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환상, 억압된 심리적 실체의 복원

A recovery of fantasy and concealed․suppressed desire

  • 발행 : 20130000

초록

문학에서 환상은 비실재적인 것을 설득력 있게 구상·발전시킴으로써 인물의 내면세계를 의미화 하는 것으로, 억압된 욕망을 복원·인식하려는 독특한 방식의 기법이다. 이준연의 동화「지워지지 않는 일기」,「인형이 가져 온 편지」에 나타난 환상은 인간의 욕망을 가시화하는 방식으로 심리적 실체를 형상화한다. 개성적 인물의 행동으로 독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고, 독자를 인물의 정서와 인성에 휘말리게 하며, 해결해야할 문제 혹은 수수께끼를 제기한다. 문제 해결과 수수께끼는 바로 일기와 꿈이라는 환상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나며 그 해독 과정을 통해 궁금증이 해소된다. 인물의 충동적 행동은 갈등을 심화․확장시키고 그로 인한 불안 심리와 죄의식이 ‘일기(문학)’와 ‘꿈’이라는 환상을 통해 역동적 힘을 발휘한다. 현실 이면의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꿈은 작가에 의해 정교하게 변용되어 인물의 억압․은폐된 욕망을 구체화하면서 사건을 흥미롭게 만든다. 「지워지지 않는 일기」가 한 인물(인간)의 현실을 중심으로 꿈과 일기를 통해 욕망을 표출했다면,「인형이 가져 온 편지」는 무생물의 환상세계를 중심으로 인물(인간)의 내면을 보다 구체화․복합화 한다. 환유적 대체물인 무생물과 현실적 인물의 교차․대비, 초자연적 인물의 마법적 환상, 분신 모티프가 주체에 안착하는 여정을 통해 인물의 문제적 현실과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생생하게 표현할 뿐만 아니라 현실로부터 도피․소외․배제되어 가는 문제를 드러낸다. 환상을 통해 욕망을 복원함으로써 이를 객관적으로 보고 주관적 세계와 객관적 세계를 분별할 수 있게 한다. 작품에서 위반과 전복의 환상은 현실과 소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작가의 주제의식을 내포하며 질서, 체계, 권위가 변형된 세계로 성찰과 교정의 기능을 한다. 조화와 균형을 회복할 수 있는 치유와 소통의 장(場)으로서 성격의 안정화를 이루는 핵심이 된다.

In children's story of Lee Junyeon, fantasy is the technique showingunstable psychology of character and recovering suppressed desire bystrange form.Through the fantasy of「Indelible diary」and「Letter brought by doll」, uneasiness and sense of guilt are shown by diary, letter, dream andinanimate world and dynamic power is displayed while tension isdeepened.The process that exchange of inanimate object, metonymic alternative,and realistic character, spell of supernatural character and alter egomotif approach the subject expresses abnormal realities of character andunstable psychology vividly. Also, it shows the problems of escape․neglect․exclusion from realities to fantasy.Lee Junyeon recovers satisfaction of concealed․suppressed desirethrough the fantasy and induces stability of personality so thatcharacter can recover harmony and balance.Fantasy is changed reality and plays functions that escaped․neglected․excluded psychology is treated and correction is done forcommuni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