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Usage and Proliferation of Library 2.0 from User Viewpoint: Focusing on Folksonomy

이용자관점에서의 도서관 2.0 서비스 활용현황과 활성화 방안 - 폭소노미 서비스를 중심으로 -

  • 김성원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김정우 (경남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3.05.08
  • Accepted : 2013.06.19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development of IT (information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many types of new services, and the traditional sectors such as libraries and information management fields have actively applied new technolog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ervices. Many of these newly developed services are described under the term 'Web 2.0', in the sense they are next-generation forms of services, and this coinage is duplicated in the term 'Library 2.0',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library services equipped with Web 2.0 technology. Active acceptance of advanced IT to library services is very important to enhance the value and role of library in this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So far, libraries in Korea and abroad have already been putting a lot of efforts and resources to develop and provide technically advanced services. Despite these efforts, it is found that some of these new services have failed to attract users' attention and interest, resulting in the low rates of usage. This study, therefore, reviews current state of the "Folksonomy" based services provided in Korean college libraries as a type of Library 2.0 services, and assess their usage rates. The result of this evaluation is then used to develop a guideline to improve and mobilize the use of such services.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진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들을 등장시키고 있으며, 도서관을 비롯한 정보관리분야에서도 새로운 기법들을 적용한 서비스의 개발과 제공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된 서비스들을 진화된 웹 서비스라는 관점에서 '웹 2.0'이라는 용어로 통칭하고 있으며, 이러한 웹 2.0의 기법이 적용된 도서관서비스를 '도서관 2.0'으로 특정하여 부르기도 한다. 기술적인 진보를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급변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도서관의 가치와 역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이다. 국내외 도서관들도 새로운 기법을 적용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해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제공되는 서비스들 가운데 일부는 이용자의 관심과 호응을 얻지 못하고 저조한 사용률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도서관 2.0 서비스의 하나인 폭소노미 서비스의 제공현황과 그 활용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숙, 정연경. 2010. 저작관련 요소분석을 통한 폭소노미 태그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LibraryThing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7(1): 41-60.
  2. 김수정. 2011. 국내 대학도서관에서의 웹 2.0 어플리케이션 도입현황. 미간행자료. 저자와의 이메일.
  3. 김수정. 2012. 미국 대학도서관에서의 웹 2.0 어플리케이션 확산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19-33.
  4. 김현희. 2010. 태그 질의 확장 기능에 기반한 비디오 검색 시스템의 효율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75-94.
  5. 노지현. 2009. 도서관 목록에서 폭소노미 적용의 의미와 한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81-400.
  6. 박희진. 2011a. 정보채집으로의 접근.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89-206.
  7. 박희진. 2011b. 폭소노미에 따른 웹 분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89-210.
  8. 박희진. 2011c. 폭소노미 이해를 위한 이론적 논의와 개념적 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28: 137-151.
  9. 이성숙. 2008.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463-480.
  10. 이성숙, 정서영. 2009. 국내 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일반적 패턴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37-150.
  11. 이승민. 2011a. Context 설정을 위한 폭소노미 태그 프레임워크 구축.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28: 121-151.
  12. 이승민. 2011b. 서지레코드와의 연계를 통한 폭소노미 태그 프레임워크 구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185-207.
  13. 이재윤. 2012. 폭소노미 연구 문헌에 대한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4): 295-312.
  14. 이재윤, 정도헌. 2008. 폭소노미 태그 사용 패턴 분석. <2008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5: 21-26.
  15. 이정미. 2007. 폭소노미의 개념적 접근과 웹 정보 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141-159.
  16. 조재인. 2008. 학술정보서비스의 폭소노미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95- 112.
  1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2012 대학도서관 통계분석자료집>.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KERIS 소개 - 주요 사업의 학술연구정보화입니다. [online]. [cited 2013.5.16]. .
  19.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 Berners-Lee. 2006. Developer Works Interviews: Tim Berners-Lee. [online]. [cited 2013.2.13]. .
  21. Casey M. E. and L. C. Savastinuk. 2007. Library 2.0: A Guide to Participatory Library Service. Medford, New Jersey: Information Today, Inc.
  22. Chui, M., A. Miller, and R. Roberts. 2009. "Six ways to make Web 2.0 work." The McKinsey Quarterly, 2009(2): 2-7.
  23. Corrocher, N. 2011. "The Adoption of Web 2.0 Servic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8: 547-558.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0.10.006
  24. Golder, S. A. and B. A. Huberman. 2006. "Usage patterns of collaborative tagging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2(2): 198-208. https://doi.org/10.1177/0165551506062337
  25. Helgren, J. E. and Z. Lietzau. 2011. "U.S. Public Libraries and Web Technologies: What's Happening Now?" Computers in Libraries, 31: 12-16.
  26. Kim, Y. and J. Abbas. 2010. "Adoption of Library 2.0 Functionalities by Academic Libraries and Users: A Knowledge Management Perspectiv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6: 211-218. https://doi.org/10.1016/j.acalib.2010.03.003
  27. Kipp, M. E. 2007. "Tagging practices on research oriented social bookmarking sites."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30(1-2): 99-112.
  28. Library of Congress. Working Group on the Future of Bibliographic Control. 2008. On the Record: Report of the Library of Congress Working Group on the Future of Bibliographic Control. [online]. [cited 2013.2.13]. .
  29. Lu, C., J. Park, and X. Hu. 2010. "User Tags versus Expert-Assigned Subject Terms: A Comparison of LibraryThing Tags and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6(6): 763-779. https://doi.org/10.1177/0165551510386173
  30. Mahmood, K. and J. V. Richardson Jr. 2011. "Adoption of Web 2.0 in US Academic Libraries: A Survey of ARL Library Websites."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45: 365-375. https://doi.org/10.1108/00330331111182085
  31. Moore, G. A. 1999. Crossing the Chasm: Marketing and Selling High-tech Products to Mainstream Customers. New York: HarperBusiness. 재인용: 유승삼 역. 2002. 캐즘마케팅. 서울: 세종서적.
  32. Nesta, F. and J. Mi. 2011. "Library 2.0 or Library III: Returning to Leadership." Library Management, 32(1): 85-97. https://doi.org/10.1108/01435121111102601
  33. O'Reilly, Tim. 2005. "What Is Web 2.0." [online]. [cited 2013.3.13]. .
  34. Procter, R., R. Williams, J. Stewart, M. Poschen, H. Snee, A. Voss, and M. Asgari- Targhi. 2010. "Adoption and Use of Web 2.0 in Scholarly Communication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8(1926): 4039-4056. https://doi.org/10.1098/rsta.2010.0155
  35. Redden, C. S. 2010. "Social Bookmarking in Academic Libraries: Trends and Application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6(3): 219-227. https://doi.org/10.1016/j.acalib.2010.03.004
  36.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 New York: The Free Press.
  37. Rolla, P. J. 2009. "User Tags versus Subject Headings."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53(3): 174-184. https://doi.org/10.5860/lrts.53n3.174
  38. Spiteri, L. F. 2006. "The Use of Folksonomy in Public Catalogues." The Serials Librarian, 51(2): 75-89. https://doi.org/10.1300/J123v51n02_06
  39. Vander Wal, Thomas. 2007. "Folksonomy: Folksonomy Coinage and Definition." [online]. [cited 2013.3.11]. .
  40. Yang, S. Q. and M. A. Hofmann. 2011. "Next Generation or Current Generation?: A Study of the OPACs of 260 Academic Libraries in the USA and Canada." Library Hi Tech, 29(2): 266-300. https://doi.org/10.1108/07378831111138170

Cited by

  1. 디지털 아카이브의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소셜 태깅 활용 방안 연구 vol.34, pp.3,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