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talization of Social Enterprise in Rural Areas : Focused on the Case of Boseong in Jeonnam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 전남 보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8.12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Since the enactment of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n 2007, the December 2012 was now 801 organizations certified as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in urban areas are much more activated, in order to social enterprises in rural areas be activated, what you need to improve and what measures will need to be applied by the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s a challenge to be reflective.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ways of social enterprise activation in rural areas, conducted by case study of social enterprise transition probabilities diagnosis and demand survey of local people based in Boseong. For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selects 41 corporate and non-profit organizations in order to examine social enterprise transition probabilities, the potential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social enterprise-related demand, awareness of sustainability, and local issues.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된 이후 2012년 12월 현재 801개 기관이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되었다. 이 중 도시지역의 사회적기업이 훨씬 많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실제 사회적기업을 필요로 하는 낙후지역 또는 농촌지역에서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무엇을 개선해야 하고 어떠한 방안을 적용해야 할 것인가는 실천가와 연구자에 의해 성찰되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성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업체들의 사회적기업 전환가능성 진단과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농촌 지역의 사회적 기업이 비활성화되고 있는 이유는 인력난, 자금난, 시장 협소 및 경영 능력 부족 등 농촌 지역의 기업 환경이 도시에 비해 열악한 상황과 연관되어 있다. 농촌형 사회적기업 모델의 충족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생산과 사회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며 계절적 특성을 반영한 노동시장 부문의 고려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사회적 기업의 지역 리더 발굴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셋째, 협동조합 및 마을기업의 사회적기업 모델 개발이다. 넷째, 대표적인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광범위한 취약계층을 고용하고 지역사회로 이익을 환원하는 대표 사회적기업을 발굴하고 단계적이고 장기적 지원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리스트, 2013.
  2. 남승연, 조창현, 정무권, "사회적기업의 개념화와 유형화 논쟁: 사회적기업의 다양성과 역동성의 이해를 위하여", 창조와 혁신, 제3권, 제2호, pp.129-173, 2010.
  3. OECD, Social Enterprises, 1999.
  4. DTI, Social Enterprise Strategy for Sucess. DTI : London, 2002.
  5. http://www.sbs.gov.uk/sbsgov/
  6. Social Enterprise Coalition, There's More to Business Than You Think: A Guide to Social Enterprise, London: Social Enterprise Coalition, 2003.
  7. Roberts Enterprise Development Fund, Measuring Impact: REDF Workforce Development Outcome Measuremen, 2003.
  8. M. Auteri, "The Entrepreneurial Establishment of a Nonprofit Organization," Public Organization Review, Vol.3, No.2, pp.171-189, 2003. https://doi.org/10.1023/A:1024240914282
  9. S. Campbell, "Social Entrepreneurship: How to Develop New Social Purpose Business Venture," Health Care Strategic Management, Vol.16, No.5, pp.17-18, 1998.
  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적 일자리 활성화 및 사회적 기업 발전방안 연구, 2005.
  11. 김봉화, 김배호, 세계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전략, 한국학술정보(주), 2010.
  12. 김정원, 사회적기업이란 무엇인가?, 아르케, 2009.
  13. 임혁백,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한국형 사회적 일자리와 사회 서비스 모색, 서울:송정문화사, 2007.
  14. 이윤재, 사회적 기업 경제, 탑북스, 2010.
  15. J. Defourny, "Introduction, For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Carlo Borzaga and Jacques Defourny, eds.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2001.
  16. 최혁진,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의 관계 및 발전 방안,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2.
  17. 김기한, 사회적기업과 지역경제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8. 한국노동연구원, 사회적일자리 창출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고용노동부, 2004.
  19. J. Defourny and M. Nyssens, Defining social enterprise, 2006.
  20. A. Evers and M. Schulze-Boing, "Germany: Social Enterprises and Transitional Employment,"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04.
  21. OECD, Social Enterprises, 1999.
  22. J. Defourny, "Fro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04.
  23. 홍현미라,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 접근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지역사회자본 재구조화", 사회과학논총, 제23권, 제2호,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종 합연구소, pp.135-15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