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과 임용의 실태 및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이 제안한 개선 방안

  • Received : 2012.12.17
  • Accepted : 2013.03.28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the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Most science education departments have not required double majors in general science, and there are wid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tudents who take the general science programs. There is not any department that requires science courses other than its own science major courses when students get only their own in-depth science major certificate. A few departments provide integrated science courses such as history of science, scientific creativity, integrated science, and so forth. Most professors revealed negative perceptions toward 'a compulsory requirement of double majors in general science' with other in-depth science majors such a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s. The majority of professors also suggested providing elective courses in integrated science-related subjects. Regarding general science majored teacher employment, most professors did not agree with separate employment for the general science teacher, although they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the general science teaching certificate. They also suggested that preservice teachers need to take science courses other than their own specialized science majors for the in-depth science teaching certificat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이 연구에서는 전국 사범대학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 및 공통과학 교사의 임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학과에서는 공통과학 복수 전공이 필수가 아니었고, 학과별로 공통과학 교육과정 이수인원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다. 심화과학 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할 때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의 이수가 필수인 학과는 없었으며, 일부 학과만이 과학사와 융합교육, 과학창의성과 융합교육, 통합과학교육의 실제 등과 같은 통합과학적 성격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다.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복수전공 의무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통합과학 관련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통과학 전공 교사임용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공통과학 전공의 임용이 따로 필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화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2.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3.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4. 김영성(2000). 고등학교'공통 과학'의 지도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00-213.
  5. 김영성, 이문남(1994).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공통과학 및 Science-Technology-Society 에 대한 인식도조사: 광주직할시 및 전라남도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330-343.
  6. 맹희주(2005). 통합과학교육의 적용과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과학교수 효능신념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맹희주, 손연아(2011). 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적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및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차이 분석. 초등과학교육,30(4), 601-614.
  8. 박현주(2012). 우리나라 STEAM 교육을 위한 고려사항. 2012년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61차 동계학술대회 주제발표. pp. 27-30
  9. 방담이, 강순희(2012). 학문 통합적 과학 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제IV보). 대한화학회지, 56(1), 115-127.
  10. 서지현(2010). 10학년 과학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손연아(2009). 과학과 통합교육과정의 이해와 운영의실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 43-77.
  12. 손연아(1999).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41-61.
  13.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514-523.
  14. 윤회정, 윤원정, 우애자(2011). 2009 개정 교육과정과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교과교육학연구, 15(3), 757-776.
  15. 이문남, 맹희주(2004). 10학년'과학'교과서 단원 중물리영역의 통합 과학적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새물리,49(2), 130-139.
  16.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서보현(2012). 통합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30-45.
  17. 최병순, 권재술, 김범기, 김찬종, 김효남, 백성혜, 정완호(1997). 중학교 통합과학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연구보고서.
  18. 홍맹표(2002). 공통과학(물리)교사 양성의 문제점 및개선 방안: 임용고시와 교직과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Blum, A. (1991). Integrated science studies. In A. Lewy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curriculum (pp. 163-168). New York: Pergmon Press.
  20. Davison, D., Miller, K., & Metheny, D. (1995). What does integration of science and mathematics really mea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5), 226-23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71.x
  21. Drake, S. M. (1998).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22. Goldhaber, D., & Brewer, D. (1997). Evaluating the effect of teacher degree level on educational performance. Retrieved from http://nces.ed.gov/pubs97/97535l.pdf
  23. Harrell, P. E. (2010). Teaching an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Linking teacher knowledge and teaching assignments. Issues in Teacher Education, 19(1), 145-165.
  24. Hodson, D. (1992). In search of a meaningful relationship: An exploration of some issues relating to integration and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4(5), 541-562 https://doi.org/10.1080/0950069920140506
  25. Huntley, M. A. (199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ramework for defining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6), 320-327.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427.x
  26. Leung, W. L. A. (2006). Teaching integrated curriculum: Teachers'challenges. Pacific Asian Education, 18(1), 88-102.
  27. Venville, G., Wallace, J., Rennie, L., & Malone, J. (2000). Bridging the boundaries of compartmentalised knowledge: Student learning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8(1), 23- 35. https://doi.org/10.1080/713694958
  28. Wolf, P., & Brandt, R. (1998). What do we know from brain research? Educational Leadership, 5(3), 8-13.
  29. Yager, R. E., & Lutz, M. V. (1994). Integrated science: The importance of" how"versus" what."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4(7), 338-34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4.tb15690.x

피인용 문헌

  1.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vol.34, pp.3,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21
  2.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ducation by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Science' and in the Pre-Service Science Textbooks of College of Education vol.35, pp.3,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363
  3.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통합과학'과 사범대학 예비 과학 교사 교육 내용의 분석을 통한 예비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 vol.35,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1039
  4. Percep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the Possibility of Common Science Majors’ Preparation of the 2015 Science Curriculum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vol.55, pp.4, 2013, https://doi.org/10.15812/ter.55.4.201612.472
  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vol.37, pp.2,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263
  6. 고등학교 지구과학 I, II의 이수와 대학 전공이 예비과학 교사들의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vol.38, pp.3,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7.38.3.239
  7.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vol.12, pp.3,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24
  8.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에 관한 10년 주기(2008-2018) 비교 연구 vol.39,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6.717
  9.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접목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 vol.13, pp.3, 2020,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