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ived Parental Behavior,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과학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 Chae, Yoojung (KAIST GIFTED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
  • Lee, Young Ju (KAIST GIFTED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 채유정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이영주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Received : 2012.06.11
  • Accepted : 2013.04.22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gifted students' perceived parental behavior of their parent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ample includes 91 6th-11th grade gifted students enrolled at a gifted program in a University. The surveys, administered in March, 2012, asses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parental behavior of the parents of gifted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researchers, using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ach of the 10 item's mean score is over 4.0, and the total mean scores on self-esteem is 4.36 out of 5 (SD=.546), showing positive responses. 2) The mean scores of two asp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close to 4, showing positive perception. 3) The mean scores on perception of a father's and a mother's behavior are at 3.89 and 4.10, respectively; the three factors of perception among fathers (care, trust, and respect) are close to 4.0, while care (3.57) was somewhat low; the perception among mothers is at 4.31 (care), 4.20 (lesson), 4.01 (respect), and 3.96 (trust), showing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4) Th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self-esteem and the four aspects of parental behavior, and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behavior. 5)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respect (${\beta}$=.422, p<.001) among fathers, and trust (${\beta}$=.450, p<.001) among mothers affected students' self-esteem; lessons (${\beta}$=.414, p<.001) and trust (${\beta}$=.280, p<.01) among fathers and lessons (${\beta}$=.450, p<.001) and respect (${\beta}$=.331, p<.01) among mothers affected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mitation, and future study ideas are suggested at the end of this paper.

본 연구는 과학 영재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총 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응답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2년 3월,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부모양육행동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배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영재학생들은 자아존중감에 해당하는 10개 문항 모두에서 4점 이상(그렇다)의 응답을 보였으며, 전체 평균이 4.36(SD= .546)으로 설문에 참여한 영재학생들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서지능 요소 중 정서의 사고촉진, 감정이입 영역에서는 4점에 매우 근사한 결과를 보여, 학생들이 이 영역에서 본인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버지 양육행동에 대한 문항에서는 전체 평균이 3.89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가르침, 신뢰(불신), 존중, 세 영역에서는 4.0(그렇다)에 근접하였으나 관심 영역에서는 평균3.57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평균은 4.10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관심 4.31, 가르침 4.20, 존중 4.01, 신뢰(불신) 3.96의 순서로 평균점수가 높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지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자아존중감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해당하는 네 가지 영역(신뢰, 존중, 가르침, 관심) 모두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은 아버지, 어머니 양육행동의 네 개 요소 모두와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분석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존중' (${\beta}$=.422, p<.001)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신뢰' (${\beta}$=.450, p<.001)는 영재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14, p<.001)과 '신뢰' (${\beta}$=.280, p<.01),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50, p<.001)'과 '존중' (${\beta}$=.331, p<.01)이 영재학생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결론 및 논의에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루, 홍지명, 홍혜경(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 중감 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9(2), 113-132.
  2. 김영숙(1999).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3(1), 69-98.
  3. 김은경, 유가효(2002). 아버지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간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5(1), 33-43.
  4. 문용린(1999). 인성교육을 위한 정서지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59(12), 31-98.
  5. 문용린(2011). 문용린교수의정서지능강의. 북스넛: 서울.
  6. 박상표(2009). 영재남아의 자존감과 문제행동(신체증상 및 공격성)간의 관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200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5(2), 161-182.
  8. 박영애, 최은경(2001). 부모의 양육행동 및 인성과 아동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221-238.
  9. 박혜원, 하정연, 문지혜(2011). 영재와 일반 남아의 자존감 비교 및 영재 남아의 자존감 유형별 신체증상 및 공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83-105.
  10. 배진호, 김언경, 김재영(2004).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과학적 태도 분석과 이들의 상관관계 연구. 초등과학교육, 23(1), 1-7.
  11. 백은주(2005).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과학태도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성현숙, 곽미용, 이성실(2006). 고등학교 과학영재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유형과 학업수행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학교심리학회지: 학교, 3(2), 55-67.
  13. 손화희, 윤종희(1990).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양육태도와 학동기 자녀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11(1), 58-71.
  14. 양병화(2002). 다변량 자료 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서울.
  15. 오영미(1997).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6. 윤선영, 정혜숙(2010).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5), 27-54.
  17. 윤초희, 윤여홍, 김홍원(2004). 지적으로 우수한 초등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177-196.
  18. 이군현(1990). 과학영재 학생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28(1), 131-144.
  19. 이광자(199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감성지수와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임정하, 정옥분(2004). 한국적 양육행동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11(4), 55-73.
  21. 임화성(2006). 부모의 언어상호작용 유형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재홍, 김태성, 김현주, 이호준(2000).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현황과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청소년 상담연구, 9(1).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3. 전병재(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총론, 11, 107-129.
  24. 정옥분, 김광웅, 김동춘, 유가효, 윤종희, 정현희, 최경순, 최영희(1996). 세계화를 위한'효'가치관 정립과 자녀양육 방향모색. 한국학술진흥재단 자유공모과제 연구보고서.
  25. 조선화, 최명선, 박희현(2007). 청소년 연구자를 위한 심리발달 척도. 교문사.
  26. 조석희(1987). 취학 전 영재의 특성 및 부모의 지도실태와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교육개발 50, 60-64.
  27. 조석희, 한순미(1986). 취학 전 영재의 특성 및 부모의 지도실태와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8.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9. Blascovich, J., & Tomaka, J. (1991). Measures of selfesteem. In J. P. Robinson, P. R. Shaver, & L. S. Wrightsman (Eds.)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Vol. 1.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0. Bloom, B. (1985). Generalizations about talent development. In B. Bloom(Eds.),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entine Books.
  31. Colangelo, N., & Kelly, K. R. (1983). A study of student, parent, and teacher attitudes toward gifted programs and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27, 107-110. https://doi.org/10.1177/001698628302700302
  32. Clark, B. (1997). Growing up gift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3.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6th ed). New York : Pearson.
  34. Davis, H. B., & Connell, J. P. (1985). The effect of aptitude and achievement status on the self-esteem. Gifted Child Quarterly, 29(3). 131-135. https://doi.org/10.1177/001698628502900306
  35. Forsyth, P. (1987). A study of self-concept, anxiety, and security of children in gifted: French immersion, and regular classes. Canadian Journal of Counseling, 21, 153-156.
  36. Gallucci, N. T., Middleton, G., & Kline, A. (1999). Intellectually superior children and behavioral problems and competence. Roeper Review, 22, 18-21. https://doi.org/10.1080/02783199909553992
  37. Garland, A. F., & Ziegler, E. (1999).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highly intellectually gifted youth. Roeper Review, 22, 41-47. https://doi.org/10.1080/02783199909553996
  38.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39. Gross, M. U. M. (1993).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New York: Routledge.
  40. Gross, M. U. M. (2000). Issues i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exceptionally and profoundly gifted individuals.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2nd ed., pp. 179-192). New York: Elsevier.
  41. Hollingworth, L. S. (1942).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New York: World Book.
  42. La Rossa, R. (1988). Fatherhood and social change. Family Relations, 37, 451-457. https://doi.org/10.2307/584119
  43. Lea-Wood, S. S., & Clunies-Ross, G. (1995). Selfesteem of gifted adolescent girls in Australian schools. Roeper Review, 17(3), 195-97. https://doi.org/10.1080/02783199509553658
  44. Maddux, C. D., Scheiver, L. M., & Bass, J. E. (1982). Self-concept and social distance in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26, 77-81. https://doi.org/10.1177/001698628202600207
  45. Mayer, J. D., & Salovey, P. (1990).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on, and personality. Intelligence, 9, 185-221.
  46.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eter Salovey and David J. Sluyter(Eds.). Emotional Implications. New York: Basic Books.
  47. Richardson, T. M., & Benbow, C. (1990). Long-term effects of acceleration on the social-emotional adjustment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464-470. https://doi.org/10.1037/0022-0663.82.3.464
  48.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 Salovey, P., & Sluyter, D. J. (1997).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New York: Harp Collins Pub.
  50. Stephanie, M. (1990). The magic of encouragement. Willan Morrow & Company, Inc.
  51.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1.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2. Van Tassel-Baska, J. (1989). The role of the Family in the success of disadvantaged gifted learner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 22-36.

Cited by

  1. '지혜'의 개념과 과학교사들의 '지혜'에 대한 인식 vol.37, pp.4,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