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D Digital Design Optimization Process Considering Constructability of Freeform Structure

비정형 구조물의 시공성을 고려한 3차원 디지털 설계 최적화 프로세스

  • 류한국 (국립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3.01.02
  • Accepted : 2013.03.07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Nowadays the widely used media in architecture include visualizations, animations and three-dimensional models. 3D digital methods using active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and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imaging have been developed for accurate shape and 3D measurements in freeform buildings. In contrast to a conventional building using auto CAD system and others, the proposed digital optimization method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3D numerical data and parametric 3D model for design and construc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erefore to present digital optimization process for constructability of freeform building. The method can be useful i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n error-proofing process of freeform building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3D digital coordinate data can be used effectively to identify correct size of structural and finish members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each members in construction field. In addition, architects, engineers and contractors can evaluate design, materials, constructability and identify error-proofing opportunities. Other project participants can also include representatives from all levels of management, departments as well as workers and key subcontractors' personnel, if necessary. The 3D digital optimization process is therefore appropriate to serious variations in freeform shape. For future study, the developed digital optimization method is necessary to be carried out to verify the robustness and accuracy for constructability in construction field.

최근 상당기간과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정형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이 새로운 기술로 구현되고 있다. 이는 비정형 건축물의 최적화 설계와 부재화를 통한 공장 생산 시스템과 현장 조립 및 설치 기술로 가능하다. 비정형 건축물의 구현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비정형 건축물 시공은 설계오류와 시공자의 도면이해 부족, 시공경험 및 공법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시공 품질과 공기, 공사비 증가 등의 잠재적 리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비정형 건축물의 시공품질 향상과 공기단축 및 시공비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3D 디지털 설계와 제작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형 구조물의 시공성을 고려한 3차원 디지털 설계 최적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비정형 구조물의 구조검토,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에 의한 부재의 정밀제작, 설치, 시공의 오차관리로 최적 시공의 근간이 되는 비정형 건축물 외피 시스템 구현을 위한 최적화 설계 프로세스를 제시한다.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물을 구현한 사례를 살펴보고 디지털 설계 프로세스와 적용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비정형 건축물의 설계도의 3D 디지털 데이터 구축과 디지털 최적화 구현 사례로 4대강 대표 물문화관(The ARC)을 중심으로 설계단계에서 적용된 최적화 기법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3차원 좌표제어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효.김선효.박광호.박원호.백준홍 (2007). "BIM의 시공단계로 확대방안".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 pp. 785-788
  2. 문상덕.이상진.옥종호 (2009). "비정형 건축물의 시공관리를 위한 Laser Scanning 기술의 실험적 적용".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9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795-798
  3. 박정대 (2009). "구축정보모델로써 디지털마스터모델의 건축 적용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pp. 99-106
  4. 박정근.이명식 (2008). "비정형 건축에 있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pp. 209-212
  5. 박정욱.김상철.이상수.송하영 (2009).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BIM 적용 문제점 및 대안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9권 제4호, pp. 93-102
  6. 안지연.최정민.권순호.옥종호 (2009). "비정형 프로젝트 공사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9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778-784
  7. 윤수원.박광호.최철호.진상윤 (2009). "국내 대형 시공현장의 BIM 도입 사례 및 시사점: 디큐브 시티 프로젝트". 대한건축학회, pp. 52-55
  8. 이강 (2008). "비정형 건축의 시공 문제점들". 대한건축학회, pp. 63-65
  9. 전유창 (2009). "건축 설계와 시공의 최적화를 위한 도구로서의 파라메트릭 디자인". 대한건축학회, pp. 22-26
  10. 최순용.김진균 (2009). "구축정보모델로써 디지털마스터모델의 건축 적용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5권 제4호, pp. 99-106
  11. 최정민.권순호.고기웅.김대옥.옥종호 (2009). "3D 엔지니어링 설계 도구를 활용한 비정형 건축물의 외장제작 도면화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pp. 565-570
  12. Guzik,A (2009). Digital fabrication inspired design: Influence of fabrication parameters on a design process. [master's thesis]. [London]:University College London; p. 71
  13. Kloft,H (2009). "Fabricating architecture(selected readings in digital design and manufacturing)". New York(USA): 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 111
  14. Ryu,HG Kim,SJ (2012). "Case study of concrete surface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reeform building based on BI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2(3), pp. 347-357 https://doi.org/10.5345/JKIBC.2012.12.3.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