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행자전용도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광주광역시 상무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the Pedestrian Malls -A Case Study on Gwangju-Sangmu Land Development Project-

  • 투고 : 2013.06.12
  • 심사 : 2013.07.17
  • 발행 : 2013.07.28

초록

본 연구는 택지개발사업지구에서 조성되는 보행자전용도로가 적정하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보행자전용도로 계획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상무택지개발사업지구를 사례대상지로 선정하고 보행량 조사결과를 토대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조사 및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보행자전용도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보행자전용도로에 접하고 있는 건축물의 출입구 방향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보행자전용도로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행자전용도로변 출입구 설치 의무화 및 건축물 파사드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둘째, 보행자전용도로에 접하고 있는 건축물 용도가 중요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보행유발용도의 적극적 도입과 보행미유발용도(숙박시설 등)에 대한 입지제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보행자전용도로간 연속성 확보가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초기 입체교차로의 적극적 설치나 평면교차로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investigation aim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currently the proper use of pedestrian malls created in the Land Development Project areas and to come up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upcoming plan to build them. The Project areas were designated as the subject of a case study to this end an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n the pedestrian movem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s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activation of pedestrian malls turned out to be the directions of the exits to the buildings adjoining the pedestrian walkways. Hence,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facade of buildings and the obligation to install the exits to the pedestrian malls for the activation of the pedestrian walkways. Secondly,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use of the buildings adjoining the pedestrian malls could be a second-most-important variable. The introduction of the facilities that encourage walking and the location restriction on the facilities(accommodation facilities) that do not encourage walking should be done aggressively. Thirdly, securing the continuity between the pedestrian malls could affect the reinvigoration of the pedestrian malls. To achieve this, the crosswalks should be actively built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광주광역시 도시공사, 상무택지개발지구 상세계획, 1994.
  2. 국토해양부,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2012.
  3. 김철수, 단지계획, 기문당, 2011
  4. 이영석, 주거환경계획, 신학사, 1985.
  5. 한국토지공사, 화성동탄지구택지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 2004.
  6. 한국토지공사, 생태환경도시편람, 2005.
  7. 김대현, "보행자전용도로의 이용자 경관만족 요인 분석", 한국환경생태복원학회지, 제4권, 제2호, pp.1-10, 2001.
  8. 박병철, 정현태, 고성룡, 안재락, "차없는 거리가 가로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1권, 제2호, pp.135-144, 2009.
  9. 양동양, 김희진, "도시의 보행자공간과 구성요소", 국토와 건설, 제24호, pp.97-99, 1986.
  10. 염성진, "보행자전용도로의 이용목적에 따른 만족요인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20권, 제9호, pp.1205-1212, 2011. https://doi.org/10.5322/JES.2011.20.9.1205
  11. 이한숙, 신남수, "도심내 보행자 전용도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0권, 제2호, pp.723-726, 2000.
  12. 조윤희, 김주현, 하재명, "대구시 동성로 보행자 전용도로의 이용자 만족도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5권, 제6호, pp.197-204, 2009.
  13. Anne Vernez Moudon, Public Streets for Public Us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14. Appleyard, D, Livable Street,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15. Rubenstein,H., Pedestrian Malls, Streetscape and Urban Spaces, Wiley-Blackwell,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