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Korean Research Trends on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유아교육기관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윤선경 (부산교통공사 휴메트로 어린이집) ;
  • 조혜진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10.25
  • Accepted : 2014.12.0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ocusing on the articles in a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For this, I divided and analyzed 162 articles of rel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ors contained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listed eight journals from 1991 to 2013, according to the study period, study topic and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the research trends in the study period show that until 2003 less than 5 articles were published while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04 and the director-related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20 pieces every year from 2009. Second, concerning the study topic, the most common topic was about 'institutional management of director', and 'director leadership', and 'role and duties', and 'quality' were followed. Third, types of study included many quantitative studies but they are decreasing recently and qualitative studies tended to increase since 2006. There are many studies for the teacher and data collection methods have been utilized frequently having questions marked distinct by quant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was being used a lot with quantitative analysis. Thes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execute studies of topics such as a director's leadership and core competencies and to diversify study subjects and methods on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관련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기관장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연구재단등재학술지 8개에 수록된 유아교육기관장 관련 논문 162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시기별 연구동향은 2003년까지는 연간 5편 이하로 적은 편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04년부터 서서히 증가하면서 2009년부터는 매년 20편 정도의 원장관련 논문이 발표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기관장의 기관경영'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았고, '기관장 지도성', '직무와 역할', '자질'의 순이었다. 셋째,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많았으나 최근 감소하고 있고, 질적 연구는 2006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대상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자료 수집방법은 양적연구에서는 질문지법이 자주 활용되고 있었고, 자료 분석방법은 양적분석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장에 관한 지도성과 핵심역량 등을 주제로 한 연구가 실행될 필요가 있으며,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의 다각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희, 윤애희, 이경희, 정정옥 (2007). 유치원 보육시설 운영관리. 서울: 학지사.
  2. 고현 (2009). 유치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 헌신 간의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447-469.
  3. 곽승주 (2011).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의 존재와 운영의 의미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5(1), 417-442.
  4. 곽현주 (2008). 유아교사전문성 강화를 위한 역동적 평가의 접근모색: 원장멘토링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2(1), 115-133.
  5. 김병찬 (2007). 한국에서 교원의 지도성 연구 최근 동향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4(3), 343-369.
  6. 김수향, 권은주, 정경화, 이영림 (2011). 어린이집의 입학상담 지금-여기. 아동학회지, 32(3), 221-239.
  7. 김영명, 서영숙 (2007). 보육시설장의 교육요구에 기초한 현직교육 내용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95-124.
  8. 김영태, 김회웅 (2010). 보육행정서비스에 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37-157.
  9. 김은설, 신나리, 최헤선 (2007).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에 관한 의견분석. 아동학회지, 28(4), 197-208.
  10. 김은희, 유준호 (2013). 유아안전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59-286.
  11. 김정림 (2011). 어린이집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정희 (2007).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8(2), 187-209.
  13. 김정희 (2011).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수행 실태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77-98.
  14. 김진근 (2003). 교육행정가로서 유아교육기관원장의 자질에 관한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김태희, 박만호 (201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5, 135-152.
  16. 김현경, 신동주 (2009). 보육시설장의 갈등인식 및 갈등관리 유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1), 5-24.
  17. 김현주 (2013). 영아교사 관련 주제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401-419.
  18. 김혜금 (2009). 보육시설 안전사고 예방과 보상에 대한 부모와 보육시설장의 인식. 아동학회지, 30(4), 1-14.
  19. 남미경, 황해익 (2002). 유치원 원장-교사의 DAP 신념수준과 교수 실제 간의 차이에 대한 양적.질적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7(3), 195-212.
  20. 류칠선 (2000). 유치원 원장의 이미지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3, 1-17.
  21. 문태형 (2009). 유아교사가 인식한 자기결정성 및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관계. 아동교육, 18(3), 69-81.
  22. 박사빈 (2012). 5세 누리과정 도입초기 사립유치원장의 인식조사. 한국영유아보육학, 72, 337-358.
  23. 박상완 (2009). 학교장의 지도성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1988-2008). 교육행정학연구, 27(1), 349-378.
  24. 박은주, 서영숙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의 중요성과 실현성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1), 67-84.
  25. 박화윤, 최재숙 (2002). 유치원에서의 부모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원장, 교사, 부모의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 29, 221-242.
  26. 박희숙 (2007). 유아교사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27(5), 211-232.
  27. 백경순 (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223-240.
  28. 백선희, 서문희 (2004).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 자격제도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9, 171-195.
  29. 서현, 송선화 (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4), 145-169.
  30. 신민경, 황해익 (2004). 유치원원장 자기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학논집, 3(13), 43-65.
  31. 신소영 (2012).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심혜숙, 이영석 (1996). 보육기관 및 유치원의 원장, 교사, 부모의 유아교육목표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 1-52.
  33. 양영아, 서영숙 (2005). 보육시설장이 바라보는 보육시설 운영과정에서의 보육 본질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57-78.
  34. 염지숙, 조형숙, 박지희 (2014). 예비유아교사교육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교사 핵심역량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65-186.
  35. 오경녀, 이혜은, 황해익 (2009). 교원평가에 대한 공립유치원 원장, 원감 및 교사의 인식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2(14), 31-58.
  36. 오채선 (2006). 유치원 원장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 국내 연구동향을 중심으로(1987-2005). 한국교육논단, 5(1), 143-167.
  37. 오채선 (2012). 어린이집 초임원장의 내러티브 : 리더십형성하기. 유아교육학논집, 16(6), 435-461.
  38. 유수경, 황해익 (2009).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93-314.
  39. 유정은, 김주후, 김경란 (2010). 유치원준비도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6), 293-318.
  40. 윤혜란, 서현 (2011). 부설유치원장들의 삶과 경험의 의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53-76.
  41. 윤혜진, 허영림 (2012). 서번트 리더십을 중심으로 한 어린이집 원장의 특성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9, 43-61.
  42. 이기숙, 김순환, 조혜진 (2014).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서울 : 양서원.
  43. 이대균, 백경순 (2007). 유아교육분야 질적연구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67-191.
  44. 이대균, 최서영(2008). 사립유치원 원장의 고충과 보람, 그리고 희망.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177-203.
  45. 이명순, 이명옥 (2010). 보육시설장의 역할수행 및 요구조사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07-225.
  46. 이명순 (2011). 보육시설 부모참여에 대한 시설장과 부모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5(4), 23-43.
  47. 이명조, 이정화, 최란 (2014). 혼잣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451-469.
  48. 이연승, 최진령 (2010). 보육시설장과 유치원장의 자격제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9(3), 71-90.
  49. 이영석, 강순미 (2001). 보육교사와 원장의 DAP 신념 지각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2), 1-45.
  50. 이윤경, 임충기 (2005).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교)장과 교사의 지각 및 기대의 차이와 유치원의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3), 177-201.
  51. 이윤식 (2002).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관한 최근연구와 시사. 한국교원교육연구, 19(2), 31-56.
  52. 이혜원, 임미혜, 황윤세 (2013). 유치원 및 어린이집 운영관리. 서울 : 공동체.
  53. 임양미, 김혜금 (2012). 아이사랑카드제도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및 부모의 인식과 개선방안. 아동학회지, 33(1), 147-164. https://doi.org/10.5723/KJCS.2012.33.1.147
  54. 전윤숙 (2010). 유치원 원장이 인식하는 원장의 이미지를 통한 리더십 유형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329-351.
  55. 전윤숙 (2013).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이미지 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345-359.
  56. 정남미 (2008). 유아교육실습지도 현황과 인식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2(6), 215-235.
  57. 정다운, 김정희 (2011). 어린이집 원장이 지각한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 갈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4), 235-245.
  58. 정덕희 (2008). 민간보육시설장의 일과 갈등.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93-119.
  59. 정채옥 (2002). 유아교육기관장의 아동학대에 관한 인식연구. 유아교육연구, 22(1), 185-210.
  60. 조윤경, 송정 (2012). 어린이집원장의 장애아 보육실행 어려움과 정책지원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95-118.
  61. 조형숙, 박지희 (2014). 교사관련 국내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20.
  62. 조혜진 (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 분석 연구. 유아교육연구, 32(5), 471-494.
  63. 지성애 (2001).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7, 138-168.
  64. 지성애 (2010). 보육시설장의 자격강화와 전문성 확장을 위한 대안 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 6, 63-88.
  65. 지성애, 김의향, 황성원, 정지연 (2008). 보육시설장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과정 모형개발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 1-27.
  66. 차미영, 손원경 (2010).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이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2), 17-37.
  67. 차선미, 이미화 (2008). 직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유치원장과 보육시설장의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289-319.
  68. 한국유아교육학회 (2007). 유아교육백서 2001년-2005년. 서울 : 양서원.
  69.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백서 2006년-2010년. 서울 : 양서원.
  70. 한유미 (2010). 양육수당 도입에 대한 어머니와 보육시설장의 인식. 아동학회지, 31(2), 263-275.
  71. Cannon, S. R., Figlio, D., & Sass, T. (2011). The policy choices of effective principals. IL : Society for research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528 945)
  72. Center for the Fu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2011). School leadership: A key to teaching qual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515 279)
  73. Decker, C. A., Decker, J. R., Freeman, N. K., & Knopf, H. T. (2009).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9th Ed.). NJ : Pearson.
  74. Dennis, R. S. & Bocarnea, M. (2005). Development of the servant leadership assessment instrument.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6(8), 602-615.
  75. Heikka, J., Waniganayake, M., & Hujala, E. (2013). Contextualizing distributed leadership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ent understandings, research evidence and future challenges.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 Leadership, 41(1), 30-44. https://doi.org/10.1177/1741143212462700
  76. Leithwood, K., & Duke, D. L. (1999). A century's quest to understand school leadership, In J. Murphy, & K. S. Louis (Eds.). Handbook of research on administrational administration (2nd ed.) (pp. 45-72).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Cited by

  1. 유아 수세기(counting)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vol.11,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29
  2. The Influence of Job Commitment and Burnout on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Principals vol.54, pp.4, 2014, https://doi.org/10.15812/ter.54.4.201512.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