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ecasting Economic Impacts of Construction R&D Investment: A Quantitative System Dynamics Forecast Model Using Qualitative Data

건설 분야 정부 R&D 투자의 사업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정성적 자료 기반의 시스템다이내믹스 예측모형 개발 -

  • 황성주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 장유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 문명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 문예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2.11.16
  • Accepted : 2013.01.11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Econometric forecast models based on past time-series data have been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due to their advantages in short-term point estimating. These models are particularly used in predicting the impact of gover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grams because program managers should assert their feasibility due to R&D program's huge amount of budget. The construction governmental R&D programs, however, separately make an investment by dividing total budget into five sub-business area. It make R&D program manager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R&D programs affect the whole system including economy because they are restricted with regard to many dependent and dynamic variables. In this regard, system dynamics (SD) model provides an analytic solution for complex, nonlinear, and dynamic systems such as the impacts of R&D programs by focusing on interactions among variables and understanding their structures. This research, therefore, developed SD model to capture the different impacts of five construction R&D sub-business by consider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ub-business area. To overcome the SD's disadvantages in point estimating, this research also proposed the method for constructing quantitative forecasting model using qualitative data. Understand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R&D sub-business can support R&D program managers to demonstrate their feasibility of capital investment.

과거부터 축적된 시계열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 예측 모형은 수치적인 정확성을 추구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투자 효과 예측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R&D 사업의 경우 그 투자효과에 대해 역설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건설 산업을 포함한 각 산업 정부 R&D 투자효과 예측을 위해 이러한 모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5개의 세부 사업으로 분리 발주되는 건설 분야 정부 R&D 사업의 경우, 세부 사업 관련 축적된 데이터가 부족하고, 각 세부 사업별로 투자의 파급과정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데이터 기반의 계량적 예측모형 개발에 제약이 있고, 개발된다 하더라도 투자 파급과정에 대한 설명력이 부족하여 투자 당위성을 설명해야 하는 각 세부 사업 담당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되는 시스템다이내믹스 (System Dynamics) 시뮬레이션 방법론은 변수 간 인과관계를 기반으로 시스템 내 순환적 동태적 상호작용을 설명함으로써 건설 R&D 세부 사업들의 다양한 투자 파급과정을 이해하는 데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사업별 특성에 대한 분석 및 관련된 정성적 자료를 기반으로 건설 R&D 투자의 파급과정을 설명하는 시스템다이내믹스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의 수치적 예측 정확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 개발된 데이터 기반의 계량적 예측 모형과의 상호 연동체계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였다. 본 모델링 방법은 정성적 자료와 정량적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R&D 투자의 파급과정 등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예측의 수치적 정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제안한 모델링 방법을 가용데이터가 부족한 정부의 건설 R&D 세부 사업들의 경제적 투자효과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상이한 각 사업별 투자 파급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투자효과 극대화를 위한 전략 도출 및 수치적 예측력이 보완된 투자효과 분석에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10). 국토해양 R&D 발전전략.
  2. 권오상 (2010).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R&D투자의 파급효과분석: 농림수산부문을 중심으로" 농업경제연구, 제51권 제3 호, pp.27-45.
  3. 김도훈.문태훈.김동환 (1999). 시스템 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pp.13-59.
  4. 김영표.조윤숙 (2006). 시스템 다이나믹스 기법을 이용한 균형 발전평가 시범모형 개발,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5. 김동환(2007). "부동산정책에 관한 시스템 사고의 교훈",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8(1), pp.187-209.
  6. 박상혁.정호영.한승헌(2009). "연구개발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건설R&D의 정량적 성과측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19-128.
  7. 박헌준.오세홍.김상준 (2004). "국가 연구개발 투자시스템의 레버리지 전략: 시스템 다이내믹스 접근",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5권 제2호, pp.33-66.
  8. 박환표(2010). "건설R&D성과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10권 제3호, pp.71-81. https://doi.org/10.5345/JKIC.2010.10.3.071
  9. 서인석.이동규 (2010). "R&D 투자정책의 국가생산성증대 효과분석: System Dynamics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분선" 정부학연구, 제16권 제2호, pp.91-121.
  10. 박환표.홍태훈.진경호 (2008). "BSC를 이용한 건설R&D 스타기술의 성과분석 방법론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5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94-203.
  11. 신범철 (2010). "DPD모델을 활용한 R&D투자의 생산성 효과분석: 하이텍산업과 저기술산업의 비교" 생산성논집, 제24권 제1호, pp.183-204.
  12. 신범철.이의영 (2010). "R&D투자와 수출의 생산효율성 제고 효과: SFA기법을 활용한 실증 분석" 한국기업경영학회, 제17권 제1호, pp.1-21.
  13. 조윤숙(2012). "건설교통 R&D 투자의 에너지절감 및 $CO_2$ 배출 감소 효과분석" 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2 하계 정기학술 발표대회 발표자료.
  14. 최종서 (2009).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시차효과에 대한 시계열분석" 회계학연구, 제34권 제1호, pp.67-105.
  15. 통계청(2009). "e-나라지표 국가자산 통계" (2012.07.30).
  16.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9). 건설교통 R&D성과 조사.분석.평가 및 개선방안 수립.
  17.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10). 건설교통기술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매뉴얼.
  18.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11). 2011년도 국토해양기술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19. 한국은행(2009). "한국은행 경제통계 시스템" (2012.07.30).
  20. Bilbao-Osorio, B. (2008). Assessing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public R&D, Workshop on Assessing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Public R&D Investment, OECD.
  21. Liu, C. C. (2011). "A Study for Allocating Resources to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by Integrated Fuzzy DEA and Fuzzy AHP", Scientific Research and Essays, 6(19), pp.3973-3978. https://doi.org/10.5897/SRE10.838
  22. Sterman, J. D. (2000). Business Dynamics, Boston: Irwin Mcgraw-Hill. pp.191-232.
  23. Volinskiy, D., Veeman, M., and Adamowicz, W. (2011). "Allocation of Public Funds to R&D: A Portfolio Choice-Styled Decision Model and a Biotechnology Case Study" Decision in Economics and Finance, 34(2), pp.121-139. https://doi.org/10.1007/s10203-011-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