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Social Capital of Local Residents: Focusing on Gyungsangnam-Do

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 장유미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염동문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9.16
  • Accepted : 2014.10.08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which has to do with changes that are inherent in life or mental health of the local population, which appears as a subjective aspect of social capital of local residents.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 residents of a social capital accumulation and changes, as describ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several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ffect the mental health is the only community consciousness in 2010, higher community consciousness and higher network capacity of 2011 residents, but higher mental health scores, lower mental health scores were greater participation in social participation. Also score high in the mental health component of the group of the high number of people in all social capital and more social capital were higher than residents in low mental health score group. The indirect effects on mental health of the residents of social capital accumulation and chang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민의 보편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주관적인 정신건강이 지역 주민들의 삶에 내재되거나 변화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인 신뢰, 사회참여, 네트워크역량, 지역사회의식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이다. 지역 주민의 삶의 질과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듯이 사회적 자본의 축적과 변화가 지역 주민의 주관적인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2010년도는 지역사회의식만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도는 지역사회의식과 네트워크역량이 높을수록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점수도 높았지만, 사회참여는 참여가 많을수록 정신건강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2012년도는 지역사회의식과 네트워크역량이 높을수록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모든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가 높은 주민들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정신건강 점수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자본이 높은 주민들이 더 많았다. 사회적 자본 축적의 정도와 변화는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에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World Health Report, Geneva, 2002.
  2.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서울: 통계청, 2012.
  3. J. S. Coleman,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 Vol.4, No.13, 1993.
  5. Bourdieu, Pierre, and Loic J. D. Wacquant, An Invitation to Reflexive Sociolog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6.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in P. Dasgupta & I. Serageldin(eds.),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Washington, D.C. : The World Bank, 2000.
  7. M. Woolcock,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Vol.27, No.2, pp.151-208, 1998. https://doi.org/10.1023/A:1006884930135
  8. F. Fukuyama,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Y: Free Press, 1995.
  9. Putnam, Mar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10.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Supplement) Vol.94, pp.95-120, 1988. https://doi.org/10.1086/228943
  11. M. W. Foley and B. Edwards, "Is It Time to Disinvest in Social Capital?," Journal of Public Policy, Vol.19, pp.141-173, 1999. https://doi.org/10.1017/S0143814X99000215
  12. Stolle and Dietlind, Public Life,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 Comparative Study of Swede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manuscrip, 2000.
  13. 안성호, 지방정체성과 사회적 자본(I): 대전, 충청지역 연구, 도서출판 다운샘, 2004.
  14. J. Hughes and W. Stone, Families, social capita l and citizenship projects: fieldwork report, Melbourne: Australian Inst. of Family Studies, Avail able at: http://www.aifs.gov.au/institute/research/soccapfieldwork.pdf, 2002.
  15. R. D. Putnam,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ston, Prinston University Press, 1993.
  16. R. J. Gittell and A. Vidal, Community organizing: building social capital as a development strateg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998.
  17. Tocqueville, Alexis de, Democracy in America, London: Fontana, 1968.
  18.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 서울의대 정신과, 2012.
  19. 김영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이웃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0호, pp.235-261, 2013.
  20. 김석민,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21. C. E. Pollack, O. von dem Knesebeck, and J. Siegrist, "Housing and health in Germany," Journal of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58, pp.216-222, 2004. https://doi.org/10.1136/jech.2003.012781
  22. Kristian Bolin, Bjorn Lindgren, Martin Lindstrom, and Paul Nystedt, "Investments in social capital implications of social interactions for the production of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6, No.12, pp.2379-2390, 2003. https://doi.org/10.1016/S0277-9536(02)00242-3
  23. 이성대, 염동문, "청소년의 게임중독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229-239, 2013.
  24. R. S. Burt, "The gender of social capital," Rationality and Society, Vol.10, pp.5-46, 1998. https://doi.org/10.1177/104346398010001001
  25. 양심영, 박수경, 김미숙,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70-28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