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ing the Utility of Rainfall Forecasts for Weekly Groundwater Level Forecast in Tampa Bay Region, Florida

주단위 지하수위 예측 모의를 위한 강우 예측 자료의 적용성 평가: 플로리다 템파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Hwang, Syewo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Florida) ;
  • Asefa, Tirusew (Tampa Bay Water) ;
  • Chang, Seungwoo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Florida)
  • Received : 2013.05.02
  • Accepted : 2013.11.04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미래 기후 정보를 이용한 수문 환경의 단기 미래 예측은 안정적 수자원 공급을 위한 필수적 과제이다. 미국 플로리다 주 중서부 템파지역에서는 주요 수자원 중 하나인 지하수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지하수위 인공신경망 모델 (GWANN)을 개발하여 피압 대수층과 비피압 대수층에 대한 주 단위 평균 지하수위를 월별로 예측하고 그 결과를 수자원 공급 의사 결정에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은 템파지역에 대한 GWANN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위 예측 시스템을 소개하고 모델의 기후 입력 자료의 민감도를 분석함으로써 양질의 기후 정보에 대한 현 시스템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2006년과 2007년에 대한 연구 결과, 관측 자료를 최적 예측 시나리오 (the best forecast)로 가정하여 적용한 결과는 지하수위 관측 지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지만 일반적으로 현 시스템 (현 시점의 실시간 주 단위 평균 강우량을 향후 4주간 동일하게 적용함) 에 비해 예측 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강우 관측 자료의 백분위 (percentile forecast; 20분위, 50분위, 80분위)를 강우 예측 자료로 활용한 경우에도 현 시스템과 비교하여 일부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지하수위 예측 모델을 활용하지 않고 현 시점의 지하 수위가 지속된다고 가정하는 경우 (na$\ddot{i}$ve model) 향후 2주간의 예측 결과가 best forecast 경우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등, GWANN 모델의 단기 예측에 대한 양질의 강우 예측 정보의 활용성은 낮으며, 향후 3주 이상에 대한 예측 성능에 있어 best forecast결과가 na$\ddot{i}$ve model 결과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이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WANN 모델의 예측 성능은 적용 기간과 지역 및 지하대수층의 특성에 따라 큰 다양성을 가지는 단점을 보여 강우 예측 자료 활용에 앞서 모델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단기수자원 공급 계획 수립을 위하여 사용되는 지역 모델링 시스템에 대한 기후 예측정보의 활용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SCE task committee on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hydrology (Rao Govindaraju), 2000a.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Hydrology. I: Preliminary Concepts. ASCE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5(2): 115.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0)5:2(115)
  2. ASCE task committee on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hydrology (Rao Govindaraju), 2000b.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Hydrology. II: Hydrologic Applications. ASCE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5(2): 124-137.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0)5:2(124)
  3. Asefa, T., N. Wanakule, and A. Adams, 2007. Field-scale application of three types of neural networks to predict groundwater level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5): 1245-1256. https://doi.org/10.1111/j.1752-1688.2007.00107.x
  4. Coppola, E., F. Szidarovszky, M. Poulton, and E. Charles, 2003. Artificial neural network approach for predicting transient water levels in a multilayered groundwater system under variable state, pumping, and climate condition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8(6): 348-360.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3)8:6(348)
  5. Coulibaly, P., F. Anctil, R. Aravena, and B. Bobee, 2001.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ing of water table depth fluctu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37(4): 885-896. https://doi.org/10.1029/2000WR900368
  6. Hwang, S., 2012. Utility of gridded observations for statistical bias-correction of climate model outputs and its hydrologic implication over west central Florida. Journal of the Korean Sc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5): 91-102. https://doi.org/10.5389/KSAE.2012.54.5.091
  7. Hwang, S., C. Martinez, and T. Asefa, 2012. Assessing the benefites of incorporating rainfall forecasts into monthly flow forecast system of Tampa Bay Water, Florid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4): 127-135. https://doi.org/10.5389/KSAE.2012.54.4.127
  8. Johnson, V. M. and L. L. Rogers, 2000. Accuracy of neural network approximators in simulation-optimization. Journal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26(2): 48-56.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2000)126: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