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on Eco-friendly Attitude of Children in Integrated Class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자연재해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학급 아동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오숙현 (전남대학교 특수교육학부) ;
  • 김해경 (광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3.10.10
  • Accepted : 2013.11.13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on eco-friendly attitude of children in integrated class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above mentioned purpose, 2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45 general children enrolled in two integrated classes in the first grade in C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 City. The class that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was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as a comparative group. Total 18 times of session of experimental treatment were performed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grade. The effect of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was measured by using the tool revised and adapted by Heoh, Yun Jeong on the basis of CATES-PV designed by Musser and Diamond. As results, it was appeared that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was effective to increase eco-friendly attitude of children in integrated class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that ability and attitude which were goals of the current education related to environment such as love and concern for animals and plants, life respect consciousness, preference for natural environment rather than artificial environment, conservation of nature and resources saving etc of children who received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suggest necessity to rethink the meaning and scope about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for Korean children in the preset.

본 연구는 자연재해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학급 아동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위치한 C초등학교 1학년 통합학급 2곳에 재학중인 일반아동 45명과 발달지체아동 2명을 선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반을 실험집단, 다른 한 반은 비교집단으로 정하였다. 1학년 2학기에 총 18회기의 실험처치를 실시하였다. 자연재해 교육의 효과는 Musser와 Diamond가 제작한 CATES-PV를 기초로 허윤정이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연재해 교육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학급 아동의 환경친화적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자연재해교육을 받은 아동들의 동식물 대한 애호와 관심,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인공적인 환경 보다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 자연보호, 자원절약 등 현재 환경 관련 교육 이 목표로 하고 있는 능력, 태도가 증진되었다는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아동들을 위한 자연재해 교육에 대한 의미와 범위를 재고해 봐야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재난정보센터, "2013년 1월 재난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 2012.
  2. 권성기, 우리나라의 대규모 재난 사고를 주제로한 중등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1.
  3. 기상청, 이상기후 감시 뉴스레터, 2010.
  4. 김해경, 문병찬, 오강호, "초등 사회 및 과학교과서의 자연재해 내용 분석", 환경교육, 제20권, 제3호, pp.89-101, 2007.
  5. 김형섭, "자연재해에 의한 2차 환경피해의 국내법적 대응", 환경법연구, 제34권, 제1호, pp.59-94, 2012.
  6. 류상일, "한국지방재난관리체계 개선방향: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충북행정학보, 충북행정학회, 제7권, 제8호, pp.178-197, 2005.
  7. 박은정, 자연재해에 관한 영상자료가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 송해룡, 김원제,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98-20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198
  9. 오재호,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국에서 자연재해 발생 전망, 한국위기관리논집", 제2호, pp.82-94, 2007.
  10. 이상신, 채희문,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측면에서 지자체 역할의 필요성", 한국방재학회지, 제10권, 제4호, pp.67-77, 2010.
  11. 이석민, 배윤신, 김한샘, "기상이변이 자연재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목섬유학회지", 제10권, 제1 호, pp.21-26, 2011.
  12. 전효택, 문희수, 김규한, 정명채, 환경지질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13. 제갈금희,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의 자연재해 내용분석 및 과학교사의 인식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4. 채경석,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국가 간 비교: 바람직한 재난관리체계의 모색", 지방정부연구, 제8권, 제4호, pp.129-145, 2004.
  15. 최돈형, 진옥화, 이향미, 손연아, 이성희, 조성화, "지속가능한 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 담당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 및 기준 개발 연구", 환경교육, 제20권, 제1호, pp.1-18, 2007.
  16. 최호택, 류상일,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 정부 역할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2호, pp.235-243, 2006.
  17. 한승희, 양금철, "자연재해 분류 표준안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1호, pp.309-319,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11.309
  18. 허윤정,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9. 홍문선,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자연재해 관련 단원 비교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0. E. Yamamura, "Experience of technological and natural disasters and their impact on the perceived risk of nuclear accident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2011: A cross-country analysis," The Journal of Socio-Economics, Vol.41, pp.360-363, 2012. https://doi.org/10.1016/j.socec.2012.04.002
  21. D. C. Engelson and D. H. Yockers, A Guide to Curriculum Plan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Milwaukee, Wisconsin: Wisconsin: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1994.
  22. L. Musser and K. E. Diamond,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30, No.2, pp.23-31, 1999. https://doi.org/10.1080/00958969909601867
  23. http://ko.wikipedia.org/wiki/%EA%B8%B0%ED%9B%84_%EB%B3%80%ED%99%94(11.Dec.2010)
  24. WMO(2010). WMO statement on the status of the global climate in 2009, WMO-No.1055,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