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for Modernized Korean Housing (Hanok)

보급형 신한옥 개발을 위한 건설 생산성 분석

  • 김민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김예솔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
  • 이윤섭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
  • 정영수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 Received : 2013.01.30
  • Accepted : 2013.03.21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e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housing has greatly increasing in Korean housing market. However, it is difficult to wildly disseminate for a high construction cost reason. In order to effectively facilitate the Hanok construction, Korean government has initiated a project that develops a new style Korean housing, which meets the requirements of low cost and modernized life style. Cost of building is mainly affected by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Hanok has some special commodities those significantly impact the cost. In order to effectively cut down the costs, well-organized planning for costs is very important. Also, improving the productivity by utilizing new materials and methods can result in cost down. In this context,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wo different types of Korean housing; one is a modernized Korean house which used new materials and methods, the other is a traditional Korean house which was build up by purely traditional methods. Productivity has also been compared and analyzed for 5 major commodities between two types of models. Based on these comparative data, effect of cost down by new model has been analyz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by using the new materials and methods could highly effect to increasing productivity and cost down. Especially, the cost of Roofing have been more influenced by using new material while the Wood and Finishes have been influenced by new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cost of Foundation (Earthwork, Concrete, Masonry) and Openings were influenced both factors, changing of materials and methods.

근래에 들어 한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한옥에 살고자 하는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한옥에 대한 제도를 개선하고 예산을 반영하는 등, 한옥관련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공사비는 한옥의 대중화 및 지속적 발전에 장애요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정부에서는 '한옥기술개발'의 R&D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논문은 '한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실제 지어진 전통한옥과 신한옥의 생산성을 토대로 효율적인 공사비 저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한옥공사의 15개 대공종 중 주요공종을 선정하였다. 전통한옥과 신한옥 공사 중 주요공종에서의 생산성을 분석하여 재료와 공법의 변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주요공종 모두에서 생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성의 향상이 공사비 저감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공종 중 지붕/홈통의 공종은 주로 재료의 변화, 목공사와 마감공사는 공법의 변화, 기초공사와 창호는 재료와 공법 모두의 변화로 인하여 공사비 저감을 이루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정영수 (2012). "재료와 공법 변화에 따른 전통한옥과 신한옥의 생산성 비교".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2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05-206.
  2. 김왕직 (2011). 한옥기술개발, 1-1세부: 첨단도시개발사업 한옥기술개발 연구단 워크샵 발표자료, 2011년 09월
  3. 김용수 (2012). "중소도시의 기존 대체농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4권 제2호, pp. 51-58.
  4. 김예상 (1997). 건설관리 및 경영 제 1편 : 이론, 보성각, pp. 381-390.
  5. 김천석 (2006). "미국 주택시장 현황과 취득 절차." 주택과 사람들, pp. 46-51.
  6. 명지대 (2012). 실험한옥(Mock-up) 구축 보고서 : 첨단도시개발사업 3차년도 최종보고서,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p. 56-64.
  7. 서지형.박형근 (2011). "도로공사 대표공종의 생산성 정보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6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42-53. https://doi.org/10.6106/KJCEM.2011.12.6.42
  8. 안국진 (2011). "일본 목조주택의 형성과정과 공급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제 11권 제2호, pp. 71-81.
  9. 이현수.이흥근.박문서.김수영.안요섭 (2012). "공공아파트 프로젝트 기획단계 공사비 산정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52-163. https://doi.org/10.6106/KJCEM.2012.13.4.152
  10. 전봉희 (2009). "신한옥의 보급 활성화를 위한현황과 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지, 제18권 제5호, pp. 151-159.
  11. 정영수 (2012). 한옥기술개발 1-2세부: 첨단도시개발사업 한옥기술개발 1차 자체평가 발표자료.
  12. 정영수.김우중.하지원 (2012). "신한옥 건설통합정보화를 위한 표준정보분류 및 사업번호체계." 한국CAD/CAM학회논문집, 제17권 제4호, pp. 225-233. https://doi.org/10.7315/CADCAM.2012.225
  13. 최중현.유정훈.김상훈 (2007). "현대한옥의 산업화를 위한 지능형 모델링 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9권 제4호, pp. 117-123.
  14. 홍지나 (2010). "전통한옥에 나타난 한지의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국민대학교, pp. 7-13.
  15. CII (1987). A Construction Industry Cost Effectiveness Project, Measuring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The Business roundtable, pp.3.
  16. Kim, M and Jung, Y. (2012). "Comparative Study of Build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Traditional Korean Housing."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Design in Engineering, Jeju, Korea, pp. 206.

Cited by

  1. The atmospheric environmental impact of a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life cycle, along with carbon footprint analysis vol.28, 2017, https://doi.org/10.1016/j.scs.2016.09.008
  2. New Build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Modernized Korean Housing (Hanok) vol.15, pp.2,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2.023
  3. Estimating Standards and Cost Data for Modernized Korean Hosing (Hanok) vol.17, pp.1, 2016, https://doi.org/10.6106/KJCEM.2016.17.1.066
  4. Phase Change Material (PCM) Application in a Modernized Korean Traditional House (Hanok) vol.10, pp.4, 2018, https://doi.org/10.3390/su10040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