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 of a Creative Character based on Cultural Archetype -focused on , Korean Classic Folktales-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 캐릭터 제안 한국 고전 설화 <불가살이(不可殺伊)>를 중심으로

  • 신상기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
  • 이채론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3.08.12
  • Accepted : 2013.10.02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Project to deal with cultural archetype as a material for creation to develop modern one has continued. But it would be meaningless if cultural archetype is simply reproduced into modern one with modern medium so that such contents cannot see through desire that the general public, that is, contemporary recipients want. This is because desire of people who lived in the past is not completely same as one of modern people. This study began to make convergence from Bulgasalee(不可殺伊) as a Korean cultural archetype to cultural contents fit to modern times. To develop creative character based on ground for existing Bulgasalee(不可殺伊), these were investigated - method and meaning of modern transformation for classics, economic value of the character, and examples to understand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Bulgasalee(不可殺伊) as a Korean cultural archetype is Korean style monster where wish of contemporary people was reflected so that it has character of anti-war and hero. To eat iron and be related to fire is a unique character that only Bulgasalee(不可殺伊) has. Bulgasalee(不可殺伊) re-born in modern sense based on such characters is equipped with tool to treat iron as arms and to it, image of fireman is reflected.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not only suggested character for successful modern transformation of cultural archetype but also newly developed value that the character has.

문화원형을 창작소재로 다루어 현대적으로 개발하는 사업이 꾸준히 추진되어 왔다. 하지만 문화원형을 단순히 재현하고 현대매체로 전이시키는 작업을 벗어나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수신자 즉, 대중들이 원하는 욕망을 통찰하고 있지 않은 콘텐츠 개발은 무의미 하다. 과거 사람들이 욕망하던 것들과 현대인들의 욕망은 완벽히 일치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원형으로 존재하는 '불가살이(不可殺伊)'를 현대에 알맞은 문화콘텐츠로 컨버전스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종래의 '불가살이'에 대한 근거를 바탕으로 창의적 캐릭터를 개발하기 위해 고전의 현대적 변용의 방법과 의의, 그리고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경제적 가치와 향후 개발의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문화원형인 '불가살이(不可殺伊)'는 한국형 몬스터로 당대 사람들의 소망을 투영시켜 반전과 영웅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쇠를 먹고 불과 연관된 특성은 '불가살이'만이 가진 독자적인 캐릭터다. 그것을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으로 재탄생된 '불가살이'는 쇠를 다루는 연장을 무기로 장착하고, 불과 싸우는 소방관의 이미지를 투영시켰다. 본 연구는 문화원형의 성공적인 현대적 변용을 위한 캐릭터 제안 뿐 아니라 캐릭터가 가진 가치를 새롭게 전개하리라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캐릭터산업백서, 2012.6
  2. 신승택, 유장웅 "지역문화 특성화를 위한 캐릭터 개발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캐릭터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2, No.1, p.194, 2004.
  3. 송성욱, "문화콘텐츠 창작소재와 문화원형", 인문콘텐츠, 제6호, p.76, 2005.
  4. 김만석, 컨버전스 시대, 전통문화원형의 문화콘텐츠화 전략, 북코리아, 2010.
  5. 정창권,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북코리아, 2008,
  6. 이채론, "원천콘텐츠 <백설공주>의 현대적 변용에 나타나는 여성상 변화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5집, p.45, 2012.
  7. 네이버 지식백과, 2013.04.29 검색
  8. 변민주,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의 이미지텔링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Vol.9, No.2, pp.455-456, 2008.
  9. 변민주, 콘텐츠디자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10. 네이버 두산백과, 2013.04.23. 검색
  11. <불가살이의 유래> <한국구비문학대계> 5-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176-180, 1984.
  12. 문화콘텐츠닷컴 2013.09.12. 검색, 구활자본 고소설전집 (우쾌제, 인천대학교 민족문화자료총서 1,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