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overnment's Social Media: A Study of Twitter Use and Network among Seven Nations

정부부처의 소셜미디어 소통방식: 국가간 트위터 이용 및 연결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Received : 2013.05.15
  • Accepted : 2013.07.10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analyzes a Twitter network of some 175 government organizations belonging to seven countries. They are South Korea, U.S., U.K., Australia, Canada, Singapore, and Jap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 occupied the most central position in terms of the incoming followings. Next, some clusters among countries were also noticeable according to their cultural proximities including national languages.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some 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likely to make international ties with others whose main duties are similar to each other. Finally, the structural connectivity pattern of some inter-governmental Twitter networks was visualized using a social network software. On the other hand, it suggests that there is a potential for a soft power through social media and as a result, it could be assumed that a new knowledge hegemony appears in the future.

이 연구는 트위터 계정을 가지고 있는 7개 국가 175개 정부부처의 트위터 이용 및 연결망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트위터 이용 특징 대부분에서 국가 별 뚜렷한 차이를 찾기 힘들었으나 맞팔율에서는 국가 간 극명한 차이가 있었다. 미국이 다른 국가로부터 팔로잉을 가장 많이 받는 국가인 반면, 다른 국가를 팔로잉 하는 데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가 간 연결관계에서 같은 언어나 문화적, 역사적 유사성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밖에 비슷한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부처 간 연결의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트위터 연결망을 가시화함으로 해서 미국이 비공식채널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언어 및 업무 유사성에 의한 연결관계도 확인함으로 해서 향후 소셜 미디어에서의 연성 권력 형성을 통한 새로운 지식 패권 구도가 출현할 수 있는 잠재성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K. Andersen and M. Talev, Twitter is Obama weapon against Republicans in debt battle, Bloomberg, 2011.
  2. A. Tumasjan, T. Sprenger, P. Sandner, and I. Welpe, "Predicting elections with Twitter: What 140 characters reveal about political sentiment,"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pp.178-185, 2010.
  3. 조성은, 박한우, 웹2.0시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책 홍보 전략, 인터넷 소셜미디어 개론, 영남출판사, pp.178-216, 2011.
  4. F. Wigand, Twitter in government: Building relationships one tweet at a time, Paper presented at 2010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2010.
  5. 임연수, 박한우, "10.28 재보궐 선거의 블로그 캠페인에 대한 웹계량화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1(B), pp.539-551, 2010.
  6. http://hcil.cs.umd.edu/trs/2009-32/2009-32.pdf,
  7. S. Wasserman, and K. Faust,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8. P. Marsden, "Network data and measurement," In L. C. Freeman (Ed.), Social Network Analysis. Vol.1. Sage Benchmarks in Social Research Methods, Sage, pp.3-33, 2008.
  9. P. Doreian and T. Fararo, "Structural Equivalence in a Journal Network,"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Information Science, Vol.36, pp.28-37, 1985. https://doi.org/10.1002/asi.4630360103
  10. 홍원표,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 글로벌 정치 질서의 변화: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국내정치와 국제관계",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 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11. 박한우, "한국 웹사이트들 사이의 하이퍼링크를 통한 제휴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탐사적 연구", 정보화정책, 제10권, 제4호, pp.36-52, 2003..
  12. M. Thelwall, "Commercial web site links," Internet Research, Vol.11, No.2, pp.114-124, 2001.
  13. A. Halavais, "National borders on the world wide web," New Media & Society, Vol.2, No.1, pp.7-28, 2000. https://doi.org/10.1177/14614440022225689
  14. G. Barnett, B. Chon, H. Park, and D. Prsen, "Network analysis of international Internet flows," Presented to the International Sunbelt Social Network Conference, Budapest, Hungary, 2001.
  15. 박한우, G. Barnett, 김효동, "글로벌 사이버 공간에서 디지털 위치와 지리적 거리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0권, 제2호, pp.356-370, 2004.
  16. Y. Takhteyev, A. Gruzd, and B. Wellman, "Geography of Twitter networks," Social Networks, Vol.34, No.1, pp.73-81, 2011.
  17. 김상배, "IT 시대 국가주권의 변화와 글로벌 정치질서의 형성", IT 사회.문화적 영향연구 심포지움 자료집, pp.339-362, 2004.
  18. 김상배, "네트워크 지식국가론:정보화시대 국가 변환의 개념화", 국제정치논총, 제46권, 제3호, pp.7-29, 2006.
  19. 임혁배, "21세기 IT기반 정치행정 메가트렌드",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20. 류석진, "디지털 컨버전스 사회의 정치권력 연구",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 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21. 김미경,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와 정보 공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9권, 제1호, pp.203-220, 2008.
  22. 김상배, 정보혁명과 권력변환, 한울, 2010.
  23. 김경미, "웹2.0 시대의 정치참여", 한국사회학회사회학대회 논문집, pp.393-405, 2009.
  24. 윤호영, 박한우, "한국 정치인들의 트위터 활용 방식-정치인 트위터 메시지 및 이름언급 연결망 분석", 동아인문학, 제20권, pp.1-25, 2011.
  25. 장덕진, "트위터 공간의 한국 정치",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2호, pp.80-107, 2011.
  26. W. T. Lee, W. Y. Chang, and M. Hee, "Social networking strategies of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s in South Korea," 한국정치학회보, 제46권, 제6호, pp.109-140, 2012.
  27. 김형아, "서울시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 분석과 정책적 함의", 한국정책연구, 제11권, 제2호, pp.95-114, 2011.
  28. S. Nah and G. Saxton, "Modeling the adoption and use of social media by nonprofit organizations," New Media & Society, Online first, 2012.
  29. M. Naaman, J. Boase, and C. H. Lai, "Is it really about me? Message content in social awareness streams," CSCW'10 Proceedings of the 2010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2010.
  30. 조화순, 김정연 ,"소셜미디어의 매체 특성과 참여의 커뮤니케이션",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2호, pp.95-130, 2012.
  31. 곽해운, 이창현, 박호성, 문수복,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인가?"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pp.87-113, 2011.
  32. 설진아, "소셜 미디어의 진화양상과 사회적 영향", 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pp.35-57, 2009.
  33. W. Nooy, A. Mrvar, and V. Batagelj, Exploratory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Paje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4. 정부부처 SNS지도 사이트: http://app.pr.go.kr/sns/html/snsmap.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