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4세 자유선택놀이에서 나타나는 또래문화의 특성

Exploring Four-Year-Old Children's Peer Culture Patterns

  • 최현주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 최연철 (건국대학교 유아교육과)
  • 발행 : 2013.0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일어나는 만4세반 유아의 다양한 모습을 관찰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또래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유아의 내면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장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 어린이집 만4세 하늘반의 자유선택활동을 참여관찰하고 교사와 유아와의 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 존중하는 또래관계와 순응하는 또래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평화적 또래문화,' 그리고 수직적 또래관계, 배타적 또래관계, 무시형 또래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갈등적 또래문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관계형성 분석을 통해 만4세 유아의 또래문화를 밝혀 봄으로써 유아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유아의 교실문화를 폭넓게 바라 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our-year old children's peer culture. During free choice play time, various activities and interaction patterns were observ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eer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wo main peer culture patterns. First of all, peaceful peer culture in which children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based on mutual respect were found. Also conflictive peer culture in which children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children, such as vertical, discriminative and neglected relationships were observ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고현(2009). 유아의 또래인기도 관련 변인 연구: 유아의 사회적 지식, 사회인지능력, 친사회적 행동, 언어표현능력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9(6), 21-43.
  2. 김석우, 최태진(2011).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3. 김영석(2001). 교실문화와 비형식적 사고의 발달. 사회과학교육연구, 4, 81-96.
  4. 김유화(2008). 유아의 놀이문화 형성 과정 속 "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269-284.
  5. 김윤희(2010). 유아 또래관계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방법을 중심으로(1995년-2009년). 아동학회지, 31(5), 131-149.
  6. 김희태(2001).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 갈등, 그리고 사회적 맥락. 유아교육학논집, 5(2), 69-87.
  7. 김희태(2004). 상호적인 친구관계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질적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25-48.
  8. 문혁준(2010).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어머니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251-267.
  9. 방정숙(2004).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수학교육학연구, 14(3), 283-304.
  10. 송윤희(2002).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성격특성과 사회적 행동반응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양옥승(2003).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의 선택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23(3), 131-152.
  12. 엄정애(2009). 영유아 놀이와 교육. 경기 파주: 교문사.
  13. 오경희(2007). 유아기 아동과 또래문화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탐색: 해석적 재생산론적 접근. 아동권리연구, 11(4), 635-653.
  14. 오채선(2005). 또래 문화에서 유아들이 사용하는 놀이감의 의미. 한국교육논단, 4(1), 55-78.
  15. 유혜령(1997). 질적 아동 연구를 위한 해석학의 방법론적 시사. 아동학회지, 18(2), 57-71.
  16. 윤옥인(1995). 학급내의 사회성 측정지위로 본 인기아와 배척아의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동성(2009). 초등학교 교실수업의 문화적 특징과 전개형태에 대한 해석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성희(2009). 만 5세반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시 의사결정 상황과 반응.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2), 277-298.
  19. 임부연, 김성숙(2010). 유아교실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15-340.
  20. 정설희, 류은주, 안연경(2010).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88-2009 우리나라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33-352.
  21. 정수현(2009). 교실 문화 이해를 위한 카오스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학연구, 16(1), 117-135.
  22. 한국학중앙연구원(199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서울: 동방미디어.
  23. 한선아(2009). 유아 이해하기: '유아 문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2), 886-890.
  24. Corsaro, W. A.(1985). Friendship and peer culture in the early years. Norwood, NJ: Ablex.
  25. Corsaro, W. A.(1997). The sociology of childhood. Thousand Oaks, CA: Pine Froge Press.
  26. Corsaro, W. A.(2003). We're friends, right? Inside kids' culture. Washington, DC: Joseph Henry Press.
  27. Dodge, K. A., Coie, J. D., Pettit, G. R., & Price, J. M.(1990). Peer status and aggression in boy's groups: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analyses. Child Development 61(5), 1289-1309. https://doi.org/10.2307/1130743
  28.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s. In P. H. Mu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pp. 103-196). New York: Wiley.
  29. Johnson, J. E., Christie, J. F., & Wardle, F.(2005). Play,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Boston, MA: Pearson.
  30. Merriam, S. B.(1994). 질적사례연구법 (허미화 역). 서울: 양서원. (원판 1988).
  31. Spradley, J.P.(2006). Participant observation(1st ed.), 참여관찰법 (신재영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판 1980).
  32. Trawick-Smith, J.(1992). A descriptive study of persuasive preschool children: How they get other ot do what they wa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1), 95-114.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2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