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rvice Design for Road Environment of School Zone applied with Behavioral Psychology

행동심리를 활용한 스쿨존 도로환경 서비스디자인 개발

  • 김억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디자인학부) ;
  • 김낙수 ((주)두민커뮤니케이션)
  • Received : 2013.07.01
  • Accepted : 2013.08.13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cause of traffic accidents and driver behavior is affected by psychological factors, because the behavior of drivers and pedestrians, an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linkage analysis to explore improvements in service design approache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Service design is a service-oriented development methodology that make invisible and intangible elements into visible and higher-value. Accordingly, through design thinking to action for development of products and a pleasant road environment were studied for school zone by discovering underlying issues to resolve in terms of service design. First, survey of domestic roa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and researched the concept of school zones by analyzing the ideas. To reduced the width of the lane manipulat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o cross the crosswalk safely. In order to encourage the flow of vehicle traffic, new solutions are proposed by offering robot traffic lights, graphic design of crosswalk, space, and the fence and convergence public design and services.

운전자 사고와 교통 위반의 원인은 행동심리학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와 보행자의 행태 및 심리학적 연계성을 파악하고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탐색하는 서비스디자인의 접근방법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요소까지 통합하여 가시화하고 고객이 보다 높은 가치로 느낄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중심의 디자인 개발 방법론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쿨존 도로환경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발견하여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해결하고, 디자인 사고를 통한 행동유도 시설물 및 쾌적한 도로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먼저 국내외 도로 현황조사 및 행동심리 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교통사고 발생원인 및 대책 등의 해외개선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스쿨존 도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이중 차량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행동 유도 방법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로봇 신호등을 활용하여 차선의 폭을 가변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것과 동시에 학생들이 횡단보도를 쉽게 건너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스쿨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로봇 신호등, 횡단보도의 그래픽과 공간디자인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방법이 유효하였고, 펜스와 도로 환경의 공공디자인을 통합하여 스쿨존의 새로운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재, 서비스사이언스, 생능출판사, p.35, 2011.
  2. 김진곤, "사용자 경험 및 욕구파악을 통한 웹 서비스 및 디자인 기획",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0호, pp.97-104, 2007.
  3. 서용원, 김종배, "제품 서비스화의 유형분류 및 사업기회발굴을 위한 고객 경험 컨텍스트 기반의 제품 서비스화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Samsung SDS Journal of IT Services, Vol.5, No.2, 2008.
  4.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 Addison-Wesley, p.47, 1975.
  5. M. Stickdorn and J. Schneider, This is Service Design Thinking, p.15, 2010.
  6. S. Moritz, Service Design, KISD, p.150, 2005.
  7. A. Tukker and U. Tischner, "New Business for Old Europe - Product-Service Development, Competiveness and Sustainability," Greenleaf Publishing, Sheffield, UK, p.25, 2005.
  8. S. Vandermerwe, "How increasing value to customers improves business results," MIT Sloan Management Review, pp.27-3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