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newly-established evaluation methodology of the sustainable performance degree of interior architectural finishes

실내마감재의 친환경성능 판정기법 및 성능등급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이지순 ((주)플랜잇,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 윤정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13.04.04
  • Accepted : 2013.04.16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rovide pragmatic application guidelines of the interior finish materials for apartment houses with newly-established evaluation methodology of the sustainable degree of interior products. With reference to the standards and criteria of domestic eco-labeling accreditation schemes for sustainable products in the area of architecture which focus on the sustainable elements classified as the health, recyclability, dur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in this study, a systematic evaluation method has been established for interior finish products with quantifiable indicators for sustainable performance. Base on the evaluation system introduced here, most interior finish products can be classified into a database and applied effectively to the rea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stainability. There are the necessities of enforcement issues with the idea of revising or taking remedial measures of the current performance criteria of domestic eco-labeling accreditation to bolster their reliability. As well as already-commercialized products, hereafter, continued efforts are needed to control the whole process of manufacturing new interior finish products from their designing, constructing, consuming, recycling and to dismantling in terms of sustainability, which promises more pragmatic follow-up measures for the detail embodiment of the environment-friendly spaces.

Keywords

References

  1. Harland Edward, Eco-Renovation / The Ecological Home Improvement Guid, Chelsea Green Publishing Company, 1999.
  2. M. K. Kumaran2000. Low-permeance materials in building envelopes, 2000.
  3. Bjorn Berge, Ecology of Building Materials. Architectural Press, 2000
  4. J. L. NIU J.Burnett, Setting up the criteria and credit-awarding scheme for building interior material selection to achieve better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international 26, 2001
  5. Elliott Jenifer A, An Introduc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Routledge, 2002
  6. 김자경, 자연과 함께하는 건축, Spacetime, 2004
  7. 김준연, 컨템포러리 그린디자인, 생태건축 강습회 자료집, 2005
  8. 대한주택공사, 환경오염부하저감을 위한 실내건축용 접착제 및 도료의 종합성능개선방안,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연구개발실, 2006
  9. 대한주택공사,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실현방안 연구 : 실내공기 질 개선과 친환경건축자재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사)지속가능발전진흥원 환경경제연구소,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6
  10. 환경부,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 선정관련연구, 2003
  11. 이옥화, 건강한 주거공간의 환경친화적 실내디자인요소 적용 방안,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박철수 외, 초고층 아파트의 의학적 병리현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통권79호, 1993
  13. 강승모, 권자인, 실내건축재료의 환경친화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28, 2001
  14. 김윤선, 박지윤, 김형우, 주택실내공간 마감재료의 생태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제2권, 2002
  15. 유호천 외, 친환경 건축물 자재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23권 4호, 2003
  16. 한경희, 김자경,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환경친화적 건축 재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NO.41, 2003
  17. 강승모, 실내디자인에 있어 환경친화성 재료사용의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40, 2003
  18. 이강희, [특집] 건축자재와 재료의 환경친화성 평가 프로세스, 대한건축학회, 2003
  19. 이상협, 김문덕,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재료와 공간의 상호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회, 2003
  20. 강승모, 박기덕, 공동주택에 있어 친환경 실내디자인의 국내 추이에 관한 연구-아파트의 새집증후군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집, 제14권 1호, 2005
  21. 곽재훈, 한혜련,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실내 마감재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년 5월
  22. 하미경, 임보련, 웰빙트렌드에 따른 아파트의 건강 관련 실내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3(통권 50호), 2005
  23. 이은정, 초고층아파트 단위주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요소 분석, 한국생태환경 건축학회 논문집, 제6권 제3호, 2006
  24. 고태원, 환경표지제도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방향, 한국환경산업기술원, Special Issues GGGP(Global Green Growth Policy) 제47호, 2011. 06

Cited by

  1. A study on Problems of the G-SEED Process and their Improvements - Focusing on case studies of office buildings - vol.14, pp.1, 2014, https://doi.org/10.12813/kieae.2014.14.1.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