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권화숙 (수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08.15
  • Accepted : 2014.12.2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296 fosterers (those who use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were targe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e factors can be categorized as the personal internal factors (problematic behavior and self-control capability of the childre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the fosterers). As a result, self-assessment, depression, emotionality, and behavioral restriction factors of the children and child-rearing efficacy, and the child-rearing stress of the fosterers were proven to be influential; these two factors have 50.5% of the explanation power. In conclusion, if self-assessment, emotionality, and behavioral control of the children and rearing efficacy of the fosterers were high, self-esteem of the children was increased. However, if depression of the children and rearing stress of the fosterers were high, self-esteem of the children was decreased. This result suggests a need of program development and a new teaching method to reduce problematic behavior of the children and rearing stress of the fosterers, as well as to enhance rearing efficacy of the fosterers and self-control capability of the children for the purpose to increase self-esteem of the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보호자 29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개인 내적요인(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능력)과 보호자 요인(보호자의 양육효능감과 보호자 양육 스트레스)으로 구분하여 이들 변인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자신의 자기평가, 우울, 정서성 및 행동억제 요인이, 보호자 요인에서는 보호자의 자녀양육효능감 및 보호자의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요인 모두의 설명력은 50.5%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자녀의 자기평가와 정서성 및 행동억제력 및 보호자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자기존중감은 높으며, 유아의 우울과 보호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녀의 자기존중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 및 보호자의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 방법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형윤 (2012).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3. 김미경 (2004).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기존중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보람 (2013). 연령집단구성에 따른 협동학습이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영숙 (1997).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 주는 가정환경의 제 변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옥 (2008).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영희 (2006). 유아의 성역할 선호성에 따른 자기존중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은영 (2007).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조망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이영 (2014). 유아의 문제행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1), 135-153.
  10. 김이영, 오성숙, 이시진, 이우언, 이은미, 채혜선 (2014). 유아발달. 파주: 양서원.
  11. 김이영, 이우언, 배기효, 김병찬, 정선화, 정왕용 (2013). 정신건강론. 파주: 양서원.
  12. 김태희 (2013).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단현국, 이미숙 (2006). 교사용 유아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81-104.
  14. 민정원 (2000). 아동의 애착안정성과 자아지각 및 사회적 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미리 (201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또래 유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선미 (2011).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배수진 (2009).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신수희, 이완정 (2014). 어머니,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자아개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47-62.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047
  19. 안숙희 (2010). 유아의 기질,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엄미진 (2012). 유아의 자기효능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력 및 생명사랑의 차이.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우희정 (1993). 가정환경과 아동의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모형 탐색.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유은정 (2010).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존중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윤석빈 (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재일 (200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 아동의 귀인양식 및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진경 (2004). 사회적 유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현정 (1996).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임성은 (2004).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정혜진 (2009).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에 따른 문제행동.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조영숙 (200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련성탐색.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최경순 (1994). 아동의 사회능력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논문집, 38, 263-291.
  33. 최혜순 (2004). 유아사회교육. 서울: 동문사.
  34. 최희정 (2011).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한미림 (2013).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은희 (2009). 유아의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홍성임 (2005).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홍성희, 탁정화, 강현미 (2014). 부모의 행복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73-91.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2.073
  39.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pediatric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40. Block, J. H., & Kreman, A. M. (199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41. Brown, J. D. (1998). The self. New York: McGraw-Hill.
  42. Chetwynd, J. (1985). Factors contributing to stress on mothers caring for an intellectually handicapped child.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15, 295-304.
  43. Crain, M. R. (1996). Age, race, and gender difference in child and adolescent self-concept: Evidence from a behavioral acquisition, context-development model. School Psychology Review, 23(3), 496-512.
  44. Damon, W. (1991). Self-concept, adolescent. Encyclopedia of adolescence(Vol. 2). NY; Garland.
  45. Deater-Deckard, K., & Scarr, S. (1996). Parenting stress among dual-earner mothers and fathers: Are there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 45-59. https://doi.org/10.1037/0893-3200.10.1.45
  46. Eisenberg, N., Fabes, R., & Murphy, B. (1996).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ccuracy. In W. Ickes (Ed.), Empathic accuracy(pp. 73-116). New York: Guilford.
  47. Floyd, F., Gilliom, L. A., & Costigan, C. L. (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9(5), 1461-1479. https://doi.org/10.2307/1132278
  48.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s can matter more than IQ. New York: Bantam book.
  49. Harter, S. (1988). Cause, correlates and function: role of global self-worth: A life-span perspective. In J. Kolligan & R. Sternberg (Eds.),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incompetence across the life-span(pp. 67-97). New York: Yale University Press.
  50.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4), 1969-1982. https://doi.org/10.2307/1129772
  51. Kaiser, B., & Rasminsky, J. S. (2007).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Pearson Education, Inc.
  52. Shaffer, D. R. (2005). 발달심리학(김수정, 송길연, 양동규, 이지연 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저 2002 출판).
  53. Thorne, B. (2007). 칼 로저스: 인간중심 치료의 창시자(이영희, 박외숙, 고향자 공역). 서울: 학지사(원서 1992 출판).
  54. Verschueren, K., Marcoen, A., & Schoefs, V. (1996). The internal working model of self, attachment, and competence in five-years-olds. Child Development, 67(3), 2493-2511. https://doi.org/10.2307/1131636
  55. Vohs, K. D., & Baumeistre, R. F. (2004). Understanding self-regulation. In R. F. Baumeister, & K. D. Vohs(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pp. 1-9). NY: The Guilford Press.

Cited by

  1. 한국 유아용 Burks 행동평정척도(K-BBRS-2)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vol.12, pp.3,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