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andard Drawings of Seoul Middle School Architecture in 1975

1975년 서울시 중학교 표준설계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02.26
  • Accepted : 2013.05.09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ndard Drawings for School Facilities' issued by Seoul Education Committee in 1975 because it is the early example for middle school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general trend of single-corridor type block plan, there are also changes in floor plan like no-corridor type block plan, $9.9{\times}6.6m$ classroom unit for the better daylight condition, built-in storage for students. 2) As for elevation design, it is characterized as daylight-oriented, functional exterior for without making full use of design elements. 3) Standardized dimensions are used as a rule in the height of story, ceiling, window sill and etc.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RC school architecture are found in exposed ceiling, incomplete insulation structure and mixed use of wood framed floor of earlier type. 4) Contrast to main school building, gymnasium shows the intend to express the symbolism of school architecture with diverse elevation design elements and the plasticity of building mass. 5) Separated plan of toilet and night-duty building also show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As conclusion, though showing the stereotyped school architecture, on the other hand, 'Standard Drawings for School Facilities' (1975) makes it possible to see the way of coping with the demands for school architecture in that time and the transition of school architecture. This is the main value of it as the material for the studies related to the history of educational facilities.

본 연구는 1975년 서울시 교육위원회에서 발간한 '학교시설 표준설계도'가 중학교 대상 표준도의 초기 사례임에 주목하여 그 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평면계획에서는 편복도형 블록플랜이 전형적으로 적용된 가운데 유형별로 복도를 없앤 평면형, 일조조건 개선을 위한 $9.9{\times}6.6m$ 교실 모듈, 수납공간의 적극적 계획 등의 변화도 보인다. 둘 째, 일체의 의장이 배제된, 채광면적의 확보를 우선으로 하는 기능적인 입면계획이 적용되었다. 셋 째, 층고, 천정고, 창틀의 설치 위치 등에서 규준화된 단면 치수들이 적용되었으며 노출 천정 구조, 단열구조의 미비, 초기 유형의 목재 바닥틀 혼용 등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조 교사의 과도기적 특성이 보인다. 넷 째, 체육관 계획에서는 다양한 입면구성과 매스의 조형적 처리로 교사동과 대비되는, 학교건축의 상징성을 표출하고자 하는 의도가 나타난다. 다섯 째, 교사동과 이격 배치를 전제로 하는 화장실과 관리실 등의 별동형 계획에서도 동시대 학교건축으로 전환해 가는 과도기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들은 표준도에 의한 과거 학교건축의 전형을 보여주면서도 동시에 당시 학교건축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에 대한 대응 방식과 변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는 '75년 서울시 표준도'가 가지는 교육시설사 연구 사료로서의 주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Lee, Jung-Woo, "A Study on the Standard Drawings of Seoul Elementary School Architecture in 1960-1970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9, no6, pp. 1718-1725, December, 2008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8.9.6.1718
  2. Ministry of Education, "30 Year-History of Korean Educaion", 1980
  3.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 Year Book of Education",
  4. Seoul Local Offic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tatistical Change of Seoul", 1995
  5. Song, Cheon-Ho, "Expansion of Seoul Educational Facilities", Journal of Seoul Education, pp.26-27, December, 1970
  6. The Board of Educaion City of Seoul, "Standard Drawings of School Facilities", 1975
  7. The Board of Educaion City of Seoul,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8. http://cesi.kedi.re.kr/,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9. http://www.law.go.kr/,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