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Forest Road Cut-slope Erosion Control and Rehabilitation Techniques using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임도비탈면에 시공한 식생기반재돌망태의 침식방지 및 녹화효과 분석

  • Park, Jae-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박재현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Analysis of new approaches to achieve naturally good ecological potential of forest road cut-slope by making the best use of advantages of gabion systems with vegetation base materials to prevent slope failure and erosion, in the area with highly erodible soil. Existing gabion systems can be divided into monolithic and modular system and can be divided into ten sub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combination of other measures. As a result on the monitoring of erosion amount from forest road cut-slopes in the test applications, the order of erosion amount from largest to smallest is as follows: the curved road cut-slope site where normal gabion system was established 5,840 $cm^3$; the control site 5,833 $cm^3$; the straight road cut-slope site where normal gabion system was established 5,621 $cm^3$; the curved road cut-slope site where the new gabion system was established 4,298 $cm^3$; and the straight road cut-slope site where the new gabion system 4,117 $cm^3$. Therefore, the result shows that the new gabion system is more effective than the normal gabion system to reduce erosion amount from forest road cut-slopes. During the study period, vegetation coverages of the straight and curved road cut-slope site where the new gabion system was established were about 56(30~85)% and about 45(28~65)%, so average vegetation coverage of the sites where the new gabion systems was established was higher than the sites where the normal gabion systems was established.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new gabion system can be more effective for cut-slope revegetation.

이 연구는 식생기반재 돌망태의 침식억지효과 및 녹화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평균침식량을 분석해 본 결과, 침식량이 가장 많은 순으로 보면 곡선부에서의 일반돌망태시공지(5,840 $cm^3$)>대조구(5,833 $cm^3$)>직선부의 일반돌망태 시공지(5,621 $cm^3$)>곡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4,298 $cm^3$)> 직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4,117 $cm^3$)의 순으로 나타나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시공한 것이 임도절토비탈면의 침식을 저감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임도 곡선부의 식생기반재돌망태 및 일반돌망태시공지의 토양침식억지효과가 직선부보다 낮게 나타나 이러한 구조물은 곡선부보다는 직선부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기간 중 평균식생피복률은 곡선부에서 45(28~65)%로 나타나 동일한 기간 직선부 식생기반재돌망태시공지의 평균피복률 56(30~85)% 보다 약 11(2~20)% 낮은 값을 나타내어 직선부에서의 식생피복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도절토비탈면에 시공한 식생기반재돌망태는 안정화된 이후 임도 절토 비탈면의 토양침식을 억지하는 효과로 인해 식생피복률이 증가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호, 안영희, 박용환. 2001. 생태적 절개비탈면 조성을 위한 녹화공법 개선 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26-35.
  2. 권태호. 1986. 도로구조 및 입지요인이 임도의 노면침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5.
  3. 김정완, 정태건, 김남춘, 권병성. 2006. 얇은 식생기반재취부공법에 의한 비탈면 녹화 식생배합 및 적용시험 연구 -S.O-Soil Spray공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 143-151.
  4. 김정훈. 2004. 비탈면 녹화를 위한 식생배합 개선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2.
  5. 박문수. 2002. 임도 절토비탈면의 우점식물과 식물피복에 미치는 인자들의 영향 -전라북도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1): 19-27.
  6. 박재현. 1995. 백운산 성숙활엽수림 개벌수확지에서 벌출직후의 환경변화와 운재로 침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5-31.
  7. 박재현. 2003. 북한산국립공원에서 동결융해침식토사 및 유량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2): 11-20.
  8. 박재현, 정용호, 최형태. 2008.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기술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5): 92-103.
  9. 송호경, 전기성, 김남춘, 박관수, 권혜진, 이지혜. 2007. 백두대간 도로 절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3): 52-59.
  10. 우보명. 1992. 신제 사방공학. 향문사. pp. 96-97.
  11. 우보명. 2003. 훼손지환경녹화공학. 서울대학교출판부. pp. 258-259.
  12. 이병준. 2005. 고속도로 절.성토 비탈면 녹화공법의 적용 실태 분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2.
  13. 이준우. 1987. 임도에 있어서 절취사면의 안정성 분석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9.
  14. 전기성, 유병옥, 황영철, 김태수. 2000. 절토사면의 보호 및 녹화공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사면안정학술발표회논문집. pp. 121-136.
  15. 전기성, 유병옥, 황영철. 2001. 절토사면의 생태적 녹화공법의 설계방안 연구. 사면안정학술발표회논문집. pp. 169-177.
  16. 전기성. 2002. 비탈면 녹화공법의 유형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5): 22-29.
  17. 정도현. 1989. 임도구조 및 입지요인이 측구침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
  18. 정태건. 1999. 우리나라 도로녹화의 발전과정과 비탈면 녹화사업의 전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1): 88-93.
  19. 한국도로공사. 1995. 고속도로 절토비탈면 녹화공법 연구. 한국도로공사. pp. 354.
  20. 井手久登. 1992. 環境に調和した道路. 造園雜誌 55(4): 342-343.
  21. Servadio, P., Marsili, A., Pagliai, M., Pellegrini, S. and Vignozzi, N. 2001. Effects on some clay soil qualities following the passage of rubber-tracked and wheeled tractors in central Italy. Soil and Tillage Research 61: 143-155. https://doi.org/10.1016/S0167-1987(01)00195-7

Cited by

  1. 개비온의 피복효과를 고려한 해빈침식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vol.31, pp.5, 2019, https://doi.org/10.9765/kscoe.2019.31.5.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