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Science Teaching through Coteaching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 Received : 2012.12.26
  • Accepted : 2013.03.05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econdary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through coteaching with the case study. We selected two beginning teachers whose teaching careers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were less than five years. The teachers planned, performed, and reflected together their science teaching for science-gifted students during nine class hours over three times. We observed their science classes through coteaching, and analyzed the transcripts for reflective discussions between them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a concept suggested by Davis (2006).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and 'science-gifted students' we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ir reflection processes on science teach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data and the class time.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were also frequently included although fewer than two previous aspects. However,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assessment' was hardly included. Two to four aspects among five aspects of the science teaching for science-gifted students were variously integrated in their reflection processes. Especially, the integrations betwee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or 'sciencegifted students' and the other aspects were most frequent, and this tendency was stronger in more experienced teacher in science-gifted education. The integrations betwee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the other aspects were often included in the more experienced teacher's reflection processes.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수업 반성의 특징을 조사했다. 중등 과학영재교육 경력이 5년 미만인 초임 교사 2인을 선정하여 총 3회에 걸친 9차시의 과학영재수업을 공동으로 계획, 진행, 평가하도록 했다. 두 교사의 모든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을 참관했고, 반성대화 전사본과 반성일지를 Davis(2006)가 제안한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료의 종류 및 수업 차수에 관계없이 두 교사의 수업 반성 과정에서 모두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와 '과학영재학생' 측면이 비교적 많았다. 두 측면보다 적긴 했지만 '과학영재 교육과정' 측면에 대한 반성의 빈도도 낮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내용지식'과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에 대한 반성은 매우 적었다. 통합 수준에 대한 결과에서는 두 교사의 반성 과정에서 과학영재수업의 5가지 측면 중 2~4가지 측면이 다양한 형태로 통합되어 있었다. 특히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나 '과학영재학생' 측면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경향은 과학영재교육 경험이 더 많은 교사에게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 교사의 경우에는 '과학내용지식'과 다른 측면이 통합된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선, 김영수 (2003). 생물 교육 실습생의 자기 수업에 대한 반성을 통한 수업 기술 개선 연구: 비디오 촬영과자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72-86.
  2. 곽덕주, 진석언, 조덕주 (2007). 우리나라 예비 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교육학연구, 45(4),195-223.
  3.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4. 김선경, 백성혜 (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수업전략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95-313.
  5. 김영순, 김효남, 신애경 (2011).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092-1109.
  6. 김지선 (2011). 수업반성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가로서의 교사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9(1), 187-208.
  7. 남미애 (2010). 초등과학 영재교육 학습평가 기준 및도구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노태희, 김영훈, 양찬호, 강훈식 (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214-1228.
  9. 노태희, 양찬호, 김영훈, 강훈식 (2012). 코티칭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655-670.
  10.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159-185.
  11. 박미화, 이진석, 이경호, 송진웅 (2007). 과학 수업에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 과학교사를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70-83.
  12.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3. 박지은, 이봉우 (2012).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2), 587-601.
  14.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15. 서혜애, 박경희 (2010). 중학교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질적 연구. 교사교육연구, 49(2), 171-193.
  16.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 (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17. 신애경 (2007).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중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6(4), 428-439.
  18.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9. 양기창, 윤혜경 (2012). 수업 반성 저널을 통해 살펴본 초등 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초등과학교육,31(3), 372-385
  20. 윤지현, 노태희, 한재영 (2008). 코티칭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59-168.
  21. 윤혜경 (2012).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703-716.
  22.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23. 이정아 (2010). 초등 예비 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초등과학교육, 29(3),378-388.
  24. 임아름, 강훈식 (2012). 초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코티칭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개념 적용 능력과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641-654.
  25. 정금순, 강훈식 (2011).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코티칭의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239-255.
  26. 정윤경 (2007). 반성적 교사교육에서'반성'의 의미.교육의 이론과 실천, 12(2), 165-188.
  27. 조덕주 (2009).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2),411-436.
  28. 최선영 (2007).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6(3), 252-259.
  29. 최종림, 이선경, 김찬종, 유은정, 김제홍, 오현석(2009). 반성적 실천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변화에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793-811.
  30. 한재영 (2008). 코티칭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2(4), 404-411.
  31. 한재영, 윤지현 (2009). 중등 과학에서의 코티칭 수업과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1), 152-163.
  32. 한재영, 윤지현, 노태희 (2008). 예비 교사 교육 방안으로서 코티칭의 유용성.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17-136.
  33. 홍준의, 이인호, 전영석 (2007). 초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탐구 수행 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6(3), 267-275.
  34. Davis, E. A. (2004). Knowledge integration in science teaching: Analyzing teachers'knowledge developmen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1), 21-53. https://doi.org/10.1023/B:RISE.0000021034.01508.b8
  35. Davis, E. A. (2006). Characterizing productive reflection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eing what matt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3), 281-301. https://doi.org/10.1016/j.tate.2005.11.005
  36. Eick, C. J., Ware, F. N., & Jones, M. T. (2004). Coteaching in a secondary science methods course: Learning through a coteaching model that supports early teacher practi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5(3), 197-209. https://doi.org/10.1023/B:JSTE.0000047085.44417.c2
  37. Hatton, N., & Smith, D. (199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1), 33-49. https://doi.org/10.1016/0742-051X(94)00012-U
  38. Killon, J., & Todnem, G. (1991).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14-16
  39. Luttenberg, J., & Bergen, T. (2008). Teacher reflection: The development of a typology. Teacher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4(5-6), 543-566. https://doi.org/10.1080/13540600802583713
  40. Nichols, S. E., Tippins, D., & Wieseman, K. (1997). A toolkit"for developing critically reflective science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2), 175-194 https://doi.org/10.1007/BF02461315
  41. Park, S., & Oliver, J. S. (2009). The translation of teachers'understanding of gifted students into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4), 333-351. https://doi.org/10.1007/s10972-009-9138-7
  42. Roth, W. -M., & Tobin, K. (2005). Coteaching: From praxis to theory. In W. -M. Roth, & K. Tobin (Eds.), Teaching together, learning together (pp. 5-26). New York: Peter Lang.
  43. Roth W. -M., Tobin, K., Carambo, C., & Dalland, C. (2004). Coteaching: Creating resources for learning and learning to teach chemistry in urban high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882-904. https://doi.org/10.1002/tea.20030
  44. Tobin, K. (2006). Learning to teach through coteaching and cogenerative dialogue. Teaching Education, 17(2), 133- 142. https://doi.org/10.1080/10476210600680358
  45. Tobin, K., & Roth, W. -M. (2006). Teaching to learn: A view from the field. Rotterdam: Sense Publishers.
  46. Tobin, K., Roth, W. -M., & Zimmermann, A. (2001). Learning to teach science in urban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8), 941-964. https://doi.org/10.1002/tea.1040
  47. Zeichner, K. M. (1983). Alternative paradigms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3), 3-9. https://doi.org/10.1177/002248718303400302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vol.57, pp.6, 2013, https://doi.org/10.5012/jkcs.2013.57.6.789
  2. Effects of Astronomical STEAM Program Using Co-teach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vol.35, pp.7,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7.572
  3.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Reflection of Their Science Classes vol.58, pp.3, 2014, https://doi.org/10.5012/jkcs.2014.58.3.324
  4.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이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vol.33, pp.5,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21
  5.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반성의 특징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70
  6. A Case Study of Elementary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while Mentoring a Class for the Gifted vol.54, pp.4, 2013, https://doi.org/10.15812/ter.54.4.201512.773
  7. 중등 예비 화학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vol.36, pp.5,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5.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