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종 연간에 조성된 궁궐 후원 다용도 공지(空地)의 활용양상

A Study on the Status of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 at the Palace Rear Garden during the Era of King Kojong

  • 투고 : 2013.02.01
  • 심사 : 2013.05.28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후원에 위치한 다용도 공지의 조영역사를 구명하고, 이와 내적 맥락을 같이 하는 고종 연간의 다용도 공지를 고찰한 것으로서, 중건 경복궁 및 경운궁 임어기에 후원 공지를 조성한 배경과 그 이용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궁궐 내의 다용도 공지는 조선의 정치무대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적 공간이자, 국가운영의 기반시설이 되었다. 조선이 성립된 후로 창덕궁에서 왕실의 행사를 거행하는 공지로는 광연루(廣延樓)와 해온정 사이의 공터, 열무정(閱武亭) 일대, 서총대와 춘당대(春塘臺)가 조사되었으며, 여기서 활쏘기, 과거시험, 군사훈련과 다양한 연회가 이루어졌다. 고종 즉위 후에는 중건 경복궁에 경무대(京武臺)가 조성되었고, 경운궁에 환어한 고종 34년 뒤에는 경희궁이 영외 후원처럼 사용되었다. 두 공간의 특징으로, 신무문(神武門) 밖 후원의 경무대는 창덕궁의 공간구성이 이입된 특성이 있으며, 경희궁의 경우 원활한 공간 연계를 위해 운교(雲橋)가 설치되었다. 특히 고종 시대 후원 다용도 공지는 과거시험이나 시사(試射)와 같은 이전에도 있었던 국가적 행사장의 의미를 넘어서 제국주의 열강의 조선 침탈이 가속화 되는 시점에서 일국의 자주독립을 대내외적으로 과시하고, 국왕의 위엄과 권위를 보여주는 장소로 기능하였다. 또한 다용도 공지가 대규모 인원을 동원한 관병식(觀兵式) 등의 군사조련장으로 주로 활용된 사실은 시대성을 반영한 결과로 간주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background of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s in the rear gardens of Kyeongbok Palace and Kyeongun Palace, by understanding the building history of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places formed in the period of King Kojong. The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s in the Palace were the important element from the political aspect of Joseon Dynasty, and became an infrastructure of a state - run organization. The vacant space between Kwangyeonlu(廣延樓) and Haeonjeong, the whole region of Yeolmujeong(閱武亭), Seochongdae(瑞蔥臺), and Chundangdae(春塘臺) were investigated as the multi-functional places, where the events were held for the royal family in the Changdeok Pala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Various events such as the archery competition, official examination and military training were held at the places. After the inauguration of King Kojong, Kyeongmudae(京武臺) was made in the process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Kyeongbok Palace. The Kyeonghee Palace was used as the off-palace rear garden after the year that King Kojong returned to the Kyeongun Palace. The characteristics of two spaces were to apply the space organization of the Changdeok Palace into the rear garden outside of Sinmumun(神武門), Kyeongmudae at Kyeongbok Palace and the pedestrian overpass was established to connect the spaces efficiently in Kyeonghee Palace. Especially, the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 in the rear garden during the period of King Kojong functioned as the place to show off the internal and external independence of a nation and to show the authority and dignity of King at the point of time that accelerated the plundering Joseon Dynasty by Japanese imperialism powers, beyond the meaning of national event space that had existed before, such as official examination or archery test.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 used as training place for military exercise where many people were mobilized was considered to reflect the contemporary situ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동(2004) 고종황제가 사랑한 정동과 덕수궁. 서울: 도서출판 발언.
  2. 김현욱, 김용기, 최종희(2000) 조선왕조실록 분석을 통한 경복궁과 창덕궁 후원의 공간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3): 41-50.
  3. 김현욱(2007)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창덕궁의 공간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전통조경학회지 25(3): 40-52.
  4. 문화재청(2006)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대전: 문화재청.
  5. 바츨라프 세로셰프스키 저, 김진영 외 역(2006) 코레야 1903년 가을: 러시아 학자 세로셰프스키의 대한제국 견문록. 서울: 개마고원.
  6. 박희용(2008) 창덕궁 정전 영역의 구성과 운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2011) 1901년 체코인 브라즈의 서울 방문: 체코 여행가들의 서울 이야기.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
  8.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2012) 국역 경성부사 제1권. 서울: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9. 小田省吾(1938) 德壽宮史. 京城: 李王職.
  10. 안창모(2009) 덕수궁: 시대의 운명을 안고 제국의 중심에 서다. 파주: 동녘.
  11. 에밀 부르다레 저, 정진국 역(2009)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파주: 글항아리.
  12. 우동선(1991) 창덕궁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은정태(2009) 고종시대의 경희궁 - 훼철과 활용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 34: 95-121.
  14. 이돈수, 이순우(2009) 꼬레아 꼬레아니. 서울: 하늘재.
  15. 이윤상a(2003) 고종 즉위 40년 및 망육순 기념행사와 기념물: 대한제국기 국왕 위상제고사업의 한 사례. 한국학보 29(2): 96-139.
  16. 이윤상b(2003) 대한제국기 국가와 국왕의 위상제고사업. 진단학보 95: 81-112.
  17. 이혜원(2008) 경복궁 중건 이후 전각구성의 변화.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정우진(2011). 동궐 후원의 변천과정과 원형경관 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우진, 심우경(2011) 창경궁 후원이용의 역사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71-89.
  20. 정우진, 심우경(2012) 조선시대 궁궐 후원 농경지 조영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40(4): 62-77. https://doi.org/10.9715/KILA.2012.40.4.062
  21. 한국문화개발사(1973) 皇城新聞影印本. 서울: 韓國文化開發社.
  22. 한국역사연구회(1998) 皇城新聞 記事 索引集 上, 下. 서울: 景仁文化社.
  23. 홍순민, 강명숙, 박현순(2009) 서양인이 만든 근대 전기 한국이미지I 서울풍광. 파주: 청년사.
  24. 田率(2010). 馬躍黃沙爭射侯故宮箭亭溯源. 地圖 2010(4): 88-91.
  25. http://db.itkc.or.kr
  26. http://dic.naver.com
  27. http://sillok.history.go.kr
  28. http://sjw.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