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현대 건축 공간의 이해

  • 정효경 (동서울대학교 실내디자인과)
  • Received : 2013.05.02
  • Accepted : 2013.06.20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At the age of uncertainty,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been changed by various design approaches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Especially, being issued Phenomenology by Merleau-Ponty the tendency of visual interpretation on the architectural space has been studied positively.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design the interior and architectural space. The phenomenological architectural space is based on knowing about the perception from a body and experience as a contents of the world. The touch from the space designed by Phenomenological architectural express by various way of the Phenomenological light is one of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experience.

불확실성의 시대에 현대건축은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표현 양상과 전개 및 방법론에 있어 과거에 비해 훨씬 자유로워지면서 건축의 표현 양상에도 많은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현상학이 대두되면서 건축공간에 현상학적 표현의 방법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건축의 형태에서 벗어나 본질적이며 인간과 상호 소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탐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적 형태(Figure)와 공간(Space)을 지각하고 인식하게 되는 방법으로써의 현상학적 이해를 통해 기존의 물적 구조체로서의 건축에 대한 이해를 현상을 품은 콘텐츠의 주체로써 이해하여 다각적인 공간 디자인의 방법을 모색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건축의 표현양식에 있어서 현상적적 접근은 빛을 건축공간에 접목하여 발표한 건축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수, 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솔, p.154, 2000.
  2. 김근우, 윤재은, "요코하마 국제 항만터미널의 공간적 특성에 나타나는 어포던스 관계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제89호, 제12호, p.351, 2011.
  3. 미켈 뒤프렌, 김채현(역), 미적체험의 현상학(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603, 1996.
  4. 곽문정, 김기수, 조용수, "메를로 뽕띠의 신체현상학을 통한 체험된 건축공간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5권, 제1호, p.304, 2005.
  5. 김민수, 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솔, p156, 2000
  6. K. Frampton, 정영길, 윤재희(역) 현대건축사 (II), 세진사, p.599, 1999.
  7. 안우진, 손광호, 고성룡, "스티븐 홀 작품에 나타난 현상학적 빛과 물의 공간작용",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7권, 제6호, p.24, 2001.
  8. 이미경, "현대 공간디자인에서의 현상학적 특징과 가능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제2호, p.11, 2011.
  9. 정효경, "현대건축을 통해서 본 비판적 지역주의 개념적 표현",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13권, 제6호, p.23, 2004.
  10. 메를로 뽕띠, 오병남(역), 현상학과 예술, 서광사, p.14, 1987.
  11. 미켈 뒤프렌, 김채현(역), 미적체험의 현상학(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428-429, 1996.
  12. 안우진, 손광호, 고성룡, "스티븐 홀 작품에 나타난 현상학적 빛과 물의 공간작용",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7권, 제6호, p.23, 2001.
  13. 정진원, 소병일, "안도 타다오 건축의 현상학적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0호, p.32, 2010.
  14. 미켈 뒤프렌, 김채현(역), 미적체험의 현상학(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432, 1996.
  15.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_print.asp?article_num=98130129165645
  16. 미켈 뒤프렌, 김채현(역), 미적체험의 현상학(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517, 1996.
  17. 미켈 뒤프렌, 김채현(역), 미적체험의 현상학(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278-279, 1996.
  18. 김재은, "게리 힐의 비디오 아트에서 나타나는 파편화 특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8, 2006.
  19. 메를로 뽕띠, 남수인, 최의영(역),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 pp.50-51, 2004.
  20. 김재은, "게리 힐의 비디오 아트에서 나타나는 파편화 특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3, 2006.
  21. 곽문정, 김기수, 조용수, "메를로 뽕띠의 신체 현상학을 통한 체험된 건축공간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5권, 제1호, p.306, 2005.
  22. http://danmee.chosun.com/svc/bar/printContent1.html?type=(서울 성북동에...건물이 물에 녹아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