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n Child's Human Rights in a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 Old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 Received : 2014.10.15
  • Accepted : 2014.12.09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with child's human rights in a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based on the type and area of activity, 5 areas, and by life them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s on child's human rights in activity type and area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order of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y, child selected play activity, and outdoor activity, and among them, right to an education and right to pla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among the five categories, the area that conducts educational contents on child's human rights was the social relation category, and the area that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was the educational contents on human rights. On the other hand, the areas that were treated the least wer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ird, the topic that treated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with child's human rights was 'spring, summer, fall, winter,' and 'my family and I' treated educational contents on child's human rights in the lowest frequency. Also, whereas the right to education and right to pla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educational contents on child's human rights among entire life themes, the educational contents on child's human rights of abuse and neglect(violence) were not treated at all in the entire life them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helpful in planning and deploying activities related with the child's human rights harmoniously, and intends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in organizing activities of human rights program link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program of systematic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for children in addition to the curriculum at a national level.

본 연구는 만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활동 유형 및 흥미영역, 5개영역, 생활주제별로 분석준거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활동 유형 및 흥미영역에 나타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은 대 소집단 활동, 자유선택활동, 바깥놀이 활동순의 빈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교육과 휴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5개 영역 가운데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영역은 사회관계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참여가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인권관련 교육내용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가장 적게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신체운동 건강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었으며, '나와 가족'의 주제에서는 가장 낮은 빈도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전체 생활주제 가운데 교육과 휴식이 가장 높은 빈도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반면, 학대와 방임(폭력)의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은 전체 생활주제에서 전혀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인권 관련활동을 균형 있게 계획하고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며, 초등학교와 연계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활동을 구성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더 나아가 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유아인권교육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도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설, 송주연 (2014).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 시도 분석. 아동교육, 23(1), 59-77.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서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만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5. 구정화, 설규주, 송현정 (2004).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6. 국가인권위원회 (2005). 누구나 행복할 권리가 있어요: 초등학교 인권교육프로그램.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7. 국가인권위원회 (2006). 유엔인권조약감시기구의 일반논평 및 일반권고.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8. 국가인권위원회 (2008).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기본용어. 서울: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9. 국가인권위원회 (2012). 인권 친화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종합정책권고.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10. 김경희, 나귀옥 (2013).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설명을 통한 공동구성. 유아교육연구, 33(1), 191-214.
  11. 김숙자, 김현정 (2008).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과 권리, 12(2), 117-134.
  12. 김숙자, 김현정 (2010).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서울: 공동체.
  13. 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관련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9-283.
  14. 김숙자, 박현진, 조주랑 (2009).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의 생활주제와 활동유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 관련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3(1), 25-42.
  15. 김숙자, 장갑희 (2010).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1), 349-373.
  16. 김연주 (2008).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김은주 (2001).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관심단계에 따른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김은희, 유준호 (2012).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외놀이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6(4), 27-52.
  19. 김혜금, 양숙경 (2014).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학대와 지역사회 인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17-131.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117
  20. 문미옥 (2008).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검토내용과 개정절차가 유치원교육과정 발전사에 주는 의미와 과제. 유아교육연구, 28(3), 195-224.
  21.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2009).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및 요구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지, 13(3), 213-236.
  22. 서정은 (2001). 유아 인권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유.초.중.고 인권교육과정 개발 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4. 신혜경 (2007).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심주연, 권미량 (2013). 유치원 대소집단 활동유형에 따른 교수학습방법 탐색. 아동연구, 23, 118-144.
  26. 안동현 (2009). 한국 아동의 삶-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노력. 2009 공동춘계학술대회 한국아동의 삶의 질, 265-284.
  27. 안혜영, 정선영, 홍순옥 (2012).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과 실행간의 차이. 아동교육, 21(2), 161-180.
  28. 윤재희, 유향선, 이효정 (2013). 유아 인권교육의 새로운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7(2), 197-218.
  29. 이동욱 (2003). 중등 사회과의 인권교육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명준, 류재택, 정우탁, 임현묵 (2000). 인권교육 체계화 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유네스코한국위원회.
  31. 이양희 (1999). 유아용 아동권리 프로그램. UN아동권리협약10주년 기념학술대회. 한국아동권리학회 1999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49-73.
  32. 이양희 (2004). 초등학교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3. 이양희, 구미향, 윤정란, 황소영 (2011). 유아용 인권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4. 이정욱, 양지애 (2012). 5세 누리과정 정책과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6(4), 167-192.
  35. 임정희 (2005). 만 5세 아동권리교육 활동 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유엔의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미라 (2003).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권교육의 내용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7(4). 291-318.
  37. 정선아 (2002). 아동기의 현대적 의미 변화과정 고찰. 한국아동권리학회지, 6(2), 365-384.
  38. 조숙영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379-400.
  39. 조숙영, 조병은 (2012).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와 유치원 지도서의 '장애' 관련 활동 목표와 내용 비교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233-256.
  40. 조주랑 (2010).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최윤정 (2005).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국제비교연구: 8개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4), 5-31.
  42. Calderhead, J. (1984). Teachers planning. In A. Pollard (Ed.), Readings for reflective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318-332. London: Casell.
  43. UNESCO (1998). All human beings....: Manual for human rights education, 모든 인간은....: 인권교육지침서(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옮김). 서울: 사람생각(원판 2000년).
  44. Wardle, F. (1995). Alternatives bruderhof education: Outdoor school. Young Children, 50(3). 68-73.
  45. Whitebook, M., Howes, C., & Philps, D. (1990). Who cares? Child 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care in America: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study. Oakland, CA: Child Care Employee Project.

Cited by

  1. Contents analysis on child’s human rights education presented in the area and life theme of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for the ages of 3, 4 vol.35, pp.3, 2014,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3.017