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istoricity of 《Three Purities Album (三淸帖)》 in the Kansong Art Museum

간송미술관 소장 《삼청첩(三淸帖)》의 역사성에 대한 고찰

  • Baik, In-san (Department of Art History, Dongguk University)
  • Received : 2013.03.29
  • Accepted : 2013.05.28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ll}$Three Purities Album${\gg}$ in the Kansong Art Museum is an album of poems and pictures of apricot tree, orchids and bamboos drawn by Lee Jeong. Given that the poems and pictures in the album were drawn by Lee Jeong who has been recognized as a person who established the standards of ink bamboo drawings in the Joseon Dynasty, the album is highly valuable. Nevertheless, there are more values and meanings that Three Purities Album has. The production circumstances and transmission processes of Three Purities Album includ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time so that it is also worthwhile as a historical material.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ee Jeong was stabbed with a sword by Japanese invaders and got injured. After he suffered, he tried to make his masterpiece in his lifework and finally created Three Purities Album. For the work, Lee Jeong received memorial writings from Choi Rip, Cha Cheon-ro and Han Ho, and asked them writings. They were the best literary men in the poem and calligraphy fields at that time. Yu Geun, Lee An-nul, and Yu Mong-in made writings and poems to praise his work. Likewise, ${\ll}$Three Purities Album${\gg}$ is the 'treasure of the time' crea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best literary men at that time. Given the aspects, it is fair to say that ${\ll}$Three Purities Album${\gg}$ is not simply a personal artwork of Lee Jeong, but is a comprehensive artwork and also a cultural monument created through the skills and capabilities of the literary artist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death of Lee Jeong, Three Purities Album was handed over to Hong Ju-won. But, during the second Manchu Invasion into Korea in 1636, the album was in danger of disappearance by fire. As of now, there are still signs of fire in it, which vividly shows the urgent situation at that time. After the second Manchu Invasion into Korea in 1636, Hong Ju-won recovered some damaged writings with the help of Yoon Shin-ji. Since then, the album had been handed down as a family treasure over the next 7 generations. It can be found in the writings by Song Si-yeol and Uh Yu-bong. Unlike the literary men who praised Three Purities Album in terms of its work when Lee Joeng was alive, they focused on the transmission courses of the album and involved persons. That seems to be because the stories and characters appearing in Three Purities Album impressed the later literary men and were meaningful to them rather than the album itself. It strongly reflected the positions of Hong Jung-gi and Hung Sang-han who asked for writings as the descendants of Hong Ju-won. That is because the traces of the persons involved in Three Purities Album are the causes for admiring their ancestors and enhancing their political legitimacy and family dignity. Therefore, in this aspect, it is possible to witness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unique artistic awareness by East Asian people who consider their historical meanings as well as the aesthetic value of artworks significant. Unfortunatel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ree Purities Album was handed over to Japanese Tzuboikouso. But, fortunately, Jeon Hyeong-pil who made an effort to regain our cultural assets by investing his entire property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regained the album, which is now preserved in the Kansong Art Museum. ${\ll}$Three Purities Album${\gg}$ truly includes the whole processes to overcome national crises that Korean people experienc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and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it shows the sufferings of our cultural assets and the history of preservation. Also, the album shows that one artwork is able to accumulate its historical meanings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thus enhances its meanings and values. ${\ll}$Three Purities Album${\gg}$ features accumulative and constant historical meanings and it is a typical case showing that an artwork is plenty of aesthetic and historical values. It is expected that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more studies on finding historical meanings and hysteresis of artworks.

간송미술관 소장 ${\ll}$삼청첩${\gg}$은 조선 중기 문인 화가인 탄은(灘隱) 이정(李霆)이 매화, 난초, 대나무를 그리고, 시를 지어 함께 장첩한 시화첩(詩畵帖)이다. 조선 묵죽화의 전범(典範)을 세운 화가로 평가받는 이정의 시화(詩畵)를 한 곳에서 감상할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ll}$삼청첩${\gg}$의 미술사적 가치는 매우 높다. 그러나 ${\ll}$삼청첩${\gg}$의 가치는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ll}$삼청첩${\gg}$의 이력(履歷)이라 할 수 있는 제작배경, 성첩(成帖)과정, 전래시말 등에는 제작 당시의 시대상은 물론, 통시대적인 다양한 역사상들이 투영되어 있다. ${\ll}$삼청첩${\gg}$은 이정이 임진왜란시 왜적에게 칼을 맞는 수난을 겪은 후, 필생의 역작을 남기려는 의도 하에 만들어졌다. 이후 최립(崔?), 차천로(車天輅), 한호(韓濩) 등 시서(詩書) 각 분야에서 당대 최고의 성가를 구가하던 문인들이 동참하여 성첩되었다. 그리고 유근(柳根), 이안눌(李安訥), 유몽인(柳夢寅) 등이 찬문과 제시를 지어 상찬하였다. 그야말로 '일대교유지사(一代交遊之士)'가 동참하여 만들어낸 '일세지보(一世之寶)'였던 것이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ll}$삼청첩${\gg}$은 이정 개인의 작품을 넘어 조선 중기 문예의 지향과 역량이 한 자리에 모인 종합예술품이며, 조선 중기 문화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ll}$삼청첩${\gg}$은 이정이 세상을 뜬 후, 선조의 부마인 홍주원(洪柱元)에게 넘어갔고, 병자호란 시 소실(燒失)될 위기를 겪는다. 현재까지도 그때의 화흔(火痕)이 역력하게 남아 있어, 당시의 급박한 상황을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다. 호란이 끝나고 홍주원은 동서(同壻)인 윤신지(尹新之)의 도움으로 훼손된 일부 제발문(題跋文)들을 복원하였고, 이후 풍산 홍씨(豊山洪氏) 집안에서 7대를 이어가며 가보(家寶)로 전해진다. 홍중기(洪重?)의 요청에 의해 쓰여진 송시열(宋時烈)의 발문과 홍상한(洪象漢)의 요청에 의해 쓰여진 어유봉(魚有鳳)의 발문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정 생존시 문인들이 이정과 ${\ll}$삼청첩${\gg}$의 지닌 작품성에 대해 상찬한 것과는 달리 후대 문인들의 글은 ${\ll}$삼청첩${\gg}$의 전래과정과 그와 관련된 인물들에 초점을 두고 있어 대조적이다. 후대의 문인들은 ${\ll}$삼청첩${\gg}$ 자체의 작품성보다는 그에 얽힌 일화와 그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흥미를 느끼고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ll}$삼청첩${\gg}$을 다시 복원한 홍주원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는 ${\ll}$삼청첩${\gg}$의 소장자로 글을 부탁한 홍주원의 후손들인 홍중기, 홍상한 등의 정치적, 사회적 입지를 강화시켜 주고자 하는 의도가 없지 않을 것이다. 홍주원의 후손들에게는 ${\ll}$삼청첩${\gg}$이 가문의 조상을 추숭(追崇)하는 기재인 동시에, 정치적 정통성과 가격(家格)을 담보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미술품의 미적 가치 못지않게 그 안에 내재된 역사성을 중시했던 동아시아 특유의 예술 인식의 근인(根因)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ll}$삼청첩${\gg}$은 조선 말기 외세 침탈의 와중에서 일본인 츠보이 코우소(坪井航三)에게 넘어가는 비운을 맞게 된다. 다행히도 일제시기 심혈을 기울여 우리 문화재를 수호했던 전형필(全鎣弼)이 이를 되찾아왔고, 현재 간송미술관에 수장되어 전해오고 있다. ${\ll}$삼청첩${\gg}$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일제 침탈로 이어지는 조선시대 국난과 이를 극복하는 과정이 그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우리 문화재의 수난과 보존의 역사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를 통해 하나의 미술품이 유전과정에서 또 다른 역사성을 지속적으로 축적하며 그 의미와 가치를 강화시켜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중층적인 시의성(時宜性)과 지속적인 역사성(歷史性)을 지닌 ${\ll}$삼청첩${\gg}$은 미술품이 미적 가치와 더불어 사료적 가치를 얼마나 풍부하게 지니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라 생각된다. 이를 계기로 향후 미술품의 이력과 그 역사적 의미를 찾는 고찰들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