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alue Criteria and Relative Importance for Con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근대 문화유산의 평가 기준과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Park, Jae-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ung, Jong-S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재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Received : 2012.10.30
  • Accepted : 2013.02.04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value criteria that citizen evaluate themselves it when they found modern heritages in their town. To understand the changing of value criteria for the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begin from early 20 century that were, however, diversified after 80's. As a result, early they evaluated with the architectural and aesthetic value mainly, after they evaluated with th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nowadays they try to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So this study rearranged and divided that value with the preservation and using value. The preservation value include the historical value, aesthetic valu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the using value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The criteria, however, don't have the equal importance, This study try to redefine relative importance score with paired comparison. As a result, Historical value is proved that most important criteria, but aesthetic value got the score lower than social-cultural value, and similar with academical values. And in using values,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got the low score. It means that if some researcher insist about the importance of economical value, it should evaluate lower than preservation values. This study insist that we have to include diversified values and that values have relatives score. Actually, now we mostly evaluate with the architecture and aesthetic values about modern heritage, so we are losing a lot of modern heritage. If we include the diversified values, social-cultural, academical and educational value, we can conserve our important modern heritage and revitalizing town with tourism of historical heritage.

본 연구는 지역주민, 향토사학자들이 찾아낸 근대 문화유산을 1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최근 근대 문화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등록문화재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나, 정부와 전문가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곳에 숨겨진 지역 문화유산의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현황조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기준은 서술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다소 모호하고, 일부 가치만을 반영하고 있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80년대 이후 서구 유럽에서도 유사한 논의가 전개되었으며, 평가기준에 있어 초기 건축적, 미학적 가치만이 아닌 사회문화적, 학술적 가치와 최근에는 경제적 가치를 중요한 평가가치로 제시하며 발전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양에서 시계열적으로 확장되어온 문화유산의 선정가치를 참조하여, 보전 가치와 관련한 역사적, 미학적, 사회 문화적, 학술적 가치, 활용 가치와 관련한 교육적, 경제적 가치로 구분하여 재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다만 선정된 가치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에 따라,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었던 역사적 가치는 여전히 가장 주요한 선정 기준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과거 중요한 가치였던 미학적 가치는 새롭게 등장한 사회 문화적 가치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개별 시설의 아름다움보다는 근대문화유산의 사회, 환경적 관계를 보다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활용가치의 경우, 보전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 건축적 가치와 미학적 가치 중심으로 평가되어 사라지고 있는 근대 문화유산에 대해 다각화된 가치를 선정 기준으로 반영함으로써, 지역민 스스로도 지역 내 근대 문화유산을 비교적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 안성진, 박진호, 최진도(2009) AHP기법을 이용한 건강결정요소 및 건강도시사업 가중치 분석. 도시행정학보 22(3): 365-387.
  2. 김정만, 이상도(1993) 일대비교에 의한 관능평가능력의 동적판별. 대한인간공학회지 12(2): 85-91.
  3. 김종헌(2006) 등록문화재 제도에 있어서 경제적 관점을 통한 근대건축 물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공학논문집 8(1): 1-8.
  4. 김정신(2004) 근대문화유산의 보존현황과 법제도 개선방안. 건축역사연구 13(4): 181-188.
  5. 나란희, 윤용철, 김영주(2010) AHP법을 이용한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 의 성과분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 44(4): 57-68.
  6. 문화재청(2001) 근대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 안내. 문화재청.
  7. 박근수(2000) 한국근대건축물의 보전관리지침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재민, 성종상(2012) 산업유산 개념의 변천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1(1): 65-72.
  9. 박재현(2004) 분석적 계층과정을 이용한 관광지 입지선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호텔관광연구 6(1): 134-152.
  10. 신용광, 김창길, 김태영(2005)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친환경농업정책 프로그램의 우선순위 결정. 농촌경제 28(2): 39-56.
  11. 이근규(1996) 기존 건축물의 보존여부 판별기준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민경, 김태영(2008) 문화재정보에 게시된 역사적․학술적․건축적 가치의 내용적 의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4(53): 177-184.
  13. 이수정(2003) 현대 보존이론의 변화하는 관점에 있어서의 원형보존의 원칙. 경주문화연구 6: 200-224.
  14. 이승진(2000) 한국 근대건축의 보존과 활용현황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인재, 임승권(1983) 교육평가. 서울: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6. 정민섭, 한혜숙, 박선회(2008) CVM을이용한근대문화유산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17(3): 175-196.
  17. 정이순(2005) 근대건축물의 보전을 위한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부산의 현존 건축물사례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전봉희(2008) 서울시청사 사건과 등록문화재 제도. 건축과사회 14: 184-186.
  19. 전승재(1999) 근대건축물보존에 관한 연구: 강경의 현존 근대건축물을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조근태, 조용곤, 강현수(2003)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21. 채균식, 이응봉(2004) 전자도서관 웹사이트 평가 모델 개발을 위한 AHP 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103-152.
  22. 한국개발연구원(2004) 예비타당성 조사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 보완. 한국개발연구원 보고서.
  23. 刀根熏(1986) ゲ-ム感覺意思決定法: AHP入門, 日科技連.
  24. Attoe, W. O.(1979) Historical preservation, in A. J, Catanese & J. C. Snyder. An Introduction to Urban Planning. Mcgraw-hill Book Company.
  25. De La Torre, M.(2002) Assessing the Values of Cultural Heritage, L.A: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26. English Heritage(1997) Sustaining the Historical Environment: New Perspectives on the Future. London: English Heritage.
  27. English Heritage(2007) Industrial Buildings Selection Guide, London: English Heritage.
  28. Frey, B.(1997) Evaluating cultural property: The economic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roperty. 6(2): 231-246.
  29. ICOMOS(1994) The Nara Document on Authenticity, ICOMOS.
  30. Lipe, W.(1984) Value and meaning in cultural resources. In Approaches to the Archaeological Heritage, ed. H. Cleer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Reigl. A.(1902) The Modern Cult of Monuments: Its Character and Its Origins. Cambridge: MIT Press.
  32. Satty, T. L.(1995), Decision Making for Leaders. Pittsburgh: RWS Publications.
  33. Satty, T. L. and L. G. Vargas(2001) Model Methods: Concept &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4. The Australia ICOMOS(1999) The Berra Charter. ICOM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