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능형 로봇 아이로비큐(IrobiQ)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Contents Development of IrobiQ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 현은자 (성균관대 아동청소년학과) ;
  • 이하원 (성균관대 아동청소년학과) ;
  • 연혜민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투고 : 2013.06.17
  • 심사 : 2013.07.24
  • 발행 : 2013.09.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능형 로봇 IrobiQ를 활용한 유아용 학교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 [모두 지킴이]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 내용은 첫째, 현장에서 실제 발생될 수 있는 폭력 유형인 집단 따돌림(왕따), 성폭력 그리고 기본 인성교육이다. 둘째, 각 주제에 적합한 활동형태는 대집단, 개별, 소집단, 자유선택활동 및 학교와 부모의 연계를 목적으로 하는 부모교육이다. 셋째, 활동유형은 동시, 동화, 동요, 미술, 이야기 나누기 등이다. 넷째, 콘텐츠는 이미지, TTS(text to speech), 터치기능, 음량인식기능 및 녹음기능 등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본 콘텐츠를 유아에게 적용하고 30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시연하여 수용성 설문을 실시한 결과, 긍정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로봇을 활용한 학교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상호 작용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는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Modujikimi" for young children to be embedded in IrobiQ, the teacher assistive robot. The themes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basic character education, 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and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e activity types included large group, individual and small group activities, free choice activities, and finally parents' education, which included poems, fairy tales, music, art, sharing stories. Finally, the multi modal functions of the robot were employed: image on the screen, TTS (Text To Speech), touch function, recognition of sound and recording system. The robot content was demonstrated to thirty early childhood educators whose acceptability of the content was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And also the content was applied to children in daycare center. As a result, majority of them responded positively in accep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wo-way interactivity of teacher assistive robot.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stopbullying.or.kr/index.php?mid=mest_data&category=143&document_srl=963
  2. 김미숙, 김정숙, "아동.청소년 학교폭력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88호, pp.67-77, 2012.
  3.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49831&logId=6487254).
  4. http://www.kic.re.kr/html/search/search.asp
  5.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교육인적자원부, 2006.
  6. 교육과학기술불,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교육과학기술부, 2012.
  7. 유미열, 김경철, 최연철, 장연구, "유아교실에서 교육 로봇 아이로비 큐의 역할, 그리고 한계와 기대",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117-138, 2012.
  8. 현은자, 손수련, "로봇은 살아있을까?: 우리 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아동학회지, 제32권, 제4호, pp.1-14, 2011. https://doi.org/10.5723/KJCS.2011.32.4.1
  9. 현은자, 이하원, 연혜민, "언어 사용력(speech register)원리를 활용한 유아의 교육용 로봇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532-54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532
  10. 현은자, 박현경, 연혜민, 장주연, "유아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정서와 역할 인식 변화",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4호, pp.171-186, 2010.
  11. 현은자, 장시경, 박현경, 연혜민, 박성주, "유아교육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482-491, 2009.
  12. 현은자, 김소연, 장시경,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제28권, 제5호, pp.175-196, 2008.
  13. C. Salmivalli, K. Lagerspetz, K. Bjorkqvist, K. Osterman, and A. Kaukiainen,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Vol.22, pp.1-15, 1996.
  14. J. A. Mytton, C. DiGuiseppi, D. Gough, R. S. Taylor, and S. Logan, "School-based secondary prevention programmes for preventing violenc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3, pp.1-93. 2006.
  15. 한국가정법률상담소, 학교에서의 성인지적예방 교육교안, 한국가정법률상담소, 2010.
  16. 김진수,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 반에서의 일상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 2013.
  17.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교육과학기술부, 2012.
  18. 이효정,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11, 2005.
  19. 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5.
  20. P. H. Kahn, B. Friedman, V. Perez-Grenados, and N. G. Freier, "Robotic pets in the lives of preschool children," Interaction Studies. Vol.7, pp.405-437, 2006. https://doi.org/10.1075/is.7.3.13kah
  21. S. Turckle, 스크린 위의 삶: 인터넷과 컴퓨터 시대의 인간(최유식 옮김), 민음사, 2003(원본 제목: Life on the Screen, 원본발간일, 1995).
  22. 오상록, "네트워크 로봇과 로봇 콘텐츠", 로봇 콘텐츠 세미나 발표자료, 2008.
  23. T. Eapinosa, J. Laffey, T. Whittaker, and Y. Sheng, "Techonology in the home and the achievment of young children : Findings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17, No3, pp.421-441, 2006.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703_5
  24. J. H. Han, M. H. Jo, S. J. Park, and S. H. Kim, "The educational use of home robots for children," In proceedings of the 2005 IEEE. Internatioanl workshop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2005), Hatfield, UK. pp.13-15, 2005(8).
  25. 이승민, 한정혜, 김미희, "로봇보조영어수업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사례", 한국중원언어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제11호, pp.197-207, 2011.
  26. 한정혜, 김동호,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849-856. 2006.
  27. 신동업,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학교폭력에 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제8권, 제1호, pp.105-138, 2012.
  28. 이정순, 유구종, 김민경, "유아교육기관 지능형 로봇 활용 자유선택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111-132, 2012.
  29. 이고은, 교사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 2011.
  3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교육과정평가원, p.41, 2009.
  31.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pp.28-29, 2013.
  32. 허혜진, 공감적 행동 인지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4-18, 2011.
  33. 강민주,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공감 능력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1-26, 2010.
  34. 곽금주, "사회현장에서 심리학의 적용: 학교현장을 중심으로: 한국의 왕따 및 학교폭력, 특징과 한국형 예방 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pp.134-135, 2006.
  35. 이양희, 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육 종합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6-21, 2013.
  36.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eochobanpo3&logNo=100149753386
  37. http://if-blog.tistory.com/1738
  38. 정진희, 학교기반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의 효과 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8-60, 2009.
  39. 강유미, 학교폭력에 대한 실태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00-10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