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직과목 수업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 활용 사례 연구: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사례

The Case study of using MTBL(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in a Teaching Profession Course: A Case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Class

  • 김은진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투고 : 2013.05.06
  • 심사 : 2013.06.18
  • 발행 : 2013.07.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라는 교직과목에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을 활용한 수업사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에 MTBL를 활용한 팀별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6주간의 수업진행 후 본 사례연구에 대한 개방형 설문과 심층인터뷰를 실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사례연구에 MTBL 활용은 이론중심의 교직과목에 다양한 교육매체를 활용한 수업으로 '흥미, 재미', '능동적인 학습 참여' 등 학습자들의 호의적인 반응과 이와 다르게 MTBL의 활용은 '교직과목과 연계가 안됨', '융복합수업의 어려움' '수업 이외 개별 공부 시간이 요구됨' 등 교직과목에서의 MTBL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학습자들의 시각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교직과목에서 MTBL 활용은 부분적으로 본 사례연구 과목을 이해하는 도움이 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론중심의 교직과목에 MTBL의 활용은 현재까지 어려움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MTBL 수업은 하나의 새로운 교수-학습 접근 방안으로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직과정의 개발 및 운용을 위해 더 많은 사례연구과 수업개발이 필요하다.

The researcher's objective is to analyze a case study from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entitled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IMET," in which the instructional method '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 has been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analysis and the completion of the associated 16-week coursework, the researcher conducted an open-ended survey, and conducted and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the case study. Using MTBL in IMET has elicited mostly favorable responses from participants such as "interesting" and "fun." They also mentioned "active learning participation." There were also negative responses to MTBL, citing "the lack of interconnection between MTBL and other teaching profession courses," "the difficulty of hybrid and convergence classes," and "the need for additional time and attention in an individual study." The analysis of this case study indicates that the use of MTBL in teaching profession courses somewhat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concept of integrating technology into education, although some difficulties remain. The analysis of more case studies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more effective training courses, in which learning is not limited to the theoretical aspects of education. Using MTBL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educational method would help to foster more creative and professional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애, 김은진, 서봉현,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통합 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교육사례", 음악교육공학, 제10집, pp.55-79, 2010.
  2.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과학기술부, 2013.
  3. 교육인적자원부, 교직실무편람, 교육과학기술부, 2006.
  4. 권성호, 강경희, "교양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한양대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7-24, 2008.
  5. 권용은, "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 교직교육과정 운영 관한 연구: 교과목의 내용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제14권, pp.87-102, 2011.
  6. 김광민, "사범대학교 교직과목의 성격: '교과교육학'과의 관련", 교육연구총론, 제29권, 제2호, pp.1-16, 2008
  7. 김병찬, "미국과의 비교 연구를 통한 우리나라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특성고찰", 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2호, pp.187-214, 2004.
  8. 김병찬, "교직과목 수업에서의 '저널쓰기'의 의미 탐색: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과목 수업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285-313, 2009.
  9. 김선현, 채혜신, 최순주,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조형교육, 제37권, pp.51-76, 2010.
  10. 김시정, 이삼형,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국어교육학연구, 제43권, pp.125-153, 2012.
  11. 김선아, "도덕윤리과 수업의 융복합적 접근", 도덕윤리과교육, 제35권, pp.211-230, 2012.
  12. 김은진, 강인애, "대학 교양과목 수업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이 감성의 활성화와에 미치는 효과", 한국감성과학회회지, 제14권, 제4호, pp.513-524, 2011.
  13. 김은진, 임병노,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음악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102-11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102
  14. 문영주, "대학생의 학업동기 향상에 있어 문제중심학습 교수법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1호, pp.47-70, 2009.
  15.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제4판, 교육과학사, 2011.
  16. 배영민, "사회과 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 역량의 이해", 중등교육연구, 제58권, 제2호, pp.73-102, 2010.
  17. 백영균,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10.
  18. 박제일, 조희성, "예비교사들의 교직과목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한국교육논단, 제42권, 제2호, pp.73-91, 2005.
  19. 신정철, 정지선, 신택수,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6권, 제1호, pp.287-313, 2008.
  20. 신종호, 박수원, 최재희, "교직 과목 교육심리학의 운영 현황과 과제",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3호, pp.417-429, 2011.
  21. 안성훈, 정영식, "유러닝 효과성의 일반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379-389,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379
  22. 이재영, "미술교육과 테크놀로지: 비평적 교수법을 위하여", 미술과 교육, 제11권, 제1호, pp.31-50, 2010.
  23. 조덕주, 곽덕주, 진석언,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수준 향상을 위한 실제적 맥락 안에서의 저널 쓰기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제46권, 제1호, pp.231-259, 2008.
  24.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2002.
  25. 최은영, 컴퓨터음악의 역사와 그에 반영된 테크놀로지에 대한 고찰,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6. 허영주, "교사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28권, 제1호, pp.261-290, 2010.
  27. C. Boehm, Staying in-between "Music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Digital Music Research Network (DMRN) Roadmap Launch Workshop. London, 2005.
  28. G. M. D. S. Ferreira, "Crossing borders: Issues in Music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Music, Technology and Education, Vol.1, No.1, pp.23-35, 2007. https://doi.org/10.1386/jmte.1.1.23_1
  29. P. McGettrick, Music and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2007.
  30. B. Merricks, "Music technology ideas for cross-curricular integ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practice," Music in Action, Vol.2, No.4, 2005.
  31. R. Moor, Elements of computer music, New Jersey: Prentice Hall, 1990.
  32. M. Nelken, "Chanson in clay: "The sounds of our language are intimate to us, they enter our ears, our bodies. the meanings are decoded with our minds," School Arts, Vol.103, No.6, pp.40-41, 2004.
  33. M. Q. Patton,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Newbury Park. CA: Sage, 1990.
  34. S. Rees and A. Davis, "The systems approach to music technology," Music Educators Jour, pp.24-28, 1999(7).
  35. E. Rhee, The Incorporation of Technology into Music Education in Korea: Mixed method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nt State University, 2001.
  36. V. Richardson, (Ed), Constructivist teacher education. Bristol: Falmer Press, 1997.
  37. R. A. Roth, (Ed.), The role of the university in the preparation of teachers. Philadelphia, PA: Falmer Press, 1999.
  38. N. Selwyn, "The use of compute technology i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a cr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23, pp.83-94, 2007.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6.00204.x
  39. http://www.youtube.com/watch?v=LFA-Xm6Ls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