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Prevalenc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for Employees

직장 근로자의 골다공증 유병실태와 관련요인 연구

  • 홍순안 (조선대학교 대체의학과) ;
  • 유시영 (조선대학교 대체의학과)
  • Received : 2013.01.08
  • Accepted : 2013.04.22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osteoporosis for S electronics workers in H hospital of G city form April 21 to May 31 2008. Material and Metho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Results: As results of osteoporosis analysi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 for men, something of 21 was the most frequent and osteoporosis of 13 was the second most frequent, and for women, good of 12 was the most frequent and care was the second most. The results concludes that men have more problems with osteoporosis that women have. In age of 40 years or more, care level of 24(88.9%) was the most frequent and good level of 15 people was the second most. This result concludes that age of 40 year is target subjects for care. In position, senior has 14 people who have care level(42.4%) and 8 people(24.2%)of osteoporosis level. The result concludes than the senior has more osteoporosis than the employ ha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age, position, weight are related to osteoporosis.

본 논문은 G광역시 H병원에서 S전자 근로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검사를 실시함으로 근로자들의 골다공증 유병율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직원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연구되었다. 또한 가족과 집을 떠나 원거리에 근무하는 직장 근로자들에 있어 골다공증 실태를 파악하여 골다공증과 관련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골다공증의 발생원인으로는 성별, 직급, 체중 등이 관련 있었으며, 실험에 참여한 대부분의 대상자가 골다공증이 있거나, 관리대상으로 볼 때 기업체 내의 골다공증에 대한 조직적인 예방과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골다공증은 직장 근로자들에게 있어 흡연, 음주, 운동부족, 카페인과 같은 생활 습관에 대한 보다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절감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대식, "산업체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요인과의 관계",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6호, p. 1463, 2012.
  2. 김금자, "중년남성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모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3. 김미경, 장준호, 남재현, 안철우, 송영득, 이용호, 임승길, 이현철, 허갑범, "일차성 남성 골다공증의 원인 및 임상적 특성", 대한내과학회지, 57권, 3호, pp. 304-312, 1999.
  4. 김수영,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위험인자에 관한 문헌고찰 및 예비적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5. 박형수, 정미화, 유진호, "우리나라 노인의 배우자 유무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5호, p. 1183, 2012.
  6. 변영순, 신공범,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서울 : 정담, pp. 27-127, 1997.
  7.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제42호, pp. 265-268, 2010.
  8.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서울 : 보건복지부, 2011.
  9. 오한진, "골다공증의 치료 및 호르몬 대체요법", 가정의학회지, 20권, 5호, pp. 598-601, 1999.
  10. 이은남, "여성의 개인적 특성과 생활양식요인을 이용한 골량감소 예측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8.
  11. 이혜영, "여성 골다공증환자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의료행정학과 간호행정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1.
  12. 임완기, "성인의 건강관리", 서울 : 도서출판 태근, pp. 50-120, 2003.
  13. 장종호, "골다공증",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5호, pp. 167-174, 1985.
  14. 장윤균, "40, 50대 남성근로자의 골다공증 유병실태와 위험요인", 한성대 안전보건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5. 정미화, 석경휴, 박형수, "우리나라 성인의 배우자 유무와 비만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3호, pp. 679-686, 2012.
  16. Gambert, S. R., Schyltz. B. M., & Hamdy, R. C., "Ostesporosis : Clinical features, prevention and treatment", Endocrinology &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24, No 2, pp. 317-371, 1995.
  17. Han, I. K., & Cho, N. H, "Osteoporosis in Korea, The Third Symposium for Osteoporosis in Seoul", pp. 47-64, 1995.
  18. Johansson C, Mellstrom D, "An earlier fractures as a risk factor for new fracture and menopausal age in women", Maturitas, Vol. 24, No 1-2, pp. 97-106, 1996. https://doi.org/10.1016/0378-5122(95)01024-6
  19. Massey, L. K., & Whiting, S. J., "Caffeine, urinary calcium, calcium metabolism and bone", Journal of Nutrition, Vol. 123, No 9, pp. 1611-1614, 1993. https://doi.org/10.1093/jn/123.9.1611
  20. WHO, "Techaical Report series: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HO study group, Sep, p. 843,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