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학과 건축의 패러다임과 범 패러다임

Paradigm and Pan-paradigm in Mathematics and Architecture

  • 투고 : 2013.04.03
  • 심사 : 2013.05.17
  • 발행 : 2013.05.31

초록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이론은 수학의 혁명적 과정을 설명하는 데는 충분치 않으며, 학제간 연구에는 더욱 그러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건축에 나타난 위상기하적인 요소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전통건축과 서양의 현대건축과의 강한 유사성을 비교할 때 시대정신으로는 설명이 불충분하여 범 패러다임이란 개념으로 설명한다.

Mathematics teaching is often more effective when teachers connect the contents of mathematics with history, culture, and social event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the 'paradigm' theory from Thomas Kuhn's scientific revolution is very effective to explain the revolutionary process of development in mathematics, and his theory has been widely quoted in the history of science and economics. However, it has not been appropriate to use his theory in the other field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cope of Kuhn's paradigm theory is limi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introduced pan-paradigm as a general concept that encompasses all, since through any relation in the field of mathematics and architecture, Thomas Kuhn's theory of paradigm does not explain the phenomena. That is, at the root of various cultures there exist always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demands of the times,' and these two factors by synergism form values and controlling principles common to various parts of the culture, and this synergism leads the cultural activities, the process of which is a phenomenon called pan-paradigm.

키워드

참고문헌

  1. 계영희 (2003a). 유클리드 기하학과 그리스 미술, 한국수학사학회지, 16(2), 23-34.
  2. 계영희 (2003b). 사영기하학과 르네상스 미술, 한국수학사학회지, 16(4), 59-68.
  3. 계영희 (2005). 미분적분학과 자연주의 미술, 한국수학사학회지, 18(2), 31-42.
  4. 계영희 (2011). 수학이야기, 과학과 기술, Vol. 502, 3월호, (pp.81-83.)
  5. 김봉렬 (2012).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3권, 돌베개
  6. 김석철 (2011). 건축과 도시의 인문학. 파주: 돌베개.
  7. 김수경 (2000). 프랙털 기하학을 적용한 건축 형태 생성 방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용운 (1992). 지성의 비극. 서울: 일지사.
  9. 김용운 (1994). 한국인과 일본인. 2권, 서울: 한길사.
  10. 김용운 (1995). 원형의 유혹. 서울: 한길사.
  11. 김용운.김용국 (1997). 수학사의 이해. 서울: 우성문화사.
  12. 김용운 (1998). 프랙탈과 카오스의 세계. 서울: 우성문화사.
  13. 김용운 (2010). 수학사대전. 파주: 살림출판사.
  14. 배대승 (2001). 서양건축사. 서울: 현대건축사.
  15. 오스발트 슈펭글러 (1918). 박광순 옮김(1995). 서구의 몰락. 1권, 서울: 범우사.
  16. 임석재 (2010). 서울, 건축의 도시를 걷다. 2권, 서울: 인물과 사상사.
  17. 임석재 (2011). 우리 건축 서양 건축 함께 읽기. 서울: 컬처그라퍼.
  18. 장용순 (2010).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 위상학. 파주: 미메시스.
  19. 전영지 (2003). 'fold' 건축의 디자인 개념과 구형에 관한 연구 -해체주의 건축과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진경돈 (2001) 편저. 서양건축사. 서울: 서우.
  21. Stephen Gardiner (1991). 朴剛澈옮김, 건축사개론. 서울: 기문당.
  22. Thomas S. Khun (1984).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김명자 옮김,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정음사.
  23. Morris Kline (1972). Mathematics Thought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4. Richard E. Nisbett (2004). The Geography of Thought, 최인철 역, 생각의 지도. 파주: 김영사.
  25. Steven Shapin (1996). The Scientific Revolution,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26. Carol Strickland (2010). 양상현 외 옮김, 클릭, 서양건축사. 서울: 예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