with well-being was adapted from western tools. And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used measuring instrument of well-being and intervention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nclusions : In order to handle the new wave of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research methods using tools to measure these variables need to be developed. Furtherm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hat research on how to take advantage of Yangseng that is health concep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eywords

References

  1. 이정순, 전원배. 관광활동,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 주관적 웰빙의 관계. 한국관광학회지. 2005;28(4):149-172.
  2. 김희봉. 웰빙의 의미와 도덕교육. 한국도덕교육학회지. 2005;16(2):87-99.
  3. 심형석, 송경진. 웰빙 비즈니스. 서울:박영률 출판사. 2004.
  4. 한영호, 현대 소비사회에서 웰빙트랜드의 개념과 소비경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04.
  5. 박석준. 몸. 서울:소나무. 1995:12.
  6. 김우호, 홍원식, 기공학 발달에 대한 문헌적 연구. 대한의료기공학회지. 1996;1(1):13-64.
  7. 김동영. 老年養生의 老衰機轉에 關한 文獻的 考察. 제3의학. 2000;3(2):75.
  8. 유점문. 중의양생학. 상해중의학원출판사. 1989:2.
  9. 정행규. 양생에 관한 문헌 연구. 경희대학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1995.
  10. 신상진. 한국성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특성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10.
  11.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이윤재, 손희정, 장보형, 서혜민, 신채민.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12-13.
  12.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12.9.27.] Available from : URL : http://www.kci.go.kr/
  13. 한국연구재단. [2012.9.27.] Available from : URL : http://www.nrf.re.kr/nrf_tot_cms/show .jsp?show_no=182&check_no=178&c_relation =0&c_relation2=0
  14.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Peplau LA, Perlman D,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York:John Wiley & Sons. 1982:224-237.
  15. 장세진. 스트레스편. 대한예방의학회 건강통 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서울:계축문화사, 2000:92-143.
  16. 김욱태, 한태영.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를 이용한 치과기공사의 스트레스 평가. 대한치과기공학회지. 2009;31(3):67-85.
  17. 전겸구, 이민규.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2; 11(1):65-76.
  18. Beck AT, Steer RA, Brown GK.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6.
  19. 전병제. 自我槪念測定可能性에 관한 硏究. 延世論叢. 1974;11(1):107-130.
  20. 정하나. 웰빙스포츠 참가자의 건강지각이 웰빙문화 활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2010.
  21. 전영옥. 웰빙문화의 등장과 향후 전망.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5.
  22. 박황진. 養生과 웰빙(Well-being)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3. 김기철, 박승정, 장두섭, 김삼태, 김유철, 권소희, 정해경, 송용선, 이기남. 산업장 근로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스트레스의 평가.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4;8(1):19-32.
  24. 한종민, 권소희, 정해경, 강홍구, 송용선, 이기남. 산업장 근로자의 직종별 생활습관과 스트레스의 평가.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4; 8(1):47-58.
  25. 신용철. 양생시(養生詩)에 관한 소고(小考).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11(1):101-108.
  26. 임병묵, 소경순, 김광호. 조탁(曺倬)의 이양편(二養編)에 나타난 양생사상(養生思想)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997;1(1):1-13.
  27. 이선동, 박해모. 한의학적인 생명관의 특징과 건강의 정의.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6;10 (1):33-51.
  28. Korea National Statistical. [2012.9.26.] Available from : URL : http://kostat.go.kr
  29. 박정숙, 김혜옥, 문미영, 오윤정, 윤매옥, 정귀임, 황보수자. 암환자의 영양, 통증 및 피로 관련 논문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2; 13(3):541-555.
  30. 손병철, 전진호, 이찬희, 김대환, 이창희, 박수경.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를 이용한 동일 직장내 생산직과 사무직 근로자의 스트 레스 수준 평가. 仁濟醫學. 1999;20(1):433-446.
  31. 박경옥.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 保健敎育. 健康增進學會誌. 2003;.20(3):91-108.
  32. 임승현. 노인의 총체적 웰빙을 위한 여가스 포츠. 人文科學硏究. 2007;30:139-163.
  33. 백순기, 김현나. 체육철학 : 스포츠와 삶의 의미: 행복, 삶의 질, 웰빙에 대한 소고.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2011;19(3):55-68.
  34. 윤현숙. 삶의 질에 관한 개념적 연구, 한림 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편, 비교사회복지 제 2집:복지국가의 비교. 서울:을유문화사, 1993: 255-273.
  3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Introduction, Administration, Scoring and Generic Version of the Assessment. Geneva: WHO. 1996.
  36. 정성덕, 이종범, 박형배, 김진성, 배대석, 이광헌, 사공정규, 송창진, 배진우. 한국판 영적안녕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神經精神醫學. 2001; 40(2):230-242.
  37. 이진화. 영적 안녕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2012.
  38. 장세진, 차봉석, 박종구, 이은경.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표준화 방안. 원주의대논문집, 1994: 7(1):21-38.
  39. 한림의대 가정의학교실 편. 삶의 질 측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고려의학. 1999:172-181, 310, 333-348.
  40. 박승미, 장인순, 최정실. 2차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심리, 성격 특성과 업무특성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2011;17(4):474-483.
  41. Spielberger C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 New York Academic Press, 1972:23-46.
  42. Stoker MJ, Dunbar GC, Beaumont G.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Qual Life Res 1992; 1:385-395. https://doi.org/10.1007/BF00704433
  43. 윤진상, 국승희, 이무석.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 '삶의 질' 척도에 관한 예비연구, 神經精神醫學. 1998;39(2):280-291.
  44. Sherer M, Maddux JE.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45. 오현수. 여성 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1993;23(4):617-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