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ocesses amo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lating to Conductor and Electrolyte as Electrified Materials

전기가 흐르는 물질로서 도체와 전해질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념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3.06.07
  • Accepted : 2013.10.11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analysed definitions and examples of conductor and electrolysis concept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 also surveyed 9 senior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definitions and appropriate examples. From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we found that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of learners is high because of the broad definition concept and narrow list of examples. After confirming the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y also debated for a need to an agreement on scientific concepts.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meaning of social constructivism and the need for an agreement process in teaching science concepts.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도체와 전해질에 대한 정의와 사례를 분석하고, 4학년 예비교사 9명을 대상으로 도체와 전해질의 정의와 적절한 사례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았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개념의 정의보다 사례는 협소하게 제시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사례로부터 제한된 정의로 이해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들에 대한 설문과 면담을 통해서 도체와 전해질 개념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름을 확인하고, 토론을 통해 과학 개념을 합의해 나가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예비과학교사들은 사회적 구성주의의 의미를 깨닫고, 교사로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 과학 개념을 합의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은, 이언정, 백성혜 (2012). 도체.부도체의 구조와 전자의 이동 학습이 중학생의 정전기 단원 이해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6(1) pp60-68.
  2. 김영희 (2008). 제 7차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영역에 제시된 예시 유형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재원, 오원근 (2004). '전기'와'정전기'개념에 차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 새물리 49(3): 224-231
  4. 박미진, 김영민(2003). 물리 외 교과서에 제시된 물리적 현상 설명이 학생들의 물리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55-164.
  5. 박묘현 (2006). 중학생들이 정전기 개념에 관한 실험실 상황과 실생활 상황에서의 이해도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승재 (1985).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7. 송진웅, 김익균, 김영민, 권성기, 오원근, 박종원 (2002) 학생의 물리 오개념지도. (주)북스힐, p 126-155.
  8. 심유경 (2003). 전해질과 이온 및 산?염기 반응에 관한 고교생들의 개념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엄광희, 황인선 (2006). 고등학교 학생들의 화학에 대한 질문 조사와 전해질 개념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 교과교육연구, 10(1), 1-19.
  10. 이정아 (2009). 전해질과 이온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설명 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광희, 송진웅 (2012). 중학 과학 수업에서 예의 선정, 사용, 역할에 관한 교사의 의견, 교사교육연구, 51(2), 259-270.
  12. Burke, K. A., Greenbowe, T. J., & Windschitl. (1998). Developing and using conceptual computer animations for chemistry instruction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5(12), 430-432.
  13. Carin, A. A. (1997).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 8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ill.
  14.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revised and expanded fr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 Bass Publishers.
  15. Morikawa, T., & Williamson, B. E. (2001). Model for teaching about electrical neutrality in electrolyte solution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1(1), 29-34.
  16.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2013). http://www. nextgenscience.org/ 검색일: 2013. 06.06.
  17. Tennyson, R. D. & Park, O. C. (1980) The teaching of concepts: a review of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literat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 55-77. https://doi.org/10.3102/00346543050001055

Cited by

  1. '화석 모형 만들기' 탐구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 6차,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vol.35, pp.2, 2016, https://doi.org/10.15267/keses.2016.35.2.229
  2. 고등학교 화학II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 일반화학의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화학전지를 중심으로 vol.61, pp.1, 2017, https://doi.org/10.5012/jkcs.2017.61.1.34
  3.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과 탐구 활동의 개선 방안 조사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vol.44, pp.3, 2013, https://doi.org/10.21796/jse.2020.44.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